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월 9일 일요일

“거래절벽이라는데”… 서울 ‘초소형’ 아파트 매매는 늘었다

 

“거래절벽이라는데”… 서울 ‘초소형’ 아파트 매매는 늘었다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아파트 ‘거래절벽’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초소형 아파트 매매는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규제 영향을 덜 받다 보니 실거주 수요자들의 거래는 원활하게 이어졌던 셈이다.






1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작년 11월 전국 전용면적 40㎡ 미만 초소형 아파트 매매 건수는 3746건으로 전달(3644건)에 비해 2.8%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용 60㎡ 초과 중·대형 평형의 매매 건수는 2만5382건에서 2만1606건으로 14.9% 감소한 것과 대조적이다.

전체 아파트 매매량에서 초소형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율도 높아졌다. 작년 11월 전국 아파트 매매량 4만1141건에서 초소형 아파트 매매량이 차지하는 비율은 9.1%로 재작년 동기(5.4%) 대비 3.7% 포인트(P) 증가했다. 중·대형 아파트의 비중은 재작년 11월 61.9%에서 작년 11월 52.5%까지 떨어졌다.

초소형 아파트의 강세는 서울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지난해 11월 서울의 전용 40㎡ 미만 초소형 아파트 매매 건수는 424건으로 전달(359건)에 비해 18.1% 증가했다. 반면, 중·대형 평형의 매매 건수는 1598건에서 1192건으로 감소했다. 거래절벽이 중·대형 평형 아파트에 집중된 것이다.

서울에서 초소형 아파트 매수세는 주로 서부권에 몰렸다. 작년 11월 서울에서 초소형 아파트 매매량이 가장 많은 곳은 영등포구(57건)다. 이외 ▲강동구·은평구 36건 ▲강서구 35건 ▲서초구 29구 ▲강남구 28건 ▲동대문구 23건 ▲노원구 19건 ▲구로구 18건 ▲관악구 16건 등이다. 상위 10개 자치구 중 6개가 서부권이다.

영등포구에서 매매량이 가장 많은 아파트는 영등포동 ‘헤렌어반’이다. 전체 가구수가 147가구인 이 단지는 지난 11월 한달 간 7가구가 매매됐다. 11월 동안 매매된 7개 모두 전용면적 12~13㎡ ‘원룸형’ 아파트다. 강동구에서 지난 11월 가장 많이 매매 계약이 체결된 아파트도 전용 14~19㎡로 구성된 ‘에스아이팰리스센트럴 성내’다.

일부 지역의 초소형 아파트는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서울 도봉구 창동 ‘주공 18단지’ 전용 32.3㎡은 지난해 11월 5억4000만원에 거래됐다. 직전 매매가인 5억1000만원보다 3000만원 상승한 것으로, 작년 초 매매가가 4억3500만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1개월 간 상승률이 24.1%에 달한다.

초소형 아파트 매매량이 줄곧 상승세를 이어온 것은 아니다. 작년 5월 720건을 기록했던 서울의 초소형 아파트 매매건수는 6월 500건대로 떨어지더니 10월 369건까지 내려 앉았다. 그러나 11월 들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작년 11월 기준, 1년간 서울 초소형 아파트 매매량은 24.7% 감소했는데, 중·대형 평형 매매량의 감소폭(-55.0%)의 절반도 채 되지 않는다.

다른 수도권 지역의 초소형 아파트 거래량도 서울과 비슷한 추이를 보고 있다. 지난 11월 경기와 인천의 초소형 아파트 매매량은 각각 516건과 212건으로, 전달에 비해 소폭 줄어들었다. 작년 11월 기준, 1년간 매매량 감소폭은 경기 35.5%, 인천 8.6%로 50~60%대를 오가는 중·대형 아파트 매매량 감소폭 보다 작았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최근 부동산 매매시장은 무주택자가 1주택자가 되거나, 1주택자가 갈아타는 등 실수요자 시장으로 재편됐다”면서 “실수요자 중심으로 시장이 돌아가다보니, 중·대형 평형 아파트는 가격 진입 장벽이 높아 초소형으로 매수세가 이동하고 있다. 한동안 ‘노·도·강’ 아파트가 각광받았던 것과 비슷한 이유”라고 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110&prsco_id=366&arti_id=0000786076

