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5월 2일 화요일

1분기 생애 첫 집 매수자 역대 최소…고금리·집값 하락 영향

 

1분기 생애 첫 집 매수자 역대 최소…고금리·집값 하락 영향



기사내용 요약
생애 최초 주택 매수 53.3%는 30대 이하



올해 1분기 전국에서 생애 첫 집을 마련한 매수자가 1분기 기준 역대 최소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법원 등기정보광장을 살펴본 결과, 올해 1분기 생애 처음으로 집합건물을 구매한 매수자는 6만810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법원 등기정보광장이 관련 통계가 작성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1분기 기준 가장 낮은 수치다.

생애 첫 집합건물 매수자는 지난 2021년 1분기 14만8961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한 뒤 2022년 1분기 8만7660명으로 낮아졌고, 올해 역대 최소를 기록했다.

생애 첫 집한건물 매수자 중에서 30대 이하가 차지하는 비중도 역대 최저를 보였다. 생애 첫 집합건물 매수자 6만8105명 중 30대 이하의 매수자는 3만6296명으로 전체의 53.3%의 비중을 보여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은 비중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올해 1분기 서울 생애 첫 집합건물 매수자는 5172명으로 역대 최소를 기록했다. 이어 경기 2만3510명, 인천 5635명, 부산 4966명, 충남 4698명, 대구 3326명, 경남 3209명, 대전 2768명, 광주 2492명, 전북 2471명, 경북 2417명, 전남 1781명, 강원 1651명, 충북 1536명, 울산 1079명, 세종 721명, 제주 673명 등으로 조사됐다.

정부가 생애 첫 주택 구매자를 위해 대출 규제 완화와 세금 감면 혜택을 내놓고 있지만, 여전히 금리가 높은 데다 집값 추가 하락에 대한 우려까지 더해지면서 실수요자들이 내 집 마련을 미루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얼어붙었던 부동산 시장에 숨통이 트이고 있지만, 금리 인하로 방향이 전환되지 않는 한 내 집 마련 실수요가 증가하기엔 제한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503&prsco_id=003&arti_id=0011837324

아파트 분양 성패 '빈익빈 부익부' 서울 98% 대구 1%

 

아파트 분양 성패 '빈익빈 부익부' 서울 98% 대구 1%







정부의 부동산 규제완화 이후 지역별 분양시장 양극화 현상이 짙어졌다. 특히 올해 1분기 서울 아파트와 대구의 초기 분양률은 각각 98%와 1%를 기록하면서 양극화 심화 현상은 더욱 뚜렷해진 분위기다.

3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서울 민간아파트 초기 분양률은 98.0%로 조사됐다. 지난해 4분기(20.8%)보다 77.2%포인트(p) 상승했다. 초기 분양률은 분양세대수 30가구 이상인 신규 아파트 중에서 분양기간이 3개월 초과, 6개월 이하인 민간아파트의 평균 분양률을 뜻한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의 1분기 초기 분양률은 전 분기(75.1%) 대비 22.2%포인트 오른 77.3%를 기록했다. 반면 지방의 초기 분양률은 이에 한참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5대광역시(대전·대구·울산·부산·광주)와 세종은 평균 44.1%의 초기 분양률을 기록했다. 이는 전 분기( 30.0%)보다는 14.1%포인트 올랐으나 절반에 채 미치지 못한 수치다.

특히 대구는 1.4%의 초기 분양률을 기록하며 전국 시·도 중 가장 낮았다. 이는 전 분기와 비교해도 25.0%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기타 지방의 초기 분양률은 29.5%로 지난해 4분기 대비 31%포인트 하락했다. 지역별로는 ▲전남(14.6%) ▲전북(17.4%) ▲경북(19.6%) ▲충북(22.8%) 등이 저조한 초기 분양률을 보였다.

전국의 초기 분양률은 49.5%를 기록하면서 2채 중 1채는 초기 분양에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해서도 9.2%포인트 하락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503&prsco_id=417&arti_id=0000917811

아파트 거래, 급매 소진되고 호가 올라

 

아파트 거래, 급매 소진되고 호가 올라






지난 3∼4월에 팔린 전국 아파트 절반 이상의 주택형별 평균 실거래가격이 직전 두 달 전에 비해 오른 '상승 거래'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60%가 넘는 주택형별 평균 거래가가 직전 두 달 평균가보다 보다 높았다.

