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4일 금요일

서울, 아파트값 하락폭 커져… 24개구 가격 떨어져

 

서울, 아파트값 하락폭 커져… 24개구 가격 떨어져



지난주 0.03%↓… 서초구만 보합세
안산은 GTX 호재로 상승세 전환


대선을 앞두고 서울 아파트 가격 하락폭이 커지고 있다. 반면 수도권 일부 광역급행철도(GTX) 호재 지역은 가격 상승폭을 키우고 있다.

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2월 넷째 주(지난달 28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0.03% 하락하며 지난주(―0.02%)보다 하락세가 가팔라졌다.

서울 25개 구 중 서초구를 제외한 나머지 24개 구의 아파트 가격이 떨어졌다. 성동, 중랑구가 하락 전환했고, 강남구는 0.02% 떨어지며 하락폭을 키웠다. 지난주 0.01% 하락했던 서초구는 보합세였다. 극심한 거래절벽으로 가격을 낮춘 급매 위주로 거래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국부동산원 측은 “2월 넷째 주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약 1790건)이 5년 평균 대비 21% 수준”이라고 했다.

반면 경기 아파트값은 전주(―0.03%) 대비 0.02% 떨어져 하락폭이 줄어들었다. 인천 역시 4주 연속 하락세를 멈추고 0% 증감률을 보였다.

경기에서는 안산시가 하락세를 멈추고 전주 대비 0.07% 상승해 경기에서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보였다. 정부가 최근 GTX C노선 상록수역 추가 계획을 발표한 영향으로 보인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305&prsco_id=020&arti_id=0003414537

2022년 3월 3일 목요일

"문의조차 없다"…아파트 이어 빌라도 거래 '꽁꽁'

 

"문의조차 없다"…아파트 이어 빌라도 거래 '꽁꽁'



기사내용 요약
1월 서울 빌라 매매 거래 2793건…전달 대비 17%↓
재개발 기대감에도 금융 규제·대선에 관망세 '지속'

"지난달에 매매계약이 단 한 건도 없었어요."


지난 3일 서울 영등포구 신길동의 한 공인중개업소는 "지난해에는 한 달에 최소 2~5건 정도 매매계약이 있었는데, 지금은 문의조차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아파트값이 급등하면서 소형 아파트 대신 빌라를 찾는 사람들이 많아졌고, 재개발 기대감 등으로 빌라 가격이 급등했다“며 “빌라 가격이 단기간에 오르면서 실거주 목적의 매수 대기자들도 매매를 망설이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해 아파트값이 급등하면서 대체재로 꼽히는 빌라(연립·다세대 주택) 매매시장의 열기가 식고 있다.

지난해 서울에서 매매된 주택 유형 가운데 빌라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관련 통계 이래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정도로 과열됐으나, 최근에는 위축된 분위기다. 정부의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을 비롯해 대선이 겹치면서 아파트부터 시작된 거래절벽 현상이 그나마 거래량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는 비(非) 아파트로 확산하는 양상이다.

정부의 계속된 금융 규제로 자금 조달이 이전보다 어려워진 데다, 주거용 부동산 시장의 전체적인 관망세가 빌라 매매 가격을 조정 국면으로 전환시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오세훈 서울시장이 취임한 이후 재개발 규제 완화 정책이 나오면서 실수요자뿐만 아니라 '갭투자' 수요까지 몰리면서 과도하게 형성된 거품이 걷히고 있다는 것이다.

올해 들어 서울에서 빌라 거래 감소세가 두드러진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의 부동산 거래 현황에 따르면 지난 1월(신고일 기준) 한 달간 거래량은 2793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2월 거래량(3375건)에 비해 582건(17%)이 감소한 수치다. 또 지난해 1월(5909건)에 비해서는 약 52% 급감했다. 지난 2월 거래량 역시 1284건에 불과하다. 다만, 아직 등록 신고 기한(30일)이 남아 매매 건수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빌라 매매가격 상승세도 주춤하고 있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 1월 서울 연립주택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23%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6월 상승률인 0.22% 이후 최저 상승 폭이다. 서울 연립주택 매매가격 상승률은 지난해 7월 0.63%를 기록한 뒤 가파르게 상승하며 같은 해 10월 1.43%까지 치솟았다. 이후 11월에 0.35% 떨어진 뒤 상승 폭이 줄고 있다.

