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2월 7일 수요일

"급매 주웠나?"…이자부담 버틸 '체력' 갖춘 40대 주택 매수 늘어

 

"급매 주웠나?"…이자부담 버틸 '체력' 갖춘 40대 주택 매수 늘어




40대 거래량 1965건, 8월 이후 최다…"타 연령 대비 늘어"
"일시적인 현상일 것, 중장기적으로 거래량 확대는 어려워"





서울 아파트와 빌라 등을 사들이는 40대들이 지난달 크게 늘어났다. 금리인상에 따른 이자부담을 버텨낼 수 있는 체력을 가진 40대가 일부 집주인들이 급급매로 던지는 매물을 매수한 것으로 풀이된다.

8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의 집합건물 소유권이전등기(매매) 신청 매수인 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40~49세의 서울 집합건물 매입 건수는 총 1965건을 기록했다. 이는 전월(1500건) 보다 31% 늘어난 수치다. 지난 8월 이후 가장 많은 거래량이기도 하다. 40대의 매수 비중은 올해 8월까지 2000건 이상의 거래량을 기록하다가 9월(1639건)·10월(1500건)으로 줄곧 가라앉았다.

다른 연령층인 30~39세(9%), 50~59세(8%), 60~69세(14%)의 증가세와 비교하면 크게 늘었다. 19~29세는 13% 줄어들었다.

연이은 금리인상에 이자부담이 늘어난 상황에도 이를 버텨낼 여유가 있는 40대가 입지좋은 급급매를 주워 담은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 시장 침체가 지속되며 수억원 씩 내린 매물이 늘어나는 추세다.

서진형 경인여대 MD비즈니스학과 교수(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는 "자금력을 갖춘 40대에서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다보니 저점이라는 판단에서 시장에 나온 급매물을 매수한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지역별로 보면 전체적인 지역에서 거래량이 늘진 않았지만, 특정 지역에 거래량이 집중됐다. 특히 성북구에서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였는데, 28건에서 660건으로 직전월에 비해 2257%가 늘어났다. 서초와 양천, 은평구 등에서도 각각 50%, 52%, 92% 증가하며 꽤 가파른 오름세를 보였다.

다만 전문가들은 일시적으로 거래량이 늘어날 순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이들이 매수행렬에 동참할 가능성은 낮다고 봤다.

서진형 교수는 "물론 저점이라는 판단에 거래량이 일시적으로 늘어날 순 있겠지만, 지금 시장 상황에선 관망하려는 이들이 더 많다"며 "잠깐 시장에서 거래량이 조금 늘어난다고 해도 이게 수요자들의 매수심리를 자극하긴 어렵고 지금의 분위기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도 "거래량이 일부 늘었다고 40대의 매수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보긴 어려운 상황"이라며 "물론 40대의 거래량이 늘어났다는 것은 맞지만 최근 거래량이 받쳐주지 못하는 상황이라 수치가 늘었다고 해서 온전한 시장의 회복으로 점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1208&prsco_id=119&arti_id=0002665143

"보증금 못줘 배째라" 나쁜 집주인들 명단 공개 법안 발의

 

"보증금 못줘 배째라" 나쁜 집주인들 명단 공개 법안 발의




 




세입자들을 상대로 '배째라'식 태도로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않고 꿀꺽하는 악성 임대인들의 명단을 공개하는 법안이 국회서 발의됐다.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종배 의원(국민의힘·충북 충주시)은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을 대표로 발의했다고 밝혔다. 법안이 통과하면 악성 임대인 명단 공개에 대한 근거가 마련된다.

앞서 최근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깡통전세(전세보증금이 매매가를 웃도는 집)가 늘어나면서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집중관리 다주택 채무자 수가 많아졌다는 지적이 있었다.