3일 부동산R114와 연합뉴스가 올해 3∼4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신고된 아파트의 거래가격을 1∼2월 가격과 비교 분석한 결과, 조사 대상 1만3천242개 주택형 가운데 57.6%(7천624개)의 실거래가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결과는 올해 1∼2월과 3∼4월 각각 중개업소를 통해 계약된(직거래 및 계약해제 제외) 거래 중 비교 기간 각각 동일단지, 동일 주택형에서 1건 이상 매매계약이 체결된 경우의 매매 평균가를 구해 산출한 것이다.

앞서 작년 12월부터 올해 1월까지 두 달간 전국 아파트 거래에서는 조사 대상의 64.6%가 직전 두 달에 비해 거래가가 하락했는데, 올해 3∼4월은 하락 거래 비중이 40%로 감소하고, 상승 거래가 절반을 넘은 것이다.

상승 거래가 가장 많은 곳은 세종시였다. 3∼4월 거래된 조사 대상 213개 주택형 중 77.5%(165개)의 평균 실거래가격이 종전보다 상승했다.

하락 거래 비중은 21.1%에 그쳤고 평균가가 동일한 보합 거래는 1.4%였다.

한국부동산원 시세 조사에 따르면 세종시는 3월 이후 급매물부터 거래가 늘고 호가가 오르면서 지난 3월 3주부터 지난달 말까지 6주 연속 아파트값이 상승했다.

서울의 상승 거래 비중은 64.0%로 두 번째로 높았다.

조사 대상 928개 주택형 가운데 594개 주택형의 거래 평균가가 직전 두 달보다 상승했다.

서울 송파구 잠실동 잠실엘스 전용면적 84.8㎡는 올해 1∼2월 19억∼20억원 선에 매매계약이 이뤄졌는데, 3월 이후로는 21억5천만∼21억6천만원 선으로 실거래가가 뛰었다.

이르면 오는 7월 조합설립인가를 앞둔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는 두 달 만에 2억원가량 올랐다. 전용 84.43㎡의 경우 1∼2월 21억∼22억원대였던 실거래가가 3∼4월에는 23억∼24억원까지 상승했다.

조사 기간 서울의 하락 거래 비중은 32.8%였다. 작년 12월과 올해 1월 거래에서는 직전 두 달 대비 63.9%가 하락 거래였는데, 절반으로 줄어든 것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집계상 3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계약일 기준)은 총 2천976건으로 2월(2천458건)보다 증가했다. 이는 2021년 8월(4천65건) 이후 1년 7개월 만에 최대다.

부동산R114 여경희 수석연구원은 "3월 이후 시중은행 금리가 하향 안정되고, 공시가격 하락으로 보유세 부담도 감소하면서 시중의 급매물이 상당수 소진된 것으로 보인다"며 "이에 따라 일부 매매 호가도 오르면서 실거래가 상승 거래가 증가했다"고 말했다.

경기도(62.7%)와 인천(62.4%)도 상승 거래 비중이 60%를 넘어 지방(53.7%)보다는 수도권(62.9%)에서 실거래가 상승 거래가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지방에서는 제주도의 상승 거래 비중이 62.2%로 60%를 넘었고, 최근 아파트값 하락 폭이 둔화하고 있는 대구시는 조사 대상 주택형 가운데 55.6%의 평균 실거래가가 상승했다.

충북(55.3%), 부산(54.6%), 울산(54.2%), 강원(53.7%) 등도 상승 거래가 절반을 넘었다.