주택시장에선 지난해부터 이어진 빌라 가격 급등에 따른 심리적 저항감으로 인해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다는 게 중론이다. 실제 지난해 1월 서울의 빌라 평균 매매가격은 2억6598만원에서 12월 3억5284만원으로 33% 상승했다. 여기에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등으로 자금 조달이 까다로워졌고, 대출 이자 부담이 늘어난 것도 한몫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선을 앞두고 향후 부동산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빌라시장의 관망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정부의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여파와 대선 등이 겹치면서 지난해 가격이 급등한 빌라 역시 조정을 받고 있다"며 "빌라시장에서도 입지여건과 가격 등을 고려한 '옥석 가리기' 현상이 심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 교수는 "대선 결과에 따라 향후 부동산정책의 방향이 결정되면 실수요자 중심으로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며 "빌라는 아파트에 비해 환금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매수에 신중해야 된다"고 덧붙였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304&prsco_id=003&arti_id=0011040559

재건축 대체재 그쳤던 리모델링, 건설사 대세 먹거리로 자리 잡을까

 

재건축 대체재 그쳤던 리모델링, 건설사 대세 먹거리로 자리 잡을까




재건축 규제 풍선효과로 규모 확대…신속 추진에 비용 줄어 업계 '관심'
평면 한계에 난이도↑ 수익성↓…환경 변하면 '재건축' 선회 가능성





재건축 사업의 대체재로 거론됐던 리모델링 사업이 정비사업의 한 축으로 자리 잡는 분위기다. 시장 규모가 커지고 관련 규제 완화 목소리도 높아지면서 향후 리모델링이 건설사 먹거리 중 '대세'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4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형건설사들을 중심으로 리모델링 전담팀을 꾸리며 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가장 최근에는 대우건설이 새로운 먹거리 발굴에 나서겠다며 리모델링 사업팀을 신설했다.

재작년까지만 해도 리모델링 사업은 대형건설사들의 관심사가 아니었다. 전통적인 리모델링 강자인 쌍용건설과 포스코건설 외에는 수주에 나서는 일이 거의 없었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재건축 마진이 10이면 리모델링은 1에 불과하다"며 낮은 수익성을 지적했다.

하지만 각종 규제로 재건축이 어려워지자 리모델링이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노후화된 중층 아파트들이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고, 사업 규모가 커지자 당장 먹거리가 부족한 대형사들도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지난해 리모델링 수주액 1조원을 넘는 건설사는 5곳으로 늘었다.

재건축 규제가 대폭 풀리지 않으면 리모델링 추진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리모델링은 재건축에 비해 안전진단 기준이 유연하고 초과이익환수제도 적용받지 않는다. 송파 성지아파트(3.3㎡당 6500만원)처럼 30가구 미만을 분양하면 분양가 상한제 적용도 받지 않는다.

사업이 신속하다는 점도 장점이다. 한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재건축 사업 기간이 통상 10년 이상 걸린다면 리모델링은 절반 수준"이라며 "건설사 입장에서도 사업진행이 빠르면 매출을 빨리 일으킬 수 있고 유지비용도 덜 들어 이점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대선 후보들과 정치권에서도 내건 규제 완화도 호재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수직증축 리모델링으로 사업성을 높이겠다는 공약을 내놨고, 송석준 국민의힘 의원은 이달 초 1·2기 신도시 리모델링 재생지원 특별법을 발의했다.