집중관리 다주택 채무자는 대위 변제가 3건 이상 발생한 채무자 중 ▲연락 두절 등 상환 의지가 없는 자 ▲최근 1년간 임의상환 이력이 없는 자 ▲미회수채권 총액이 2억원 이상인 자 ▲기타 집중관리가 필요하다고 영업부사장(관리센터)이 지정한 자 등이다.

이 이원은 임대인이 총액 2억원 이상의 임차보증금을 변제하지 않아 HUG가 보증채무를 대신 이행하고 과거 3년간 보증금 미반환으로 민사집행법에 따른 강제집행, 보전처분 등을 3회 이상 받은 임대인의 인적사항 등을 공개할 수 있도록 했다.

실제로 전세보증금반환보증사고는 2018년 372건에서 지난해 3442건으로 약 10배 증가했다. 올해는 이미 8월에만 2408건의 보증사고가 발생했다.

이 의원은 "지난 정부에서 부동산 가격이 폭락해 깡통전세가 사회 문제로 대두되면서 전세 세입자들이 보증금을 반환받지 못할까 전전긍긍하고 있다"며 "서민들이 전세보증금을 반환받지 못하게 되는 상황을 근절하기 위해서는 악성 임대인 명단 공개는 꼭 필요한 내용"이라고 말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1208&prsco_id=417&arti_id=0000875904

2022년 12월 6일 화요일

상위 20% 평균 자산 16억5000만···하위 20%의 64배

 

상위 20% 평균 자산 16억5000만···하위 20%의 64배







자산 상위 20%(자산 5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이 하위 20%(자산 1분위)의 64배에 이르면서 역대 가장 큰 격차를 나타냈다.

7일 통계청의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보면 자산 상위 20% 가구의 자산은 지난 3월 말 기준으로 16억5457만원, 하위 20%는 2584만원으로 차이는 64배였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2년 이후 최대치이다. 종전 최대 격차는 2012년 62.4배였다.

지난해까지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상위 20%의 자산도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2021년 3월부터 지난 3월까지 전국 주택 매매 가격은 7.47% 상승했다. 이 기간에 상위 20%의 자산은 1억3769만원(9.1%) 늘었고 이중 부동산 증가분이 1억2853만원(10.7%)이었다.

분위별로 부동산 자산을 보유한 가구 비중을 보면 5분위의 98.6%가 부동산 자산을 보유했지만 1분위는 10.1% 뿐이었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 격차도 커졌다. 불평등도를 측정하는 순자산 지니계수는 0.606으로 2012년(0.617) 이후 1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지니계수는 0과 1 사이의 값이고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도가 높다는 뜻이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1207&prsco_id=032&arti_id=0003191271

[2023 부동산 전망]상업용 부동산도 ‘적색경보’…“어느 것 하나 좋은 게 없다”

 

[2023 부동산 전망]

상업용 부동산도 ‘적색경보’…“어느 것 하나 좋은 게 없다”







상업용 부동산마저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내년에도 어려움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금리 인상 기조가 예견되는데다,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이 1%대 전망이 나오는 등 경기침체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7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부동산 담보대출 금리의 바로미터가 되는 여신전문금융채권 AA+ 3년물 금리는 지난달 3일 6.016%까지 솟았다.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해당 금리는 2.372%에 그쳤지만 11개월여만에 2.5배 급등했다.

금리 인상은 상업용 부동산 시장을 휘청이게 하고 있다. 상업용 부동산 기업 부동산 플래닛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9월 기준 상업·업무용 빌딩과 상가·사무실을 합한 상업용 부동산 거래금액은 2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7조1000억원보다 61.9% 줄어든 수준이다. 8월 5조6000억원보다도 51.8% 감소했다.