이에 비해 광주광역시는 광역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상승 거래 비중(47.8%)보다 하락 거래 비중(49.6%)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503&prsco_id=215&arti_id=0001099112

1주택자 재산세 7만2000원 인하

 

1주택자 재산세 7만2000원 인하




공정시장가액비율 추가 인하
3억 이하 43%, 6억 이하 44%로


지난해 45%로 내렸던 1주택자 재산세 공정시장가액비율(종합부동산세나 재산세를 매길 때 과세표준에 곱하는 비율)이 공시가격 6억 원 이하 주택 보유자에 대해 최대 43%까지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1주택자는 평균 7만2000원의 재산세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

행정안전부는 1주택자 재산세 부담 완화를 위해 지난해 한시적으로 60%에서 45%로 낮췄던 공정시장가액비율을 올해 더 낮추기로 했다고 2일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공시가격 3억 원 이하인 경우 43%, 3억 원 초과 6억 원 이하는 44%, 6억 원 초과는 지난해와 동일한 45%의 비율이 적용된다. 다만 다주택자와 법인에 대한 공정시장가액비율은 지난해와 동일하게 60%를 유지한다.

행안부 관계자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급락해 공정시장가액비율을 지난해와 동일하게 45%로 적용해도 세 부담은 줄어든다”면서도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해 공시가격 6억 원 이하 주택에 한해 이 비율을 추가로 낮춘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체 1주택자의 93.3%가 공시가격 6억 원 이하 주택을 보유 중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또 “계획대로 공정시장가액비율이 낮아지면 납세자의 재산세 부담은 전년 대비 8.9∼47% 줄어들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 같은 방안을 지방세법 시행령 개정안에 담아 8일 입법예고하기로 했다. 행안부는 다음 달 중 국무회의 통과 등 시행령 개정 절차를 완료해 7월에 부과되는 재산세부터 적용할 방침이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503&prsco_id=020&arti_id=0003495112

2023년 5월 1일 월요일

정자동 임광보성 특급인테리어 32평 매매 13억

올들어 주택 착공 36% 급감…2~3년 뒤엔 또 공급난 오나

 

올들어 주택 착공 36% 급감…2~3년 뒤엔 또 공급난 오나




주택 공급 선행지표인 인허가 및 착공 실적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흐름이 지속된다면 2~3년 뒤 상당한 주택 공급난이 재연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온다.

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1분기 전국 건축 인허가 현황’에 따르면 전국의 주거용 건축물 인허가 면적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3% 줄었다. 주거용 착공 면적은 19.0% 감소했다. 특히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등의 착공 면적 감소가 두드러졌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또한 3월 누적(1분기) 주택 인허가 실적은 전국 8만6444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11만2282가구) 대비 23%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1분기 주택 착공실적은 전국 5만3666가구로 1년 전(8만4108가구)보다 36.2% 감소했다.





이는 최근 10년간 1분기 평균(9만6396가구)보다 44.3% 줄어든 것이다. 특히 서울의 경우 올해 3월까지 착공 물량이 6719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1만6472가구)보다 1만 가구 가까이 감소했다. 인허가와 착공의 전 단계인 건설사의 주택 시공 수주 실적도 크게 줄었다.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 1~2월 건설업체의 국내 주거용 건축 수주액은 7조350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6% 줄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고금리와 원자잿값 인상으로 인한 부동산 침체가 이어지면서 신규 주택 사업이 위축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공사원가가 다락같이 올랐지만, 미분양 우려 등으로 사업을 진행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것이다. 한 건설사 임원은 “원자잿값 인상과 이자 부담 등 비용 증가로 수도권 주요 재건축·재개발 단지를 제외하고 신규 착공 등 사업 진행을 사실상 손 놓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분양이 심한 대구 등 지방의 경우 이미 확보한 시공권 포기까지 검토하는 단계”라고 덧붙였다. 실제 대우건설은 지난 2월 울산 동구의 한 주상복합아파트 개발사업에서 시공권을 포기하고 토지 확보에 사용된 브리지론과 관련해 연대보증을 섰던 440억원을 모두 상환했다. 사업을 계속 진행할 경우 큰 손실이 예상되자 선제적으로 발을 뺀 것이다.