이재명·윤석열 '부동산' 민심잡기 '치열'…주택공약 따져보니

 

이재명·윤석열 '부동산' 민심잡기 '치열'…주택공약 따져보니



민간 분양가상한제 내민 李 vs 정비사업 '완화' 속도내는 尹
"표심경쟁에 정책남발 우려…공약 '정제' 필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설 연휴 전 '부동산' 민심을 선점하기 위해 연일 정책공약을 앞세우고 있다.

이 후보는 부동산부패를 잡으면서 정부의 적절한 개입을 통한 주택공급과 분양가 조절을, 윤 후보는 정비사업과 개발 활성화를 통한 공급확대로 각각 집값안정을 꾀한다는 공약이다.

전문가들은 정밀타격에 가까운 부동산정책 공약을 남발할 경우 시장의 정책신뢰를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일관되고 정제된 공약발표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민간 분양가상한제 등 무한책임 부동산공약 내세운 이재명

10일 국회와 정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이재명 후보는 9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무한책임 부동산 공약'으로 "분양가상한제를 민간에도 도입하고, 분양원가 공개를 확대해 분양가격 인하를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또 도심지에 분양형 공공주택을 공급하고, 생애최초주택 구입자 등의 실수요자엔 낮은 금리의 정책모기지를 지원하겠다고 했다. 청년층의 주거 복지 지원을 위해 미래소득을 고려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도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윤석열 후보는 7일 역세권 첫집 20만 가구 공약과 연계한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연장과 역세권 개발을 발표했다.

윤 후보는 기존의 A노선을 '운정~동탄~평택'으로 늘리고 C 노선은 '동두천~덕정~수원~평택'으로 연장하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2기 GTX 3개 노선도 추진하겠다고 했다.

윤 후보는 GTX 노선을 따라 주변에 부지를 확보해 1만~2만 가구 규모의 역세권 콤팩트시티(Compact City)를 다수 조성해 총 25만 가구의 주택을 공급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두 후보는 명칭은 다르지만 임기 내 250만 가구 공급을 약속하고 있다. 부동산 과세에 대해서도 양도소득세 유예나 양도세 절반의 일시적 감면 등 유사한 감세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국회 관계자는 "앞서 내홍이 있었던 야당과 달리, 여당 쪽에서 세부적인 부동산공약을 선점했다"며 "이 후보는 주거 취약층과 서민 실수요자의 주거확보 기회와 비용 부담 완화를 핵심으로 공약을 꾸렸다"고 분석했다.

이어 "윤 후보의 경우 큰 밑그림을 민간개발을 통한 공급 확대로 보고, 그에 대한 정비사업 규제 완화로 공약 범위를 확대하고 있는 양상"이라고 덧붙였다.






◇"부동산민심 선점 노린 공약남발, 투기심리 자극 우려"

일각에선 양 후보가 서로를 벤치마킹하면서 공약 발표가 정책적 변별력보다는 '부동산정책' 선점이란 경쟁 구도로 희석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분양가 상한제를 민간에 확대한다는 공약이 있는 후보는 얼마 전 재건축 정비사업 등에 분상제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언급이 있었던 것으로 안다"며 "일목요연한 공약 대신 모두 다 해주겠다는 공약이 남발되면 서로 상충하는 모순이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 관계자는 "지난 여름 GTX 노선을 두고 2개월간이나 어려움을 겪었다"면서 "이제 와서 공약으로 수도권 광역철도의 기준에 벗어나는 노선을 아무런 실효성 검증 없이 발표하면 5년, 10년 단위의 중장기 국가계획은 사실상 무용지물이 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전문가들도 유독 부동산과 주택에 집중된 공약 '폭증'은 자칫 시장의 투기심리를 자극할 수 있는 만큼 자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두 후보 모두 해당 지역의 부동산시장을 흔들 수 있는 소재"라며 "수년간 주택시장의 과열이 서민경제와 생활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알고 있다면 해당 공약들은 더욱 신중하게 손질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110&prsco_id=421&arti_id=0005834087

