2022년 7월 5일 화요일

"주거비용 낮추겠다"… 국민의힘, 월세 공제율 15%로 확대, 1주택 종부세 완화

 

"주거비용 낮추겠다"… 국민의힘, 월세 공제율 15%로 확대, 1주택 종부세 완화








국민의힘이 1가구 1주택자의 종합부동산세(종부세) 과세기준 금액을 현행 공시가격 11억원에서 14억원으로 한시적으로 올리는 법안을 추진한다. 월세 세액공제율도 현행 10~12%에서 12~15%로 확대한다.

국민의힘 물가 및 민생안정 특별위원회는 지난 5일 국회에서 회의를 열고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관계자들과 함께 임대차 시장 안정화 방안과 부동산 정상화 정책 입법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날 류성걸 국민의힘 물가 및 민생안정특별위원회 위원장은 회의를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새 정부 경제정책 방향의 부동산 세제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과 종부세법 개정안을 특위 차원에서 발의한다"고 말했다.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에는 1가구 1주택자에 부과하는 종부세에 '특별공제 3억원'을 한시 도입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1가구 1주택자 과세기준 금액을 현행 11억원에서 올해에 한해 14억원으로 늘린다는 것이다.

종부세법 개정안에는 1가구 1주택자의 고령자·장기보유자 종부세 납부를 유예할 수 있도록 한다. 일시적 2주택자, 상속 주택, 지방저가주택 보유 시 1가구 1주택자와 동일한 세제 혜택을 주는 방안도 신설한다.

임차인 지원을 위한 월세 세액공제율도 현행 10~12%에서 12~15%로 확대하고 전세보증금 대출 원리금 상환액에 대한 소득공제를 현행 300만원에서 400만원으로 확대하는 안을 특위 차원에서 추진한다.

이번 입법 결정은 정부가 6·16 새정부 경제정책방향과 6·21부동산대책 등을 발표한 것에 따라 당이 지원한다는 차원에서 이뤄졌다. 류 위원장은 "정부에서 정책을 발표하고 입법으로 처리할 사항은 그렇게 처리한다는 취지로 이해해달라"고 설명했다.

류 위원장은 내년도 이후에 대해서는 "종부세가 급격히 증가해 부담이 커진 만큼 한시적으로 법안을 개정해 3억원을 추가로 공제한다는 것"이라며 "근본적인 부분은 중장기적으로 논의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특위에는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에서 부동산 태스크포스(TF) 팀장을 맡았던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가 참여했다. 심 교수는 "우리 물가상승률이 오늘 6% 나왔다고 하는데 (집값을 반영하면) 사실은 8% 이상으로 잡힐 가능성이 높다"며 "미국, 유럽과 거의 똑같은 상승률이 지금 우리에게도 닥치고 있다는 것을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심 교수는 이어 "집값은 하락 추세로 접어들 가능성이 높은데 금리가 상승하면 하방압력이 굉장히 커지게 된다는 게 일반적인 연구 결과들"이라며 "이런 것들이 겹치게 되면 지금도 양극화가 큰데, 앞으로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해서 자산배분의 선호에 따라 초양극화로 갈 가능성이 크다고 보인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공급을 위한 획기적인 수단을 만들어야 한다"며 "이번 정부에서 누차 밝혔듯 수요가 있는 곳에 공급하겠다는 게 충분히 지켜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시장 수요 변화에 따라 자연스럽게 공급이 늘어나는 시스템을 복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706&prsco_id=417&arti_id=0000829506

2022년 7월 4일 월요일

워렌버핏 라이프 스타일

 워렌버핏 라이프 스타일



워렌버핏 라이프 스타일

-굉장히 간소하기로 유명한데, 연차보고서를 읽고 정기적으로 브리지 게임을 하고 가끔씩 골프를 치는 것을 빼면 취미생활도 거의 하지 않는다.실제로 버핏은 각계의 친구들과 시간을 보내거나 각종 사업 회의에 참석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내는 편이다.