다만 공약 중 안전진단 완화와 용적률 500% 허용은 오히려 리모델링 사업 축소 요인이 될 수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리모델링을 택하는 건 재건축 여건이 안 되기 때문이 크다"며 "재건축 선택지가 생기면 추진 단지들이 대거 돌아설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내력벽 철거 등 이슈로 구조 변경이 어려워 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아파트 평면을 적용할 수 없고, 일반 분양이 적어 수익성이 부족하다는 점도 리모델링 사업 확산 장애물로 꼽힌다. 최근 제기되는 집값 하락 가능성이 추세화할 경우 사업이 대거 무산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리모델링은 사실상 재건축과 공사 비용 차이가 크지 않고, 오히려 기술력은 더 필요한 사업"이라며 "20년 전 잠깐 유행에 그쳤던 일이 재현되지 않으려면, 사업 범주가 겹치지 않는 상황에서 필요한 규제 완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304&prsco_id=421&arti_id=0005945616

서울 아파트 ‘35층 규제’ 8년만에 폐지

 

서울 아파트 ‘35층 규제’ 8년만에 폐지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안 발표
용적률 유지하되 초고층 개발 가능…이촌동 68층-압구정 49층 추진
주요 재건축 사업 속도 빨라질듯…현행 용도지역 제도 전면 개편
서울~영등포 지상철도 지하화




서울시가 아파트 등 주거용 건물에 일률 적용했던 ‘35층 층수 규제’를 8년 만에 폐지한다. 그동안 층수 규제로 사업이 지연되던 재건축 사업에 속도가 붙고 성냥갑 아파트로 둘러싸였다고 지적받았던 한강변에 초고층 아파트가 들어서 스카이라인이 다채로워질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안’을 발표했다. 이는 국토계획법에 따른 최상위 법정계획으로 2040년까지 서울시가 추진할 도시계획 지침이 된다.

이번 계획안의 핵심은 ‘35층 규제’ 폐지다.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한강변에 35층 이하 아파트가 많이 지어졌는데 2009년 오세훈 시장 시절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를 통해 아파트 층수가 50∼60층으로 허용됐다. 용산구 이촌동 래미안첼리투스(56층), 성동구 성수동 트리마제(47층)가 당시 지어졌다.

이후 2014년 박원순 서울시장 시절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을 통해 제3종 일반주거지역은 35층 이하로 제한하는 ‘35층 규제’가 생겼다. 이에 따라 서울 서초구 반포주공1단지가 당초 45층으로 재건축되려다 서울시 심의에 부딪혀 35층으로 낮아졌고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도 2017년 49층으로 지으려다 서울시 심의에 막혔다.

서울시는 이번에 높이 규제를 폐지하고 지역 여건에 맞게 심의를 거쳐 층수를 유연하게 정할 수 있게 했다. 다만 기존 용적률(토지면적에 대한 연면적 비율)은 유지되기 때문에 동일한 밀도로 짓되 높은 건물과 낮은 건물을 합리적으로 배치하는 게 가능해진다.

도시를 주거와 공업, 상업, 녹지 등으로 구분하는 현행 용도지역 제도 대신 자율성, 유연성을 강조한 ‘비욘드 조닝(Beyond Zoning)’을 2025년부터 도입한다. 지역별로 단일한 기능을 부여하는 대신 도보 30분 내에 주거와 일자리, 여가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보행 일상권’을 서울 전역에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서울 한양도성 안과 여의도, 강남 등 3개 도심 기능을 나눠 개발한다. 개발이 지연됐던 한양도성 내를 △광화문∼시청 ‘국가중심축’ △세운지구 ‘남북녹지축’ 등으로 구분해 개발한다. 서울시는 “높이 기준 유연화와 용적률 상향 등 인센티브를 통해 정비사업을 활성화하겠다”고 했다.

여의도는 용산과 연계해 개발한다. 특히 서울역, 용산, 노량진, 영등포 등으로 이어지는 지상철도 구간을 단계적으로 지하화해서 서울 동서 지역의 지상을 연결한다. 강남은 잠원∼서초나들목(IC)에 이르는 경부간선도로를 입체화해 잠실 국제교류복합지구에서 테헤란로를 따라 강남, 서초까지 연계해 개발한다.