2022년 1월 5일 수요일

서울-지방 집값 격차 8억5000만원… 文정부 4년새 2.5배로

 

서울-지방 집값 격차 8억5000만원… 文정부 4년새 2.5배로




서울 2배 뛸동안 지방은 50% 상승
“다주택자 규제로 똘똘한 한채 선호… 시장 침체되면 양극화 더 심해질것”




현 정부 출범 이후 서울과 지방 아파트값의 ‘양극화’가 심해진 것으로 조사됐다.

5일 부동산정보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 리브온의 아파트값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2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2억4978만 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지방 5대 광역시(부산·대구·광주·울산·대전)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3억9701만 원이었다. 서울과 지방 광역시 간 격차는 8억5277만 원에 이른다.

현 정부가 출범한 2017년 5월만 해도 서울과 5대 광역시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각각 6억708만 원, 2억6200만 원으로 격차는 3억4508만 원이었다.

이후 약 4년 6개월 동안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2배 넘게 뛴 반면 5대 광역시 아파트 매매가격은 약 50% 오르며 가격 차이가 벌어졌다. 2017년 19억 원대에 거래되던 서울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전용면적 84m² 매매가격은 지난해 11월 45억 원까지 치솟았다. 지난해 12월 39억8000만 원으로 가격이 떨어진 거래도 있었지만 2017년에 비하면 여전히 2배 수준이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보유세 강화 등 다주택자 대상 세금 규제로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강해지면서 서울과 5대 광역시 간 아파트 가격 양극화도 심화됐다”고 설명했다.

지역 간 양극화는 더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우병탁 신한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 팀장은 “금리 인상과 대출 규제 강화, 집값 상승에 따른 피로감 등으로 아파트값 상승세가 주춤하고 있다”면서도 “수요가 탄탄한 서울보다 지방의 타격이 큰 만큼 지역별 양극화가 더 뚜렷해질 것”이라고 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106&prsco_id=020&arti_id=0003404039

"대선까지 안 팔아"…다주택자, 양도세 완화 공약에 '버티기'

 

"대선까지 안 팔아"…다주택자, 양도세 완화 공약에 '버티기'



기사내용 요약
정부의 대출·금리 규제로 거래절벽 속 증여 증가
정부, 추세적 집값 하락 vs 시장, 일시적 안정세
다주택자 양도세 한시적 완화로 거래절벽 '해소'


"양도세가 완화되기 전에는 팔 생각이 없어요."

서울과 수도권에 아파트 2채를 보유한 김모(64)씨는 최근 1채를 반전세(보증부 월세)로 돌렸다. 올해 급등한 종합부동산세가 부담됐지만, 매매할 경우 양도세를 더 많이 내야 하기 때문이다.

김씨는 "양도세 중과는 일종의 징벌적 세금"이라며 "(3월 대선 이후) 양도세가 완화될 때까지 버티겠다"고 말했다.