찰리멍거 라이프 스타일

-낸시와 부부동반으로 메인 주나 아이다 호 등 각지에 사는 친구들을 방문하고 하와이로 골프여행을 가고 여러 대륙이나 강이나 호수, 바다 등지로 숭어, 여을멸, 대서양 연어를 비롯해 이런저런 물고기 낚시를 하러 다닌다. 친구인 이라 마셜이나 오티스 부스하고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열대우림 탐험 여행을 갔다 왔고, 가족들과는 영국과 이탈리아 등 세계 각국을 여행했다. 공룡이나 블랙홀, 심리학 등 다방면에 걸쳐 독서를 즐긴다. 자녀가 여덟명이나 되고 그 자녀들이 결혼해서 손자손녀들도 생겼기 때문에 생일파티나 졸업식, 결혼식, 세례식, 휴가철 가족행사에 참석하는 것만으로도 사교 생활에 빈틈이 없을 정도이다.

한도 급감 ‘대출 빙하기’ 올까…DSR 3단계, 600만명이 영향권

 

한도 급감 ‘대출 빙하기’ 올까…DSR 3단계, 600만명이 영향권



1억원 초과 대출에 DSR 40% 규제 시행
연봉 5000만원시, 연 4.5% 금리에 주담대 한도 3.7억→3.2억원
은행권 가계대출, 하반기도 감소세 유지될 듯




#. 연봉 5000만원을 받는 직장인 A씨(37)는 최근 경기도의 한 아파트 매매를 생각하고 있었지만, 대출 한도가 줄었다는 소식에 집을 사는 것을 미루게 됐다. 대출액이 3억7000만원이었지만 7월부터는 3억2000만원으로 줄었기 때문이다. 대출 금리마저 높아져 한도는 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A씨는 집값 하락 우려도 높아 당분간 아파트 매매를 할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대출 받기가 ‘바늘귀 통과하기’처럼 어렵게 됐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적용이 시행됐기 때문이다. 7월 1일부터는 대출 한도 1억원을 초과하면 DSR 40% 규제에 해당하면서 추가 대출이 불가능해진다. 고객들의 ‘내 집 마련’이 갈수록 더 어려워졌고, 은행은 대출 영업도 쉽지 않게 됐다는 분석이다.

대출 한도, DSR 규제로 3.7억원이 3.2억원으로
4일 금융권에 따르면 1일부터 전 금융권에 DSR 3단계가 시행됐다. 기존에는 2억원 초과 대출금에 차주별 DSR 40%가 적용됐다면 앞으로는 1억원이 넘는 대출에 적용된다. DSR은 연 소득에서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로, 소득 증가가 없이는 대출 한도를 높일 수 없다.

지난해 금융위원회는 DSR 3단계 시행을 기존 2023년 7월 적용에서 2022년 7월로 조기 시행한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금융위는 예상과 달리 가계대출이 급증하기 시작했고, 부동산 시장의 불안정이 커졌다고 판단했다.

DSR 3단계 적용에 따른 대출 한도 변화 [이코노미스트]
DSR 3단계 적용으로 앞으로 대출 한도는 크게 감소한다. 예를 들어 연 소득 5000만원의 직장인이 연 금리 4.5%로 주택담보대출(주담대)를 받을 경우, 7월 이전에는 3억7000만원까지 대출이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3억2000만원까지만 받을 수 있다.

여기에다 대출 금리가 높아지면서 소득이 그대로인 상태에선 대출 한도도 감소할 수밖에 없다. 위 사례에서 연 대출 금리가 4.5%에서 0.5%포인트만 높아져도 대출 한도는 3억2000만원에서 3억원으로 감소한다. 6월말까지 3억7000만원이었던 대출 한도는 DSR 강화와 금리 인상만으로 7000만원이나 감소했다.

한은이 6월 30일 발표한 ‘2022년 5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자료에 따르면 5월 예금은행의 신규 가계대출 금리는 연 4.14%로 지난해 말에 기록한 3.63%보다 0.51%포인트 높아졌다.