층수제한 등 각종 규제완화가 예고되면서 서울 이촌과 압구정, 여의도, 성수 등 주요 지역 재건축 사업 속도도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용산구 이촌동 한강맨션 재건축 사업을 수주한 GS건설은 35층 규제가 풀리는 것을 전제로 ‘68층 설계안’을 제시한 바 있다. 강남구 압구정2구역 재건축 조합은 사업시행 계획을 최고 49층으로 짜고 있다.

다만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나 안전진단 등 추가 규제 완화가 동반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고준석 제이에듀투자자문 대표는 “정비사업을 막는 가장 큰 문턱은 재초환이나 안전진단, 분양가상한제인 만큼 이들 규제가 같이 풀려야 실제 정비사업이 활성화될 것”이라고 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304&prsco_id=020&arti_id=0003414483

2022년 3월 2일 수요일

쌓이는 지방 미분양 물량…수도권 턱 밑까지 올라와

 

쌓이는 지방 미분양 물량…수도권 턱 밑까지 올라와



기사내용 요약
대출 규제 강화 분양시장 위축…1월 전국 미분양 2만1727가구
대구 등 지방 중심으로 미분양 증가…인천·경기 일부도 미계약
집값 대세 하락 분위기에 입지·교통·교육따라 옥석가리기 본격
정책 변동성·불확실성 해소되기 전까지 분양시장 양극화 계속


지난해 흥행을 이어가던 아파트 분양시장에 빨간불이 켜졌다. 시간이 갈수록 미분양 아파트 물량이 쌓이고 있다.

대구 등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 물량이 늘고 있지만, 수도권이라고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대선을 앞두고 차기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택 수요가 적은 지방을 중심으로 시작된 미분양 확산세가 수도권 일부 외곽지역까지 치고 올라오고 있다.

지방의 경우 상대적으로 입지가 좋지 않은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청약 미달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또 수백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할 정도로 뜨거웠던 수도권에서도 인천과 경기 일부 지역에서 미계약이 잇따르고 있다.

올해부터 분양 대금에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적용되는 등 대출 규제가 강화되고, 여야 대선 후보 모두 '공급 과잉' 수준의 대규모 주택 공급 정책 공약을 내걸면서 미분양 사태가 확산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총 2만1727가구로, 전월(지난해 12월 기준·1만7710가구) 대비 22.7%(4017가구) 증가했다. 다만,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7165가구로 전월(7449가구) 대비 3.8% 감소했다.

지역별로 대구 86%(1701가구), 경남 66.3%(1245가구), 충남 36.7%(371가구) 등으로 집계됐다. 전체 미분양 물량을 규모별로 보면 전용면적 85㎡ 초과 중대형이 1424가구로, 전월 대비 39.7% 증가했다. 또 전용면적 85㎡ 이하는 2만303가구로 21.6% 늘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 1월 전국에 분양한 35개 단지 중 1순위 마감에 성공한 단지는 23곳(65%)에 불과했다. 나머지 대구와 경북 경주·충북 진천·충북 음성·전북 남원 등 9개 단지는 2순위에서도 청약이 미달됐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무순위 청약 물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23개 단지 591가구에 불과했던 무순위 청약 물량은 11월 31개 단지 1031가구로 늘더니, 12월 31개 단지 1160가구, 1월 31개 단지 1332가구로 증가했다.

일부 수도권 외곽 지역에서도 무순위 청약이 미달됐다. 지난 1월 기준 수도권 미분양 주택은 1325가구로, 경기 655가구, 인천 425가구 등으로 집계됐다.

실제 인천 연수구 송도동 '송도 센트럴파크 리버리치'는 지난달 14일 진행된 무순위 청약에서 전용면적 84B㎡형은 3가구 모집에 2명, 전용 84㎡F형은 5가구 모집에 4명만 지원했다. 또 앞서 지난 1월 청약을 접수한 경기 안성 '우방아이유쉘 에스티지'는 전 주택형 1순위 해당지역 마감에 실패했다. 916가구 모집에 314명이 접수해 602가구의 미달 가구가 발생했다.