거래량도 마찬가지로 쪼그라들었다. 9월 기준 상업용 부동산 거래량은 전체 부동산 거래의 6.4%에 해당하는 4024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6965건보다 42.2% 감소했다. 전월(5407건)보다는 25.6% 줄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당장 내년을 기점으로 ‘꼬마빌딩’(연면적 100㎡ 초과 3000㎡ 이하 상업업무용 빌딩) 급매물이 쏟아져 나올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꼬마빌딩 투자자는 통상 고정금리 3년 기간을 두고 이후에는 변동금리로 바뀌는 고정형(혼합형) 대출을 받는다. 금리 상승기와 고정금리 기간이 끝나는 시점이 맞물려 건물주들의 빚 부담이 본격화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오피스텔 시장도 암울하다.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7월~11월27일 기준) 오피스텔 청약 경쟁률은 평균 1.2대 1로 나타났다. 전국에서 8972가구 모집에 1만974건이 접수됐다.

전년 동기 경쟁률은 24.9대 1로 최근 분위기와 상반된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1만4889가구 모집에 37만1007건의 신청이 몰렸다. 지역별 추이는 서울은 11.7대 1→1.8대 1, 수도권은 28대 1→1.2대 1, 지방은 4.6대 1→1.4대 1을 기록했다. 지난해 하반기 청약에 나선 오피스텔 단지 31개 중 경쟁률 1대 1을 밑돈 곳은 4곳(12.9%)에 불과했다. 반면, 올해는 41개 오피스텔 중 17개 단지(41.5%)가 공급량보다 신청 건수가 적어 경쟁률이 1대 1보다 낮았다.

기존 오피스텔의 매매량도 절반 아래로 감소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전국 오피스텔 매매량은 2만4436건이나 올해 하반기는 1만1854건으로 1년새 51.5% 감소했다. 서울은 7446→3769건, 수도권은 1만8281→8511건, 지방은 6155→3343건 등으로 조사됐다.

부동산 투자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구가해온 토지 거래 시장도 위축될 전망이다. 막대한 자본이 투입되는 토지 시장은 규모의 특성상 주택에 비해 금리나 시세 흐름에 비교적 둔감한 경향을 보인다. 그럼에도 올해 하반기 지속적인 금리 인상에 따른 부동산 시장 전반의 활력이 저하하면서, 토지 시장 역시 거래 동력이 빠르게 떨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일으키지 못하며 토지 매입에 나서지 못하는 사례도 속속 등장하면서, 당분간 토지 거래 가뭄은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전국 토지 거래량은 약 48만필지(383.1㎢)로 전 분기 대비 17개 시·도에서 모두 내림세를 보이며 26.4% 급감했다. 이는 2013년 3분기(46만6000필지) 이후 9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1207&prsco_id=277&arti_id=0005188321

임대사업자 혜택 부활에 '다시 안속아'…등록해? 말아?

 

임대사업자 혜택 부활에 '다시 안속아'…등록해? 말아?




등록임대사업자 혜택 연내 부활 예고
아파트까지 확대? 임대차 안정 기대
혜택 줬다 뺏다 '가두리 정책' 비판도


등록임대사업자 혜택 부활을 앞두고 시장에선 우려부터 나오고 있다. 정부는 이를 통해 임대사업자 등록을 유도, 임대차시장 안정화를 기대하고 있지만 정작 집주인들은 콧방귀를 뀌는 분위기다.

사업 대상이 아파트까지 확대된다고 해도 평형·주택 가액에 제한을 둘 가능성이 높은 데다, 그동안 임대사업자 혜택을 두고 '줬다 뺏었다'를 반복한 통에 정책 신뢰도가 떨어졌다. 벌써부터 신규등록을 꺼리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등록임대 하세요~' 전세시장 안정되나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달 28일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부동산 시장 안정 등을 위한 조치로 등록임대사업자 제도를 연내 개편하겠다고 밝혔다. 

등록임대사업자 제도는 임대사업자가 임대 기간(10년 이상), 임대료 증가율(5% 이하) 등의 요건을 지키는 대신 종합부동산세 합산 배제 등의 혜택을 받는 제도다. 