은행 고객 10명 중 3명은 대출 못 받는다
금융위는 DSR 3단계에 적용될 차주는 전체의 29.8%, 전체 대출의 77.2%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은행의 대출 고객 10명 중 3명은 기존 대출을 없애거나 소득이 증가하지 않는다면 추가 대출을 받을 수 없게 된 것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해 말 금융위원회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DSR 규제에 포함되는 대출자는 267만명이고, 7월에는 이보다 많은 593만명으로 나타났다.

대출받기가 어려워지면서 은행의 가계대출 감소도 하반기에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신한은행·하나은행·우리은행·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6월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총 699조6521억원으로 나타났다. 전월보다 1조4094억원 줄며 감소세가 6개월째 계속되고 있다.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해 8월 말(698조8149억원) 이후 700조원 이상을 유지했는데 이번에 다시 600조원대로 떨어졌다.

은행업계에서는 최근 대출 금리가 높아진 데다 올해 1월부터 DSR 40% 적용이 강화되기 시작하면서 가계대출이 감소한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1월 전까지는 DSR 40% 적용이 부동산 규제지역의 6억원 초과 주택 주담대에만 해당됐고, 신용대출은 1억원 초과부터 해당됐다. 이런 규제가 1월부터 2억원 초과부터 적용됐고, 7월부턴 1억원으로 강화된 것이다.

규제 강화 속 대출 한도 늘리려면?
정부에서는 대출 규제 강화에서도 생애 최초 주택 구매자나 사회 초년생의 내 집 마련을 위해 대안을 내놓으며 실거주자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생애최초 주택 구매자에 대해서는 본인 소득과 관계없이 LTV 상한을 80%로 높이기로 했다. 또 40년 만기 보금자리론에도 체증식 상환방식도입을 도입하기로 하면서, 청년과 신혼부부 등 사회 초년생이 대출 초기에 부담해야 할 상환 원리금을 낮추기로 했다.

아울러 연령대별 소득 흐름 평균을 고려해 대출 한도도 달리 적용하기로 했다. 20~24세면 현 소득의 1.5배, 25~29세는 현 소득의 1.3배를 번다고 가정해 DSR을 계산하고, 30~34세는 1.18배, 35~39세는 1.07배 정도 소득을 높여 계산하는 방식이다.

은행권에서는 신용대출 한도를 최근 연봉 이내에서 묶어 든 것을 풀고, 연봉의 최대 2배까지도 가능하도록 했다. 주담대 등 큰 규모의 대출이 없을 경우 신용대출을 더 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셈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리 인상과 함께 DSR 3단계 규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가계대출 감소도 계속 이어질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며 “다만 LTV가 완화됐고 신용대출 한도가 늘면서 일부 고객의 대출 여력은 이전보다 나아진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705&prsco_id=243&arti_id=0000028357

2022년 7월 3일 일요일

오세훈 "집값 더 빠져도 된다, 하락안정 시그널 계속 줄 것"

 

오세훈 "집값 더 빠져도 된다, 하락안정 시그널 계속 줄 것"






"하향안정화가 가장 바람직한 방향이고 이를 위해 안정적인 주택공급 시그널을 지속해서 (시장에) 줄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사진)이 부동산 시장의 방향성에 대한 생각을 솔직하게 밝혔다. 최근 조정기에 접어들면서 집값 하락에 대한 우려가 나오지만 그는 부동산 가격이 지금보다 더 하향안정화되는 게 바람직하다고 했다.

오 시장은 최근 서울시청 집무실에서 머니투데이와 취임 후 첫 인터뷰를 진행하고 "(부동산 시장이)폭락하면 안되지만 부동산가격은 지금보다 더 하향안정화돼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43만가구 공급 계획을 밝혔는데 최근 모아타운, 정비사업 등의 진행상황을 보면 50만가구 공급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시장 안정화를 위해) 계속해서 (공급 정책을) 밀고나갈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여당이 법안을 발의한 재건축초과이익환수금 부담완화 추진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오 시장은 "지역별·평형별 등 조금 더 정교하게 다듬어질 필요가 있다"면서 "서울시도 합리적인 조정이 필요하다는 내용을 (정부에) 건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는 재건축사업에 따른 조합원의 이익이 일정 금액을 넘어설 경우 세금으로 환수해가는 제도다. 재건축 사업성은 낮아지고 조합원의 부담은 높아져 재건축의 최대 걸림돌로 꼽힌다.