정부의 강화된 대출 규제로 미분양 단지가 늘었다는 분석이다. 올해부터 아파트 중도금과 잔금 대출이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산정에 포함되는 등 대출 규제가 강화됐다. 또 분양가가 9억원을 초과하는 아파트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보증하는 중도금 집단 대출이 사실상 불가능한 점도 한 몫하고 있다.

전국 분양시장 경기 전망도 악화됐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분양경기실사지수(HSSI) 전망치가 71.5로 지난달보다 4.7p(포인트) 하락했다. 전달 12.2p 떨어진 데 이어 두 달 연속 하락세다. HSSI가 100을 넘으면 분양 전망이 긍정적이란 것을, 100 미만이면 반대를 의미한다.

지역별로 서울(84.8·0.2p 하락)과 부산(90.9·4.6p 상승)은 지난달과 유사한 수준으로 80~90선을 유지했다. 반면, 그 외 지역은 50~70선으로 기준선을 크게 밑돌며 분양 경기가 좋지 않을 것으로 평가됐다. 인천(76.0)은 지난달과 같고 경기(73.6), 광주(65.0), 세종(61.5)은 각각 0.8p 8.6p, 29.4p 하락했다. 대구(57.6)는 1월보다 18.5p 상승했으나 여전히 50선에 머물렀다.

전문가들은 분양시장의 양극화 현상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정부의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으로 집값이 하락하면서 입지 여건이 우수한 지역을 중심으로 여전히 청약 경쟁률이 높지만, 상대적으로 주택 수요가 적은 지방에서는 미분양 물량이 늘어나고 있다"며 "차기 정부가 추진할 부동산 정책에 대한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전까지 분양시장의 양극화 현상이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 교수는 "집값이 단기 급등하며 피로감이 누적된 지방 중소도시에서는 미분양 물량이 늘어나고, 집값이 정체하거나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대구 등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최소화하기 위해 조정대상지역 해제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출처 :네이버부동산
원문: 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303&prsco_id=003&arti_id=0011037679

'역대 최대 재건축' 둔촌주공 안갯속…"올해도 '일반분양' 반신반의"

 

'역대 최대 재건축' 둔촌주공 안갯속…"올해도 '일반분양' 반신반의"



공사비로 시공사-조합 갈등…택지비 재감정 문제도
조합 내부서도 반발…"정보 투명하게 공개 안 해"




역대 최대 규모 재건축 단지로 불리는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아파트 재건축 사업이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공사비 문제로 조합과 시공사 간 줄다리기가 이어지는 데다 분양가 산정 문제까지 겹쳐 이른 시일 내에 일반분양이 시작되긴 힘들 것이란 관측이다.

3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둔촌주공 시공사업단(현대건설·HDC현대산업개발·대우건설·롯데건설)은 최근 둔촌주공 재건축 조합에 공문을 보냈다. 착공 후 2년이 지나도록 한 푼도 받지 못한 채 약 1조5000억원을 들여 공사를 하고 있는데, 공사비 충당의 조처를 하지 않으면 공사를 중단하겠다는 내용이다.

시공사업단이 공문을 보낸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2020년에도 조합 내부 이견으로 일정에 차질이 생기자 "일반분양 일정이 확정되지 않으면 부득이 공사 중단을 할 수밖에 없다"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었다.

이번에는 공사비 증액을 두고 양 측간 갈등이 심화하고 있다. 공사비는 애초 2조6000억원 수준이었지만 시공사업단은 2020년 6월 공사비를 3조2000억원대로 증액하는 내용의 계약을 이전 조합과 체결했다.

약 5200억원에 달하는 증액분을 놓고 현재 조합은 이를 인정할 수 없다며 공사비 재평가가 필요하단 입장이다. 반면 시공사업단은 적법한 계약이므로 체결한 계약대로 진행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계속되는 갈등에 서울시의 중재가 있었지만, 뾰족한 수를 찾지 못했다.