통상 아파트 등은 착공 이후 2~3년 뒤, 인허가 이후엔 3~5년 뒤 입주가 이뤄진다. 부동산 침체기에 미분양 등 여파로 인한 사업 지연이 이어질 경우 최소 2~3년 뒤에는 공급 부족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이는 집값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미분양 물량과 분양 물량은 1년의 기간을 두고 음의 상관관계(반비례)를 나타낸다고 분석했다. 2021년 말부터 늘어나기 시작한 미분양 물량에 따라 최근 신규 분양되는 물량은 감소 추이를 보이는 것이다. 3월 말 현재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2104가구로 2012년 이후 가장 많은 미분양 재고가 쌓였다. 특히 부동산 가격이 정점이던 2021년 12월(1만7710가구)보다 미분양 물량이 307% 증가했다.

김성환 건산연 부연구위원은 “미분양 물량이 계속해서 해소되지 않으면 시간을 두고 공급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며 “수년간 이어진 주택가격 상승은 낮은 금리와 다주택자 시장 진입 등 다양한 사유가 있겠지만, 그중 공급량 부족도 원인이었던 점을 상기한다면 일정한 수준의 공급량 유지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502&prsco_id=025&arti_id=0003277156

'전세사기' 감지하는 공인중개사…"단속 권한 주고 활용해야"

 

'전세사기' 감지하는 공인중개사…"단속 권한 주고 활용해야"





중개사 400명 전세사기로 입건…바닥친 신뢰도



 


"사실 전세사기 문제는 현장에선 미리 감지가 된다. 하지만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는 권한이 없다보니 알고도 신고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경기 화성시 동탄신도시 일대 한 공인중개사)

전세사기 문제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지만 초점은 사후 대책에 맞춰져 있다. 이상거래를 사전에 걸러내기 위한 단속 권한 등을 누구도 갖고 있지 않아서다.

이번에 전세사기로 문제가 된 동탄신도시나 인천 미추홀구의 일대 공인중개사 사이에선 이미 주의할 필요가 있다는 공지가 돌기도 했다. 그러나 한참 전부터 경고등이 울렸지만 수백명의 피해자가 발생하고 나서야 세상에 공개가 됐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이상거래를 사전에 걸러낼 수 있게 공인중개사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한다.

다만 당장은 공인중개사를 활용할 방법이 없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한공협)에 별다른 권한이 없다보니 굳이 일선의 중개사들이 나서지 않아서다. 조사를 나간다고 해도 중개사무소에서 자료 제출 등을 거부하면 확인할 방도가 없다.

한공협 관계자는 "협회가 나설 수 없는 부분이다 보니 신고에 적극적이지 않은 분위기가 있다"며 "전세사기 같은 문제는 현장의 중개사가 먼저 감지를 할 수 있다. 단속 권한이 주어지면 문제를 줄여갈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협회의 '법정단체' 승격을 통해 중개사들의 조사권한을 확대하고 이상거래를 사전에 걸러내는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한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교수)는 "전세사기는 현장에서 가장 먼저 파악이 가능하다"며 "이들에게 신고 의무를 부과하거나 지도·단속 권한을 줘 사전에 전세사기 물건을 파악하거나 거래에 대해 점검해 대응하는 방식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현재 관련법안은 수개월째 국회에서 잠들어 있다. 지난해 10월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인중개사법 개정안을 발의했지만, 이후 제정 논의는 별다른 진척이 없다.

한공협 관계자는 "현장에서 일어나는 문제에 대해서 조사권한이라도 달라는 건데 아직 전혀 진척이 없다"며 "서둘러 법정 단체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관건은 공감대 확보다. 인천 미추홀구 건축업자와 경기 구리시 전세 사기에 공인중개사들이 가담한 사실이 드러나 불신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7월부터 올해 3월 말까지 전세 사기로 400명의 공인중개사가 입건됐다. 여기에 신산업 위축을 이유로 법정 단체화에 반대하는 프롭테크 업계의 반발도 만만치 않다.

부동산 업계 한 관계자는 "사실 지금 상황에서 법정단체화가 진척을 보이긴 쉽지는 않은 상황으로 보인다"면서도 "다만 공인중개사들도 협회에 권한을 줘야 자정작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502&prsco_id=421&arti_id=0006781077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 💰 매매가 : 7억 4,000만원 📅 입주 : 협의 가능 (원하시는 일정 조율 가능!) 🌄 💎 전망 최고! 탁 트인 시야로 막힘 없는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