오 시장은 용산개발 사업에 대한 의지도 보였다. 그는 "대통령 집무실 이전으로 용산시대가 열렸다"면서 "국토교통부와 (정책적으로도) 호흡을 맞출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에야말로 사업추진의 적기를 놓치지 않고 가급적 빠르게 실행에 착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용산 국제업무지구를 금융중심지인 여의도와 글로벌 예술섬인 노들섬과 연계해 하이테크산업의 전진기지이자 디지털 대전환의 거점지역으로 만들겠다는 목표다. 현재 용산 국제업무지구 조성 마스터플랜의 세부계획을 조율 중이다.

이는 임기 내에 서울을 '글로벌 탑5'에 드는 도시로 만들겠다는 목표와도 연결된다. 오 시장은 "서울을 어떻게 매력적인 도시 공간으로 만들지에 대한 고민이 크다"면서 용산개발도 같은 맥락에서 추진하겠다는 의미다.

오 시장은 아울러 서울시가 추진 중인 용산구 한남근린공원 조성에 대한 방안도 내놨다. 그는 "근린공원 대신 문화공원으로 조성해 자금을 마련하는 방안을 찾아볼 수 있을 것 같다"면서 "문화공원으로 만들면 자금도 마련할 수 있고 주민 뿐 아니라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남근린공원 부지는 용산구 한남동 670 일대 나인원한남 등 고급 주택가 인근에 위치한다. 부지는 총 2만8319㎡로 땅의 주인은 부영주택이다. 최근 공시가격 상승으로 토지보상액이 약 4600억원으로 추정돼 재원 마련에 대한 부담이 커졌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704&prsco_id=008&arti_id=0004766245

올해 아파트 매매, 작년의 절반… 최악 ‘거래절벽’

 

올해 아파트 매매, 작년의 절반… 최악 ‘거래절벽’




5월까지 매매건수 15만5987건, 2006년 통계작성 이후 최저수준
규제 풀린 대구도 여전히 싸늘, 발표이후 매물 되레 더 쌓여
“금리인상에 당분간 회복 어려워”





올해 1∼5월 전국에서 이뤄진 아파트 매매 건수가 역대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최악의 ‘거래절벽’으로 지난달 말 규제지역에서 해제된 지방 주요 도시의 부동산 시장 역시 ‘냉랭한 분위기’를 벗어나지 못하는 분위기다. 향후 한국은행의 빅스텝 등 추가 금리 인상이 예상되는 만큼 지금과 같은 거래절벽 추세는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1∼5월 전국 아파트 매매 건수(신고 일자 기준)는 15만5987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31만5153건)의 ‘반 토막’ 수준으로 2006년 한국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이후 1∼5월 기준으로 가장 적은 수준이다. 매년 1∼5월을 기준으로 아파트 매매량이 20만 건을 밑돈 것은 올해와 2012년(19만4332건), 2019년(16만2961건) 등 세 차례에 불과하다.

최근 규제지역 해제가 결정된 지방의 주요 도시들 역시 침체 분위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정부가 이달 5일부터 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하겠다고 예고했지만 매수 문의가 늘어나지 않고 있다.

수성구를 제외한 전역이 규제지역에서 해제되는 대구가 대표적이다. 3일 기준 대구 아파트 매물 수는 3만2452건으로 규제지역 해제 발표가 이뤄진 지난달 30일(3만2447건)보다 매물이 늘었다. 규제 완화가 호재로 여겨지며 집주인들이 매물을 거둬들였던 보통의 부동산 시장과는 달리 오히려 매물이 쌓인 셈이다.