정부는 등록임대사업자 혜택을 늘려 임대 공급을 안정시킨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지난달 민간건설 임대주택에 대한 양도소득세 과세 특례 기한을 기존 2022년에서 2024년까지 연장하는 내용을 담은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이 기간 민간 건설임대주택으로 등록하는 임대사업자는 일정 요건을 채우면 양도소득의 70%에 대해 장기보유특별공제를 비롯해 양도세 중과 배제, 종합부동산세 합산배제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밖에 규제 완화 및 인센티브 확대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달 21일 "등록임대사업자 제도와 관련해 고민을 많이 하고 있는데 등록임대사업을 넓혀야 한다는 게 기본 입장"이라며 종합적인 개편 방안을 검토해 연내 발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 방안으로 소형 아파트로 대상 확대, 추가 세제 지원 등이 거론되고 있다.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 아파트 등록임대 부활은 윤석열 대통령의 후보 시절 대선 공약이기도 하다. 

그동안 시장에선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려면 아파트를 포함해야 한다고 지적해 왔으나, 정부는 시장 불안을 이유로 다세대주택 등 비아파트에 대한 장기 등록임대사업만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올 들어 주택 거래가 끊기고 집값 하락기에도 보유세 부담이 과중하다는 논란이 나오자 아파트 등록임대사업자 부활이 유력해진 상황이다.  

감면했던 각종 세제 혜택도 다시 되살릴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에 따라 등록임대주택이 많아지면 '월세의 전세화', '역전세난' 등 현 임대차시장의 불안을 잡을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최근 금리 인상으로 인해 대출이자 부담이 늘면서 전세보다 월세 수요가 높아지고, 집값 하락으로 전셋값이 역전되는 등 부작용이 심화하고 있다. 

여기에 '입주 폭탄'까지 앞두고 있어 적체된 물량 해소가 시급한 상황이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2021년 28만6447가구 △2022년 33만2514가구 △2023년엔 33만8744가구 등으로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이랬다 저랬다..."이번엔 안 속아!"



다만 지금까지 거론된 혜택만으론 시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기 어려울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등록임대주택의 범위가 아파트까지 확장된다고 해도 주택 취득 가액 기준(6억원, 비수도권 3억원)과 소형 평형 등 대상이 한정적이기 때문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0월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중위매매가격은 9억3350만원으로 25개 자치구 중 중위매매가격이 6억원 아래인 자치구는 한 곳도 없다. 

특히 그동안 등록임대사업자에 대한 혜택을 줬다가 뺏기를 반복한 통에 정책 신뢰도도 바닥인 상황이다. 

등록임대사업자 제도는 박근혜 정부인 2014년 '주택 임대차시장 선진화방안'을 통해 혜택이 확대된 이후 문재인 정권 초 집값 상승세를 막기 위해 각종 인센티브가 추가 확대됐다. 

그러나 집값 상승세가 꺾이지 않자 화살은 임대사업자에게 돌아갔다. 정부는 다주택자들이 등록임대를 조세 회피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보고 2019년 12·16대책과 2020년 7·10대책 등을 통해 관련 혜택을 축소해 나갔다.

이에 따라 임대사업자의 의무 임대 기간이 4년, 8년에서 일괄 10년으로 늘어나고 빌라·오피스텔 등 비아파트를 제외한 아파트 매입임대 제도는 아예 폐지됐다.

집주인들은 혜택을 준대서 임대사업자로 등록을 했더니 2년여 만에 혜택이 폐지되면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게 된 상황을 두고 '가두리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이번에도 혜택을 확대했다가 또다시 뺏을 수 있다며 섣불리 등록하지 않겠다는 움직임이 포착된다. 실제 부동산 커뮤니티에는 "임대사업자 혜택을 미끼로 가입시켜놓고 의무만 잔뜩 부여한 채 혜택은 다시 뺏길 수 있다. 두 번은 안 속는다" 등의 글들이 다수 올라와 있다. 

