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24일 금요일

서울 아파트 거래 3건 중 1건은 30대…매수비중 3개월 연속 상승

 

서울 아파트 거래 3건 중 1건은 30대…매수비중 3개월 연속 상승





30대 매수비중, 작년 소폭 줄었지만 작년 말부터 다시 늘어





서울 아파트 거래에서 30대 매수세가 회복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가 한국부동산원 아파트 매매거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서울에서 30대 매수 건수는 지난해 11월 171건으로 바닥을 찍은 후 12월 232건, 1월 305건으로 3개월 연속 상승세로 나타났다. 작년 9월부터는 40대 매매거래 건수도 추월했다.

서울은 2019년 연령별 매수 통계가 나온 이후 줄곧 30대의 매수 건수가 40대 등 타 연령대 보다 많은 지역이다. 서울 전체에서 30대 매수 비중(괄호안은 전국)은 △2019년 28.8%(24.0%) △2020년 33.5%(24.3%) △2021년 36.4%(24.8%)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했다. 다만 지난해는 28.2%(22.3%)로 소폭 감소했다.

반대로 40대 매수 비중은 줄고 있다. △2019년 28.7% △2020년 27.5% △2021년 26.4% △2022년 23.6%로 하향세다.

최근 청약규제 개편으로 30대의 매수세는 더 강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3 대책에 따라 강남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서울 전역이 규제지역에서 해제되면서 추첨제 비율이 전용 85㎡ 이하 60%, 85㎡ 초과 100%다.

부동산인포 권일 리서치 팀장은 "대출 금리가 떨어지고, 특례보금자리론 등이 출시되면서 구매 부담이 줄었고, 급매물도 여럿 나와 30대가 적극 매수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라며 "30대의 내집마련 의지가 여전히 높고, 새 아파트를 가장 합리적 가격에 살 수 있는 것은 여전히 분양을 받는 것인 만큼 청약 추첨제를 노리는 수요도 더욱 늘어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324&prsco_id=079&arti_id=0003751109

"1억 깎아주세요"...수도권 아파트 거래 급매가 주도

 

"1억 깎아주세요"...수도권 아파트 거래 급매가 주도







지난 2월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아파트 매매거래에서 직전거래 보다 5% 이상 떨어진 거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가 늘어난 상황에서 내집마련 실수요자는 여전히 호가 보다 수억원 떨어진 급매물만 사기 때문이다. 다만, 전체 거래에서 5%이상 떨어진 거래 비중은 줄면서 지역별로 직전거래 보다 오른 값에 거래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거래 5% 이상 하락

24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월 서울·인천·경기 아파트 매매 거래 중 직전 거래 보다 5% 이상 하락(대폭하락)한 거래량은 전년동월 대비 각각 2.89배(서울), 2.42배(인천), 2.35배(경기) 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세 대비 떨어진 가격인 급매물 거래가 활성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분석은 동일한 아파트 단지의 같은 면적 주택이 반복 거래됐을 때 직전 거래와 가격 차이를 비교한 것이다. 취소된 거래나 주택형별 최초 거래, 직전 거래 후 1년 이상 지난 거래는 집계하지 않았다. 직방은 △대폭 하락(5%이상하락) △소폭 하락(1%~5%하락) △보합(-1%~+1%) △소폭 상승(1~5%상승) △대폭 상승(5%이상상승)으로 나눴다.

2월 서울에서 거래된 아파트 중 직전 거래가보다 5% 이상 하락(대폭하락)한 가격에 거래된 건은 523건이다. 올해 1월(429건), 지난해 12월(278건)과 비교해도 거래량이 많다. 매매거래가 늘어난 영향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날 기준 2월 서울 매매거래는 2413건으로 1년4개월 만에 월 2000건을 넘어섰다.

대폭하락 이유...급매물 위주 거래때문

2월 경기는 대폭하락은 2321건으로 전년동월(988건) 보다 약 2배 이상 늘었다. 지난해 12월(1384건), 1월(1736건)과 비교해도 증가했다. 인천 대폭 하락은 561건으로 전년동월(232건) 보다 300건 이상 증가했다. 지난해 12월(351건), 올해 1월(475건)으로 거래가 늘었다.