대구 동구의 중개업소 관계자는 “규제지역 해제 발표 이후 매수 문의가 몇 건 오긴 했지만, 실제 거래로 이어질 것이란 기대는 작다”며 “기준금리가 워낙 높은 데다 대구는 예정된 공급 물량도 많기 때문에 시장이 단기간에 반등되긴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지역도 분위기는 다르지 않다.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되는 전남 순천시의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규제에서 해제된다는 기대감은 있지만 당장 문의 전화가 급증하거나 매수하겠다는 사람이 나타나진 않고 있다”며 “순천은 인구가 적어서 실수요보다는 외지인 투자 수요가 거래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데, 금리가 높기 때문에 시장이 쉽게 움직이지 않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런 흐름은 부동산 경기 변화를 가장 빨리 체감하는 공인중개사들 사이에서도 감지된다. 지난해 10월 부동산 중개보수 상한이 절반 가까이 낮아진 데 이어 극심한 거래절벽이 몇 개월째 이어지면서 개업 공인중개사 수가 급감했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올해 전국 공인중개사 개업은 △1월 1993건 △2월 1480건 △3월 1499건 △4월 1415건 △5월 1253건으로 감소세가 뚜렷하다.

한국부동산원이 매주 발표하는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도 지난주 89.8(지난달 27일 조사 기준)로 2년 10개월 만에 처음으로 90 밑으로 떨어졌다. 서울의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주 87.0으로 떨어지며 8주 연속 하락했다. 매매수급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100보다 낮으면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많다는 뜻이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지금의 시장 분위기를 반전할 만한 모멘텀이 마땅치 않다고 강조한다. 권대중 명지대 교수는 “하반기(7∼12월)에 기준금리가 추가 인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택 거래가 단기간에 활발해지기는 어렵다”며 “극심한 시장 침체는 누구도 바라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정부는 상황을 면밀히 관찰하다 선제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704&prsco_id=020&arti_id=0003437941

집값 주춤해도 금리 오르니… 서울 중산층 구매 가능 아파트 2.6% 불과

 

집값 주춤해도 금리 오르니… 서울 중산층 구매 가능 아파트 2.6% 불과




KB주택구입잠재력지수 역대 최저
3%미만 가계대출 1년새 79.1%→9.5%

중산층이 대출을 받아 살 수 있는 주택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꾸준히 늘어났고 집값 상승세도 주춤해졌지만, 중산층이 살 수 있는 아파트 가격은 하위 2.6% 수준에 불과했다. 집값이 그간 오를 대로 오른데다 금리인상으로 대출이자 부담이 늘어난 탓이다.

4일 KB부동산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서울의 KB주택구입잠재력지수(KB-HOI)는 2.6으로 전분기(2.7)보다 0.1포인트 낮아졌다. 1년 전인 지난해 1분기(5.6)에 비해서는 절반 이하로 떨어진 수치로, KB부동산이 통계를 공개하기 시작한 2009년 3분기 이후 최저다.





주택구입잠재력지수란 중위소득 가구가 대출을 받아 주택을 구입한다고 가정할 경우, 구입가능한 주택 재고량을 알 수 있는 지표다. 중위소득 가구가 월소득 33%를 대출원리금 상환에 사용한다고 할 경우, 2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을 받아 구입할 수 있는 아파트의 비율을 보여준다. 주택구입자금 밑천은 30%를 기준으로 한다.

올해 1분기 중위소득 가구가 서울에서 대출을 받아 구입 가능한 아파트는 하위 2.6% 수준에 불과하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KB주택구입잠재력지수는 2019년 3분기(20.4) 이후 급격하게 하락하면서 2020년 4분기(7.3) 한 자릿수로 내려 앉았다. 그리고는 2021년 1분기 5.6, 2분기 3.9, 3분기 3.8, 4분기 2.7로 하락했다.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를 기준으로 한 소득은 지난해 1분기 510만원에서 올해 1분기 559만원으로 10% 이상 늘어났다. 연간 지출가능한 주거비용도 덩달아 늘어났지만 구입가능한 아파트의 수는 7만9000가구에서 3만7000가구로 반토막이 났다. 구입가능한 주택가격 또한 4억4235만원에서 4억3528만원으로 낮아졌다.