전문가들은 적극적인 인센티브 없이는 등록임대 활성화를 이루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등록임대주택의 목적은 임대 가격 완충 역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며 "더군다나 지금은 부동산 시장이 어려운 상황이라 팔아도 손실인 경우엔 임대사업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다만 정책은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되는데 그동안 정책 변화가 많았던 경험 탓에 적극적인 인센티브가 없다면 주택 보유자들이 움직이지 않을 것"이라며 "특히 보유세 인센티브를 강화해서 집주인들이 오래 보유해서 임대할 수 있게끔 유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1207&prsco_id=648&arti_id=0000012184

2022년 12월 5일 월요일

“파느니 물려준다"…서울 강남·노원구 주택 거래 3건 중 1건 '증여'

 

“파느니 물려준다"…서울 강남·노원구 주택 거래 3건 중 1건 '증여'





10월 전국 주택 거래 중 12.36% 증여…월간 기준 역대 최대치
"하락기 틈타 증여 움직임…내년 세금 부담 늘 수 있어 추세 지속"





금리 인상과 경기 둔화 여파에 부동산 거래 절벽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증여 비중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매매로는 제값을 받지 못할 것이란 인식에 내년부터 증여로 인한 세금 부담이 늘어날 것이란 예상까지 겹치며 올해 남은 기간 증여 비중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10월 전국 주택 거래 5만8347건 중 증여는 7212건으로 전체 거래의 12.36%를 차지했다. 이는 월별 기준으로 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조사하기 시작한 2006년 이래로 가장 높은 수치다.

통상 주택 증여 비중은 전국 기준으로 월간 5% 안팎으로 유지돼왔다. 2020년 8월(10.05%) 처음으로 두자릿수를 기록한 뒤 2021년 3월(11.26%), 4월(10.00%), 12월(10.75%) 등 간헐적으로만 10%를 웃돌았다. 하지만 올해 하반기 들어서는 9% 이상을 꾸준히 유지 중이다.

같은 기간 서울에서는 전체 거래의 13.10%(5435건 중 712건)이 증여로 나타났다. 25개 자치구 중 증여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강남구로, 전체 거래 211건 중 66건(31.28%)이 증여였다. 노원구는 120건 중 35건(29.17%)으로 거래 3건 중 1건이 증여로 조사됐다.

인천은 증여 비중이 13.40%로 집계됐다. 전월(7.74%) 대비 두 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경기도는 12.74%로 부동산원 조사 이래 역대 최대 비중을 기록했다.

업계에서는 거래 절벽과 집값 하락기를 맞아 증여가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강남구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 관계자는 "요즘 거래가 없어 매도가 쉽지 않고, 제값을 받기도 어려운 상황"이라며 "하락기엔 과세기준금액이 낮아져 세금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다주택자들은 파느니 물려주는 것을 택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내년부터 증여로 인한 세금 부담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점도 증여를 부추기는 요인 중 하나다.

내년 1월1일부터 증여 취득세 과세 표준이 '시가표준액'에서 '시가인정액'으로 바뀐다. 시가표준액은 시세의 60~70% 수준인 공시가격이 기준이지만, 시가인정액은 취득일 전 6개월~취득일 후 3개월 내 매매사례 등 시가로 인정되는 가액을 기준으로 삼는다.

양도세 이월 과세가 적용되는 기준도 내년부터 5년에서 10년으로 늘어난다. 증여받은 집을 다시 팔 때 양도세를 아끼려면 이월 과세 적용 기간 이후 양도해야 하는데, 내년부터 증여받는 자산에 대해서는 이 기간이 2배로 길어지는 것이다.