부동산 업계는 대폭하락이 늘어난 이유로 급매물 위주 거래시장을 꼽았다. 매수자 입장에서 주변시세 보다 떨어진 급매물 외에는 사지 않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강남역 인근 A공인중개사는 “금리인상 속도가 더뎌졌지만 여전히 금리가 오를 것이란 우려가 있는데다 아파트값 하락국면에서 매수자들은 더 떨어질 것으로 생각해 관망세가 뚜렷하다”고 말했다.

다만, 하락 거래량 자체가 많지만 전체 거래에서 대폭하락이 차지하는 비중은 줄었다. 아 때문에 일각에선 현재 급매물 위주 시장 당분간 계속되겠지만 입지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봤다. 2월 서울 매매거래에서 대폭하락은 30.3%로 전월(41.7%)보다 11.4%포인트 줄었다. 인천 대폭하락 비중은 올 1월 전체의 40.8%였으나 2월 29.2%로 감소했다. 경기도 1월 40.7% 보다 2월 30.7%로 더 줄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324&prsco_id=014&arti_id=0004986198


#수도권 #아파트 #급매물 #매매거래

2023년 3월 22일 수요일

"이참에 이사할까"...稅부담 줄어 '상급지 갈아타기' 움직임 가능성

 

"이참에 이사할까"...稅부담 줄어 '상급지 갈아타기' 움직임 가능성




기사내용 요약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 전년 대비 18.61% 하락
"심리적 부담은 낮췄지만 거래량 회복엔 제한적"
"주택 보유자 매물 출회 압박 줄여...관망세 예상"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역대 최대치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주택 보유세, 건강보험료 등 국민 부담은 줄었지만 주택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3일 국토교통부가 전날 발표한 2023년도 공동주택 공시가격안에 따르면 올해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는 전년 대비 18.61% 하락했다. 지난해 공시가가 17.20% 상승한 것을 감안하면 사실상 2021년 수준으로 환원한 것이다.

지난 정부에서 '공시가 현실화 로드맵'을 급격하게 추진하면서 공시가는 2021년 19.05%, 2022년 17.20%씩 올랐었다. 이에 따라 보유세 부담이 급증하면서 주택 소유자들의 반발이 극심했다.

큰 폭의 금리인상과 수요자들의 집값 고점인식에 지난해 집값이 큰 폭으로 하향 조정됐고, 정부가 '공시가격 현실화 수정계획'을 내놓으면서 현실화율이 71.5%에서 2020년 수준인 69.0%로 낮아지면서 올해 공시가는 역대급으로 많이 내렸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아파트 일부에서 나타나는 공시가격과 실거래 간 역전 문제가 줄면서 공시가에 대한 수요자 수용성이 개선되고 이의 이견 신청 건수도 다소 감소할 전망"이라며 "부동산 보유 관련 과세 부담은 과거보다 경감될 것" 내다봤다.

함 랩장은 "일부에선 보유세 부담을 임차인에게 전가해 빠른 월세화에 영향을 줬다는 점에서 과세 속도조절이 해당 부작용을 감소시킬 전망"이라며 "주택보유 관련 심리적 부담을 낮추고 1주택 교체수요의 시장 진입문턱을 낮추는 효과를 기대할 만 하다"고 덧붙였다.

세금 부담이 줄어든다고 해서 주택 거래량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등의 효과는 적을 것이란 게 대부분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다만 집주인들은 가진 매물을 급히 팔지 않고 한동안 관망세를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고금리에 하락 기대심리가 여전해 집값 불안을 자극할 가능성은 낮다"며 "기존 주택 보유자의 세 부담이 적어져 매물 출회 압박을 줄여줄 것"이라고 짚었다. 함 랩장은 "기준금리 인상 속도는 조절되고 있지만 경기둔화 우려 및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미분양 순증 등 주택시장의 각종 지표 회복이 불확실하다. 주택 거래량 평년 회복 등 효과는 제한적"이라며 "주택보유에 따른 세금 부담이 낮아지며 급하게 처분하지 않고 관망하려는 움직임이 예상된다"고 했다.