올해 1분기 대선을 전후해 규제완화의 기대감으로 집값이 상승하기는 했지만, 그 전의 급등기에 비해서는 기울기가 가파르지 않았다. KB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서울의 경우 지난해 12월 99.7에서 올해 3월 100.3으로 오르는데 그쳤다.

다만 확연히 달라진 것은 대출 여건이다. 지난해 7월까지만 해도 연 0.50%였던 기준금리가 본격적으로 오르면서 지난해 8월 0.75%, 11월 1.00%, 올해 1월 1.25%, 4월 1.50%, 5월 1.75%로 가파르게 올랐다. 한국은행이 산출하는 예금은행 가중평균 대출금리 중 주택담보대출금리는 1분기 3.86%로, 1년전(2.67%) 대비 1.19%포인트 높아졌다. 금리가 오르면서 매월 원리금 상환 부담이 크게 늘어났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실제로 저금리대출자의 비중은 급감하고 있다. 한은 경제통계시스템의 예금은행 가계대출 금리수준별 여신 비중에 따르면 1년 전인 지난해 5월까지만 해도 79.1%에 달했던 3% 미만의 가계대출 비중은 지난달 9.5%로 10% 아래로 떨어졌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잠재적인 주택구매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금리와 주택가격”이라면서 “금리인상의 여파가 시장에 번지기 시작하는 시기로 내집을 마련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 자체가 떨어지는 것으로 봐야 한다”고 했다.

한편 경기, 인천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주택구입잠재력지수 자체는 서울보다 높았지만, 빠른 속도로 하락해 역대 최저점에 있다는 점은 유사했다. 경기의 경우 주택구입잠재력지수가 지난해 1분기 40.2에서 올해 1분기 25.2로, 인천은 같은 기간 61.0에서 36.6으로 급락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704&prsco_id=366&arti_id=0000825023

수도권 아파트 청약경쟁률, 작년 30대 1→올해 13대 1

 

수도권 아파트 청약경쟁률, 작년 30대 1→올해 13대 1





올해 상반기 수도권을 중심으로 아파트 청약 시장이 침체국면이다.

4일 리얼투데이 조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 아파트(공공·민간 사전청약 아파트는 제외) 평균 청약 경쟁률은 14.0대 1, 평균 최저 당첨 가점(만점은 84점)은 24.1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 18.2대 1, 30.8점보다 하락한 것이다.

수도권은 같은 기간 경쟁률이 30.0대 1에서 13.1대 1로, 최저 당첨 가점은 41.0에서 29.5점으로 떨어져 낙폭이 더욱 컸다.

서울의 경우 올해 상반기 청약 경쟁률이 29.4대 1로, 작년 상반기(124.7대 1)의 4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 같은 기간 최저 당첨 가점은 61.1점에서 44.5점으로 무려 16.6점이나 떨어졌다.

경기는 평균 청약 경쟁률이 30.0대 1에서 9.6대 1로 3분의 1토막 났다. 최저 당첨 가점도 34.2점에서 23.8점으로 10점 넘게 내려왔다.

인천은 평균 청약 경쟁률이 17.4대 1에서 21.9대 1로 상승했지만, 최저 당첨 가점은 46.0점에서 34.2점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하반기(7∼12월)부터 집값이 고점이라는 인식이 커진 데다 올해부터 아파트 분양 잔금에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적용되는 등 대출 규제가 까다로워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또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작된 3기 신도시 사전청약으로 수도권의 청약 수요가 분산된 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지방은 평균 청약 경쟁률이 지난해 상반기 11.3대 1에서 올해 상반기 14.8대 1로 올랐다.

올해 상반기 지방 청약 시장 성적 또한 전반적으로 저조했지만, 세종(183.2대 1→397.2대 1)과 부산(23.7대 1→44.9대 1), 강원(4.0대 1→16.4대 1)이 평균치를 끌어올렸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704&prsco_id=215&arti_id=0001040579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 💰 매매가 : 7억 4,000만원 📅 입주 : 협의 가능 (원하시는 일정 조율 가능!) 🌄 💎 전망 최고! 탁 트인 시야로 막힘 없는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