여기에 정부가 서울과 과천, 성남, 하남, 광명을 제외한 전국 모든 지역을 규제지역에서 풀면서 증여 부담도 일부 줄었다. 조정대상지역에서는 다주택자가 공시가격 3억원 이상 주택을 증여할 경우 12%로 뛰는데, 비조정지역은 다주택자더라도 취득세율 3.5%가 일괄 적용된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최근 집값 조정으로 세금 부담이 줄어들기도 했고, 증여가 다주택자들의 주택 처분 추세로 자리 잡은 분위기"라며 "내년에 져야 할 부담 부담도 커지기 때문에 또 다른 정책 변화가 없으면 증여 비중 증가 추세는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1206&prsco_id=421&arti_id=0006502225

역대급 집값 급락 속 상위 20% 초고가 아파트 高高 양극화 계속

 

역대급 집값 급락 속 상위 20% 초고가 아파트 高高 양극화 계속




KB부동산 11월 통계 표본 확대…서울 5분위 아파트값 1.2억 ↑
5분위 배율, 10월 4.2→11월 4.5…"금리 충격, 중저가 더 커 하방압력 ↑"






전국 아파트값 급락세 속에서도 초고가 아파트값은 오히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 인상 충격이 중저가 아파트에 더 크게 다가와 양극화 현상은 여전했다. 다만 관련 통계를 발표한 KB부동산은 표본 수 확대가 초고가 아파트값 상승에 영향을 줬다면서 집값의 추세적인 하락세는 이전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했다.

6일 KB부동산에 따르면 11월 전국 5분위(상위 20%)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3억1039억원으로 집계됐다. 10월 평균 매매가보다 7255만원 증가했다. 서울 역시 10월 대비 1억2488만원 오른 25억4284만원으로 집계됐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도 1억원 이상 상승한 17억1260만원으로 조사됐다.

5분위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상승세는 표본 수 확대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KB부동산은 11월부터 통계 표본 조사 지역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표본 수도 3만2000가구에서 6만2000가구로 배 가까이 늘렸다.

5분위와 달리 1~4분위 아파트에서는 표본 수 확대가 평균 매매가격을 끌어내린 것으로 보인다.

전국 1분위(하위 20%)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1월 1억2289만원으로 10월보다 169만원 하락했다. 서울도 10월 대비 1514만원 하락한 5억6014만원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같은 기간 2억6685만원에서 2억6379만원으로 306만원 내렸다.

5분위 아파트값은 오르고 1분위는 내리면서 5분위 배율은 전국 기준 10월 9.9에서 11월 10.7로 껑충 뛰었다. 같은 기간 서울은 4.2에서 4.5로, 수도권은 6.0에서 6.5로 각각 증가했다. 숫자만 놓고 보면 5분위 배율은 이전보다 확대, 양극화가 심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KB부동산 관계자는 "표본 수를 늘리는 과정에서 편입된 초고가 아파트는 가격 상승에 영향을 줬고, 반대로 중저가 단지는 저분위 가격에 영향을 줬다"라면서 "집값 하락 추세는 이전과 다르지 않으며, 추세적인 현상이 12월 통계에서 잘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부동산업계는 최근 집값 하락 현상은 일부 초고가 단지를 제외하면 대부분 가격대의 아파트에서 나타난다면서도 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 상환 부담이 중저가 실수요층에 더 영향을 끼친다고 했다. 상환 부담은 집값 하방 압력으로 작용해 초고가와 중저가 아파트 양극화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집값 상승기 때처럼 양극화가 심화하지는 않겠지만, 주택 시장 '양극화'라는 추세는 이어진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통상 상승기 때는 고가 아파트의 가격이 더 가파르게 올라 저가와 고가 아파트 가격 차이가 더 벌어진다"라면서 "금리 인상으로 매수세 유입에 따른 상승 동력은 사실상 없다"고 말했다. 이어 "대출 금리 상승으로 상환 부담이 늘 텐데 아무래도 초고가 아파트 보유자보다는 중저가 집주인의 부담이 더 클 것"이라며 "수요가 뒷받침하는 지역의 고가 아파트와 그렇지 않은 아파트의 양극화는 계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1206&prsco_id=421&arti_id=0006502253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 💰 매매가 : 7억 4,000만원 📅 입주 : 협의 가능 (원하시는 일정 조율 가능!) 🌄 💎 전망 최고! 탁 트인 시야로 막힘 없는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