고가주택에 대한 세 부담이 줄어들면서 상급지 위주 갈아타기 수요도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팀장은 "서울 수도권을 중심으로 고가주택이 몰려 있는 만큼 보유세 절감 효과가 커 타 지역 대비 상대적으로 수요층 유입 가능성이 높다"며 "거래량이 늘어나면서 가격 하락폭도 기존보다 축소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

박 수석전문위원은 '똘똘한 한 채'와 여러 주택 보유 현상이 병존할 수 있다고 봤다. 그는 "강남 등 고가주택 밀집지역에서는 부부공동명의를 통한 '똘똘한 한 채' 흐름이 유지될 수 있으나, 비강남 2주택 보유자들은 종부세 부담 때문에 주택 수를 줄이는 경우는 많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올해 공시가 하락은 무엇보다 집값이 급락했기 때문이다. 정부가 지난해 한 차례 공시가 현실화 수정계획을 내놓긴 했지만, 제도에 대한 근본적 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번 공시가 하락은 정책효과보다 대외요인에 의한 국내 부동산 가격의 변동에 영향받는 측면이 크다"며 "2020년 수준으로 공시가격이 조정되는 것만이 아닌, 장기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field&news_type_cd=10&prsco_id=003&arti_id=0011757988

계약 전 임대인 미납세액 열람 가능…임대차법 개정안 국회 소위 통과

 

계약 전 임대인 미납세액 열람 가능…임대차법 개정안 국회 소위 통과







전세사기 방지를 위해 임대인의 정보를 계약 전 임차인이 미리 알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의결됐다.



전세사기 방지를 위해 임대인의 정보를 계약 전 임차인이 미리 알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의결됐다.

국회 법사위는 22일 법안심사제1소위원회를 열고 임대차계약 전 임차주택 정보와 임대인의 미납세액 등에 대한 임차인의 열람권을 확보하는 임대차법 개정안을 의결했다.

개정안은 임대차계약 시 확정일자 부여일, 차임(임차물 사용 대가로 지급하는 돈 등) 및 보증금에 관한 정보와 납세증명서를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제시하도록 하고 있다.

임대인은 임차주택 관련 정보나 미납세액 열람에 대해 동의하도록 하고 임차권등기명령이 임대인에게 송달되기 전에도 이를 집행할 수 있도록 했다.

이날 의결된 법안은 오는 27일 법사위 전체회의를 거쳐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될 전망이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323&prsco_id=119&arti_id=0002695084

서울 주택경기전망지수 상승… 부동산 연착륙 기대?

 

서울 주택경기전망지수 상승… 부동산 연착륙 기대?





 


부동산 시장을 바라보는 주택사업자들의 전망이 소폭 개선됐다. 22일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지난달 대비 이달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전국적으로 5.5포인트(p)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규제지역과 분양가 상한제 적용지역 해제, 중도금 대출 보증 분양가 상한 과 특별공급 분양가 기준 폐지 등 침체에 빠진 시장을 되살리려는 정부의 각종 대책이 이달부터 효과를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고금리 여파로 부동산 시장이 침체에 빠지자 정부가 내놓은 '1.3 대책'과 '노후 신도시 특별법' 등의 규제 완화책 영향으로 주택시장을 바라보는 사업자들의 전망이 다소 긍정적으로 변화했다. 다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또 한번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있는 만큼 추후 지수는 다시 감소세로 돌아설 수 있는 상황이다.

23일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전국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지난달 (67.6)에 비해 5.5포인트 올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11.2포인트, 지방 4.2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서울은 24.2포인트(64.0→88.2) 오르며 큰 상승폭을 보였으나 인천은 2.7포인트(61.1→63.8), 경기는 6.6포인트(64.5→71.1)로 소폭 올랐다.

