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도시기금 대체투자 2조원 육박…"투자 위험요소 사전 차단"
지난해 3분기 투자 규모 1.9조원…해마다 상승
사후관리 및 공정가치 평가 용역도 발주
사후관리 및 공정가치 평가 용역도 발주

주택도시기금의 대체투자 규모가 지난해 기준 최대 2조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투자 규모가 확대된 대체투자에 대한 실적을 점검하고 자산 가치를 평가해 위험 요소를 사전에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주택도시기금의 대체투자 자산은 1조9171억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대체투자는 주식이나 채권 같은 전통적인 투자 상품이 아닌 다른 대상에 투자하는 것을 의미한다.
처음 대체투자를 시작한 2016년 말 이후 주택도시기금의 대체투자 자산 규모는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2017년 6976억원에 그쳤던 자산 규모는 2018년 1조1402억원으로 1조원을 돌파했다.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1조5199억원, 1조5945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현재 시점에서는 대체투자 규모는 1조7000억원 규모로 다소 줄어든 상태다. 자산 건수는 국내 9건 해외 18건 등 총 27건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투자했던 자산들이 청산 시점이 도래하면 매각하고 재투자하는 데 소요되는 기간이 있다 보니 시점에 따라 금액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택도시기금의 대체투자 수익률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2017년 3.55%이던 수익률은 2018년 3.74%, 2019년 5.11%를 기록했으며 2020년에는 6.87%에 이르렀다. 2019년부터는 투자 성과를 평가할 때 기준이 되는 지표인 벤치마크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으며 2020년에는 기금 전체 수익률(5.05%)을 웃돌았다.
국토부는 올해에도 주택도시기금의 대체투자 비중을 늘린다는 방침이라 대체투자 규모가 곧 2조원을 달성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 주택도시기금 자산 배분계획은 3월쯤 확정할 계획"이라며 "대체투자 자산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대체투자 규모가 늘어나면서 정부는 지난 2019년에 이어 올해에도 투자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와 도덕적 해이 발생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정기 점검에 나섰다. 국토부는 이를 위한 '주택도시기금 대체투자자산 사후관리 및 공정가치평가 검증 용역'을 발주한 상태다.
국토부는 2019~2021년 3년간의 대체투자 성과를 분기별로 분석해 실적 평가에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또 대체투자 자산에 대한 공정가치도 산출해 사후 관리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그간의 대체투자 운용 성과가 맞았는지 분석하는 한편 투자의 위험 요인을 발견하면 다른 상품에 투자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주택도시기금의 대체투자 자산은 1조9171억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대체투자는 주식이나 채권 같은 전통적인 투자 상품이 아닌 다른 대상에 투자하는 것을 의미한다.
처음 대체투자를 시작한 2016년 말 이후 주택도시기금의 대체투자 자산 규모는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2017년 6976억원에 그쳤던 자산 규모는 2018년 1조1402억원으로 1조원을 돌파했다.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1조5199억원, 1조5945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현재 시점에서는 대체투자 규모는 1조7000억원 규모로 다소 줄어든 상태다. 자산 건수는 국내 9건 해외 18건 등 총 27건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투자했던 자산들이 청산 시점이 도래하면 매각하고 재투자하는 데 소요되는 기간이 있다 보니 시점에 따라 금액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택도시기금의 대체투자 수익률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2017년 3.55%이던 수익률은 2018년 3.74%, 2019년 5.11%를 기록했으며 2020년에는 6.87%에 이르렀다. 2019년부터는 투자 성과를 평가할 때 기준이 되는 지표인 벤치마크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으며 2020년에는 기금 전체 수익률(5.05%)을 웃돌았다.
국토부는 올해에도 주택도시기금의 대체투자 비중을 늘린다는 방침이라 대체투자 규모가 곧 2조원을 달성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 주택도시기금 자산 배분계획은 3월쯤 확정할 계획"이라며 "대체투자 자산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대체투자 규모가 늘어나면서 정부는 지난 2019년에 이어 올해에도 투자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와 도덕적 해이 발생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정기 점검에 나섰다. 국토부는 이를 위한 '주택도시기금 대체투자자산 사후관리 및 공정가치평가 검증 용역'을 발주한 상태다.
국토부는 2019~2021년 3년간의 대체투자 성과를 분기별로 분석해 실적 평가에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또 대체투자 자산에 대한 공정가치도 산출해 사후 관리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그간의 대체투자 운용 성과가 맞았는지 분석하는 한편 투자의 위험 요인을 발견하면 다른 상품에 투자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106&prsco_id=421&arti_id=0005827907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