다주택자들이 오는 3월 대선을 앞두고 본격적인 버티기에 돌입하면서 서울 부동산 시장이 꽁꽁 얼어붙었다. 아파트 거래량이 2년 6개월 만에 2000건대를 기록할 정도로 거래절벽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등 정부의 금융 규제로 상승세가 주춤한 가운데, 일부 지역은 하락세로 전환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총 2305건(10월 2839건)으로 집계됐다. 월별 거래량이 2000건대로 떨어진 것은 2019년 4월(2469)건 이후로 2년 6개월 만이다. 정부가 대출 규제를 본격 시행한 지난해 8월 이후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서울 일부 지역은 집값이 하락세로 전환했다. 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넷째 주(27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0.04% 상승해 지난주(0.05%) 대비 상승 폭이 0.01% 하락했다. 서울의 25개 자치구 가운데 14곳에서 상승 폭이 줄었다. 강북구와 도봉구는 각각 -0.02%, -0.01%로, 1년 7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또 관악구(0.00%)는 3주, 금천구(0.00%)는 2주 연속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고가주택이 밀집한 강남구는 0.07%, 서초구는 0.08% 오르며 여전히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정부는 이를 근거로 추세적인 집값 하락을 자신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최근의 주택시장 동향에 대해 "지역과 무관하게 하향 안정세로 전환에 가속도가 붙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홍 부총리는 지난 5일 서울 정부청사에서 열린 올해 첫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에서 "최근까지 가격 상승을 선도하던 서울 신축주택 가격도 지난달 넷째 주 하락 전환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3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2월 넷째 주(27일 기준)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조사 결과 매매 가격은 0.05%, 전세 가격은 0.05% 올라 상승률이 각각 0.02%포인트, 0.01%포인트 낮아졌다. 서울 강북구(0.02%→-0.02%)와 도봉구(0.003%→-0.01%)가 하락 전환했고, 은평구(-0.03%→-0.02%)는 하락세를 유지 중이다.

하지만 시장의 판단은 다르다. 지금의 시장 안정은 정부의 금융 규제와 대선 등으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하다는 게 중론이다. 거래량이 급감한 상황에서 급매물이 거래된 몇몇 사례만 놓고, 집값 하락의 전조 증상으로 보기 어렵다는 얘기다.

수요가 있는 곳에 공급이 늘어나 안정된 것이 아니라, 정부의 수요 억제 대책과 대선을 앞두고 커진 불확실성으로 인한 '일시적 안정세'라는 지적이다. 정부의 예상만큼 매물이 늘지 않고, 집값도 실수요자가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떨어지지 않는 이유도 이와 무관치 않다.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에도 매물이 줄고, 증여가 늘었다. 한국부동산원 아파트 거래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서울의 아파트 증여는 531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9월 449건, 10월 503건에 이어 증가세가 꾸준하다. 서울 아파트 증여는 고가 주택이 밀집한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에서 집중됐다. 지난해 1월에서 11월까지 서울 전체 증여 건수 1만1838건 중 54.0%(6391건)가 강남4구에서 나왔다.

정부는 지난해 6월 1일부터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중과 조치가 시행했다. 주택을 1년 미만으로 보유한 뒤 거래하면 양도세가 기존 40%에서 70%로, 2년 미만의 경우 60%로 올렸다. 여기에 2주택자는 기본세율에 20%p(포인트), 3주택자는 경우 30%p가 더해지면서 양도세 최고세율은 75%까지 인상됐다.

정부의 금융 규제와 종부세 부담 증가, 대선 등이 집값을 결정할 주요 변수들이 맞물리면서 다주택자들이 증여로 선회한 것으로 분석된다.

부동산 시장에선 단기간에 주택 공급을 늘리기 어렵기 때문에 양도세 중과를 완화해 기존 주택이 시장에 나올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집값 안정을 위해서는 매물이 늘어나고, 적정 수준에서 거래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여야 대선 후보 모두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한시적 유예를 공약한 이유이기도 하다.

전문가들은 한시적으로 양도세 부담을 낮춰 다주택자가 보유한 매물이 시장이 나오도록 유도하고, 부동산 거래가 정상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올해 신규 아파트 입주 물량이 줄기 때문에 시장 안정을 위해서는 양도세 부담을 한시적으로 완화해 기존 주택의 공급을 늘려야 한다"며 "정부가 뒤늦게 3기 신도시 공급과 사전청약 확대 등의 대책을 내놨지만, 실제 공급까지 일정 시간이 필요한 만큼 집값 안정을 위해 기존 주택이 시장에 나올 수 있도록 양도세를 완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권 교수는 "집값 안정화를 위한 꾸준한 공급 정책이 추진된다는 전제하에 공시가격 현실화에 따른 보유세를 강화하되, 양도세를 낮춰 주택 거래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며 "당장 양도세 부담이 줄면 주택 공급이 늘어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106&prsco_id=003&arti_id=0010929344

주택도시기금 대체투자 2조원 육박…"투자 위험요소 사전 차단"

 