시공사와 조합 간의 갈등이 길어지자 조합 내부에서 현 집행부에 반발하는 움직임도 나타난다. 일부 조합원은 '둔촌 입주 예정자 모임'을 만들어 시공사업단을 별도로 찾아갔다.

이 모임에 속한 A씨는 "택지비 감정 평가와 관련한 내용, 조합 내부 상황 등 조합이 조합원들에게 알려야 할 내용을 감춘 채 전혀 알리지 않고 있다"며 "정보공개를 요청해도 거부하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여기에 일반분양가 책정 문제도 있다. 최근 한국부동산원은 강동구청이 의뢰한 '둔촌주공 재건축정비사업 택지비 감정평가서 검토 요청'에 재검토 결정을 내렸다. 강동구청은 둔촌주공 택지비를 1㎡당 2020만원으로 제출했는데 부동산원은 "택지비 산정을 위한 비교 표준지 선정에 오류가 있다"는 등의 이유로 재검토를 결정했다.

택지비 조정이 이뤄지면 일반분양가는 3.3㎡당 3200만~3300만원 수준으로 낮아져, 조합 측이 기대하는 3.3㎡당 최고 4000만원과는 차이가 있다. 공사비 문제도 해결되지 않은 데다 택지비 재감정 등을 고려하면 일정이 또 지연될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둔촌주공은 2017년 7월 이주를 시작해 이듬해 1월 이주를 마쳤다. 2019년 상반기 일반 분양이 예정됐지만 3년 가까이 일정이 늦어졌고, 이대로라면 올해 상반기에도 힘들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입주를 희망하는 사람들과 인근 중개사들은 하루빨리 일반분양이 시작되길 바라지만, 조합 측의 태도가 강경해 당장 결론이 나기는 힘들어 보인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서울 내에, 그것도 대단지 아파트라는 점에서 시장과 수요자들은 기대감을 키우고 있고, 적어도 올해 안에는 일반분양이 시작되길 바라고 있다"고 했다.

둔촌주공 재건축은 역대 최대 규모의 정비사업이다. 강동구 둔촌1동 170-1번지 일대에 지상 최고 35층 85개동 1만2032가구(임대 1046가구 포함) 규모의 아파트와 부대시설을 짓는 사업이다. 일반분양 물량만 4786가구에 달한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303&prsco_id=421&arti_id=0005942545

작년 인천 아파트 사들인 서울 거주자 역대 최고치

 

작년 인천 아파트 사들인 서울 거주자 역대 최고치



기사내용 요약
경제만랩, 부동산원 자료 분석




지난해 서울 거주자들의 인천 아파트 매입 거래량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1년 서울 거주자의 인천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5930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부동산원이 2006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가장 많은 수치다.

인천에서도 서울 거주자가 가장 많이 아파트를 매입한 자치구는 '부평구'로 확인됐다. 지난해 서울 거주자가 사들인 인천 부평구 아파트 거래량은 1295건으로 집계됐다.

이어 서구 1144건, 계양구 1055건, 연수구 761건, 남동구 649건, 중구 483건, 미추홀구 406건, 동구 125건 등으로 조사됐다.

서울 거주자들의 매입이 늘면서 인천 아파트 매매가격도 상승했다. KB부동산 월간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2021년 인천시의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은 3억1500만원 수준이었지만, 올해 1월에는 4억5294만원으로 1년간 1억3700만원 오르고 43.8% 상승했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서울의 높은 집값에 금리까지 오르면서 내 집 마련 부담이 커지자 실수요자들이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인천 아파트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고 말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303&prsco_id=003&arti_id=0011038002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 💰 매매가 : 7억 4,000만원 📅 입주 : 협의 가능 (원하시는 일정 조율 가능!) 🌄 💎 전망 최고! 탁 트인 시야로 막힘 없는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