조강현 주산연 연구원은 "최근 은행권 금리인하 움직임과 부동산 시장 연착륙을 위한 정부의 규제 완화 정책을 다수의 주택사업자들이 적극적으로 시행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며 "이를 통한 실질적 거래량이 늘고 주택건설사업 불안정성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생기면서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지방의 경우 울산(7.4) 강원(5.8) 대전(-3.9)이 하락 곡선을 느렸다. 주산연 측은 지난달 강원과 대전, 울산의 지수가 20.5포인트, 18.1포인트, 17.6포인트씩 크게 상승하며 조정심리가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이달 자금조달지수는 78.5로 전월(72.9)보다 5.6포인트 상승했다. 조 연구원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에 대한 자금지원과 보증규모 확대 등 적극적인 부동산 금융경색 완화조치와 부동산시장 연착륙을 위한 규제완화 정책이 선제적으로 시행됐기 때문"이라며 "최근 미국 SVB 파산과 3월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국내 금융시장이 타격을 받을 경우 추후 자금조달지수는 다소 악화될 수 있다"고 전했다.

3월 자재수급지수는 1.9포인트(86.5→ 88.4) 개선됐다. 유가 하락과 부분적인 원자재 공급망 정상화, 신구발주 감소 등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323&prsco_id=417&arti_id=0000906048

공시가 하락에… 지역가입자 건보료 年4만6000원 감소

 

공시가 하락에… 지역가입자 건보료 年4만6000원 감소




[공동주택 공시가 역대 최대 하락]
소득환산액 줄어 복지수혜는 확대
생계급여-국가장학금 대상 늘듯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의 아파트 단지. 뉴스1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역대 최대 폭으로 하락하면서 건강보험료 부담이 줄고 국가 장학금 수혜자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공시가격은 보유세뿐만 아니라 건강보험료, 기초생활보장 수급, 기초연금과 복지수급 등 60여 개 행정제도의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2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가 1인당 한 해 평균 4만6000원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건강보험료는 소득·재산에 따른 등급별 점수에 따라 매긴다. 재산가액은 공시가격에 비례하기 때문에 공시가격이 낮아지면 건보료 부담도 완화된다.






건보료 조정은 올해 11월부터 이뤄진다. 지난해 공시가격 3억5200만 원인 아파트를 보유한 지역가입자는 올해 공시가격이 2억8600만 원으로 떨어지며 재산보험료가 한 달에 8만442원으로 전년 대비 15.7%(1만5023원) 줄어든다. 지난해 공시가격 17억5800만 원짜리 아파트는 올해 14억3100만 원으로 공시가격이 내리면서 지역가입자 재산보험료가 19만7293원에서 17만5264원으로 11.2%(2만2029원)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복지 수혜자도 확대된다. 생계급여의 경우 지난해 서울에 주택(공시가격 1억7000만 원)을 보유한 1인 가구(소득·다른 재산 없는 경우)는 소득인정액(73만8000원)이 지원 기준인 중위소득 30%(58만2000원)를 넘겨 대상에서 제외됐다. 올해는 이를 충족해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다. 신규 신청자는 올해 11월부터, 기존 수급자는 내년 4월부터 변경된 공시가격이 적용된다.

내년 5월 신청받는 근로·자녀 장려금 수급대상 가구도 올해(지난해 귀속)보다 약 32만 가구 늘어날 예정이다. 근로·자녀 장려금은 재산가액이 2억4000만 원 이하이면서 소득 기준을 충족해야 받을 수 있다. 국가장학금(Ⅰ유형)은 내년도 1학기 신청자부터 올해 줄어든 공시가격을 반영한다. 국가장학금 역시 소득·재산 등을 월소득으로 환산해 중위소득 200% 이하일 경우 지원돼 대상자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매매·상속·담보대출 등 등기 비용도 낮아진다. 지난해 공시가격 7억 원인 서울 아파트는 올해 공시가격이 5억7900만 원으로 낮아져 국민주택채권 매입 때 드는 실제 부담금은 276만 원에서 191만 원으로 30.8%(85만 원) 줄어든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323&prsco_id=020&arti_id=0003486900

2023년 3월 21일 화요일

"지방 아파트 더 안 팔려" 2월 입주율, 지역간 양극화 커져

 

"지방 아파트 더 안 팔려" 2월 입주율, 지역간 양극화 커져







부동산 시장 침체기 장기화 우려로 인해 정부가 제시한 각종 경기 부양책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아파트 입주율은 한 달 전인 1월에 비해 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2월 전국 입주율은 63.3%로, 1월 대비 3.3%포인트(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 아파트 10채 중 3채 이상이 빈집으로 남은 상태다.