주택도시기금 대체투자 2조원 육박…"투자 위험요소 사전 차단"



지난해 3분기 투자 규모 1.9조원…해마다 상승
사후관리 및 공정가치 평가 용역도 발주



주택도시기금의 대체투자 규모가 지난해 기준 최대 2조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투자 규모가 확대된 대체투자에 대한 실적을 점검하고 자산 가치를 평가해 위험 요소를 사전에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주택도시기금의 대체투자 자산은 1조9171억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대체투자는 주식이나 채권 같은 전통적인 투자 상품이 아닌 다른 대상에 투자하는 것을 의미한다.

처음 대체투자를 시작한 2016년 말 이후 주택도시기금의 대체투자 자산 규모는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2017년 6976억원에 그쳤던 자산 규모는 2018년 1조1402억원으로 1조원을 돌파했다.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1조5199억원, 1조5945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현재 시점에서는 대체투자 규모는 1조7000억원 규모로 다소 줄어든 상태다. 자산 건수는 국내 9건 해외 18건 등 총 27건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투자했던 자산들이 청산 시점이 도래하면 매각하고 재투자하는 데 소요되는 기간이 있다 보니 시점에 따라 금액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택도시기금의 대체투자 수익률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2017년 3.55%이던 수익률은 2018년 3.74%, 2019년 5.11%를 기록했으며 2020년에는 6.87%에 이르렀다. 2019년부터는 투자 성과를 평가할 때 기준이 되는 지표인 벤치마크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으며 2020년에는 기금 전체 수익률(5.05%)을 웃돌았다.

국토부는 올해에도 주택도시기금의 대체투자 비중을 늘린다는 방침이라 대체투자 규모가 곧 2조원을 달성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 주택도시기금 자산 배분계획은 3월쯤 확정할 계획"이라며 "대체투자 자산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대체투자 규모가 늘어나면서 정부는 지난 2019년에 이어 올해에도 투자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와 도덕적 해이 발생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정기 점검에 나섰다. 국토부는 이를 위한 '주택도시기금 대체투자자산 사후관리 및 공정가치평가 검증 용역'을 발주한 상태다.

국토부는 2019~2021년 3년간의 대체투자 성과를 분기별로 분석해 실적 평가에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또 대체투자 자산에 대한 공정가치도 산출해 사후 관리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그간의 대체투자 운용 성과가 맞았는지 분석하는 한편 투자의 위험 요인을 발견하면 다른 상품에 투자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106&prsco_id=421&arti_id=0005827907

2022년 1월 4일 화요일

지방 아파트도 거래절벽… 11월 거래 ‘반토막’

 

지방 아파트도 거래절벽… 11월 거래 ‘반토막’




11월 전국 거래량 42.5% 줄 때 광역시 69.2%-비수도권 46.1%↓
매수심리 위축… 미분양도 쌓여, 靑 “집값 잡히기 시작했다 확신”
전문가 “부동산 시장 안정은 일러”






대구 수성구 A아파트는 1000채가 넘는 대규모 단지지만 지난해 11월 단 1채만 팔렸다. 30평대(전용 84m²) 호가가 지난해 초 9억 원까지 올랐지만 최근 8억 원대로 내려앉았다. 인근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지난달 중순까지도 개점휴업 상태였다가 최근 집값이 떨어진다는 기사가 나오니 문의 전화가 조금 오는 정도”라고 전했다.

서울에서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매수 심리가 얼어붙은 가운데 지방 주택 시장의 거래절벽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수현 대통령국민소통수석비서관은 4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집값이 잡히기 시작했다는) 확신에 가까운 생각을 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전문가들은 거래절벽 자체를 가격 하락 신호로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 지방 거래절벽, 서울보다 더 심해


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총 6만7159건으로 2020년 11월(11만6758건)보다 42.5% 줄었다.

지방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11월 지방 주택 매매거래량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46.1% 줄었다. 특히 부산과 대구 등 지방광역시는 이 기간 69.2% 감소했다. 비수도권에서 거래절벽이 더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11월부터 7주 연속 집값이 하락하고 있는 대구에서 지난해 11월 주택 매매거래량은 2275건으로 전년 동월(7601건)의 30%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지난해 12월 대구에서 분양한 6개 단지 중 5곳의 청약이 미달되는 등 미분양도 이어지고 있다. 미분양은 신규 주택 공급이 수요에 비해 많아졌다는 의미로 통상 가격 하락의 선행지표로 통한다.

부산은 2020년 11월 1만9588건에서 지난해 11월 4180건으로 거래량이 78.7% 감소했다. 다만 지난해 11월 분양한 부산 남구 힐스테이트 대연 센트럴의 청약 당첨가점이 60점대까지 치솟는 등 청약 수요는 여전하다. 기존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자 신축 아파트로는 여전히 수요자들이 몰리는 것으로 보인다.

거래량이 늘면서 안정세가 굳어진 지역도 있다. 세종시는 2020년 11월 473건이던 주택 거래량이 지난해 11월 1909건으로 늘어났다. 세종시는 지난해 5월부터 아파트 가격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실제 2020년 12월 7억1500만 원에 팔렸던 세종시 아름동의 전용면적 84m²의 한 아파트는 지난해 11월 6억4000만 원에 거래돼 1억 원 가까이 떨어졌다.

○ 전문가 “공급 많은 지역 위주로 선별적으로 안정”
정부는 집값이 안정세에 접어들고 있다고 본다. 노형욱 국토부 장관은 4일 국회에서 “(매물 증가와 거래량 감소는) 주택시장이 안정적으로 가는 징후”라며 “지역적, 시기적으로 일시 등락은 있을 수 있지만 집값을 결정하는 모든 변수가 하방이라 추세적인 하락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거래절벽 자체보다는 주택 공급량이 향후 시장 안정 여부를 좌우하기 때문에 가격 안정으로 보기엔 이르다고 강조했다. 고준석 동국대 법무대학원 겸임교수는 “현재 거래절벽에는 대출 규제 등으로 수요자들의 자금 조달이 어려워진 영향이 크다”며 “서울은 올해 입주 물량이 수요 대비 부족해 주택 수급이 개선되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우병탁 신한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 팀장은 “서울 일부 지역 아파트 등에서 신고가가 나오고 있어서 전체 시장이 안정세라고 하기는 어렵다”며 “지방은 공급이 충분한 지역을 중심으로 서울과 다른 분위기를 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105&prsco_id=020&arti_id=0003403822

서울 상가 10곳 중 1곳은 텅… 오피스는 활황

 

서울 상가 10곳 중 1곳은 텅… 오피스는 활황


사회적 거리 두기 장기화로 쇼핑·외식 수요가 줄면서 서울 중대형 상가 점포 10곳 중 1곳은 비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코로나 장기화에도 사무실 공간을 찾는 기업 수요가 늘면서 대형 사무용 건물은 거래가 늘고 몸값도 뛰고 있다.

KB경영연구소는 4일 “코로나 이후 서울 핵심 상권을 중심으로 공실률이 크게 상승했다”고 밝혔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작년 3분기 기준 서울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9.7%로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13년 1분기 이후 가장 높았다. 종로·광화문 등 도심 상권 공실률이 17.4%에 달했고, 영등포·신촌(11.8%)과 강남(10.6%)도 빈 상가가 많았다. 세부 상권을 보면, 외국인 관광객 유입이 끊긴 명동의 공실률이 47.2%까지 치솟았다.

소매 상권 침체와 달리 오피스 빌딩 시장은 활황이다. 작년 1~3분기 서울 대형 오피스 거래량은 35건으로 2000년 이후 가장 많았다. KB경영연구소는 “코로나 영향에도 사무용 건물은 공실이 줄고, ‘안전 자산’이라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투자 수요가 지속적으로 유입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105&prsco_id=023&arti_id=0003664160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 💰 매매가 : 7억 4,000만원 📅 입주 : 협의 가능 (원하시는 일정 조율 가능!) 🌄 💎 전망 최고! 탁 트인 시야로 막힘 없는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