정부가 부동산 시장 경착륙 방지를 위해 '1.3 대책'과 '노후 신도시 특별법' 등 각종 대책을 마련했지만 여전히 높은 금리 탓에 아파트 입주율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거래 절벽 현상으로 인해 미입주자 10명 중 4명은 입주가 시작됐지만 기존 집이 팔리지 않아 이사를 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22일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입주율은 전월(1월)에 비해 3.3%포인트(p) 하락한 63.3%를 기록했다. 서울(79.2→79.7)과 인천·경기(73.2→75.8)는 상승세를 보이며 수도권 입주율은 지난 1월(75.2%)보다 지난달(77.1%) 1.9%포인트 올랐다. 같은 기간 5대 광역시는 65.8%에서 60.6%로 5.2%포인트 떨어졌다. ▲강원권(60.0→52.0) ▲대전·충청권(66.5→59.7) ▲광주·전라권(61.6→59.3) ▲대구·부산·경상권(64.9→62.7)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조강현 주산연 연구원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주택가격 하락세와 거래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금리인하와 대대적인 규제완화로 수도권 인기지역부터 주택가격 하락세가 둔화되고 거래량이 회복되는 추세에 들어섰으나, 지방 주택시장은 여전히 침체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 반영된 것"이라며 "최근 발생한 미국 SVB 파산과 3월 기준금리 추가인상, 한국 수출부진과 경기침체 확장국면으로 인해 당분간은 침체를 벗어나기 어려울 전망"이라고 전했다.

2월 미입주 원인으로는 가장 많이 지목된 것은 '기존 주택매매가 지연돼서'로, 전월(41.7%)보다 2.7%포인트 오른 44.4%로 집계됐다. 빈집 열 채 중 네 채가 원래 살던 집이 안 팔려 이사를 못 갔기에 비어있는 셈이다.

'세입자를 확보하지 못해서'와 '잔금대출을 못 받아서'가 각각 33.3%와 14.3%에 머물렀다. 이는 전월(39.6%, 14.6%) 대비 6.3%포인트와 0.3%포인트 감소한 결과다. 같은 기간 '분양권 매도가 지연돼서'라는 응답도 2.6%포인트(4.2%→1.6%) 줄었다.

3월 입주전망은 다소 개선돼 전국 기준 지난달보다 8.1포인트(72.1→80.2) 상승했다. 수도권에서 3.5포인트(67.5→71.0) 오르며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상승 곡선을 그렸으나 광역시는 0.3포인트(75.7→75.4) 하락이 예상된다.

조 연구원은 "규제지역 전면 해제, 전매제한 기간·다주택자 규제·무주택자 대출규제 완화, 부동산 관련 세제 완화 계획 발표 등 주택시장 연착륙 대책에 대한 기대심리가 반영된 결과"라고 풀이했다.

충북(61.5→100.0) 전남(76.4→100.0) 충남(58.8→82.3) 경북(66.6→88.8) 울산(62.5→82.3) 5개 시·도의 입주전망지수 상승률이 높았다. 세종은 12.5포인트(87.5→75.0) 하락했다. 지난달엔 1월 대비 27.5포인트가 급격히 오르며 조정이 이뤄진 것으로 풀이된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322&prsco_id=417&arti_id=0000905651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 💰 매매가 : 7억 4,000만원 📅 입주 : 협의 가능 (원하시는 일정 조율 가능!) 🌄 💎 전망 최고! 탁 트인 시야로 막힘 없는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