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3일 목요일

재건축 대체재 그쳤던 리모델링, 건설사 대세 먹거리로 자리 잡을까

 

재건축 대체재 그쳤던 리모델링, 건설사 대세 먹거리로 자리 잡을까




재건축 규제 풍선효과로 규모 확대…신속 추진에 비용 줄어 업계 '관심'
평면 한계에 난이도↑ 수익성↓…환경 변하면 '재건축' 선회 가능성





재건축 사업의 대체재로 거론됐던 리모델링 사업이 정비사업의 한 축으로 자리 잡는 분위기다. 시장 규모가 커지고 관련 규제 완화 목소리도 높아지면서 향후 리모델링이 건설사 먹거리 중 '대세'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4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형건설사들을 중심으로 리모델링 전담팀을 꾸리며 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가장 최근에는 대우건설이 새로운 먹거리 발굴에 나서겠다며 리모델링 사업팀을 신설했다.

재작년까지만 해도 리모델링 사업은 대형건설사들의 관심사가 아니었다. 전통적인 리모델링 강자인 쌍용건설과 포스코건설 외에는 수주에 나서는 일이 거의 없었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재건축 마진이 10이면 리모델링은 1에 불과하다"며 낮은 수익성을 지적했다.

하지만 각종 규제로 재건축이 어려워지자 리모델링이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노후화된 중층 아파트들이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고, 사업 규모가 커지자 당장 먹거리가 부족한 대형사들도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지난해 리모델링 수주액 1조원을 넘는 건설사는 5곳으로 늘었다.

재건축 규제가 대폭 풀리지 않으면 리모델링 추진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리모델링은 재건축에 비해 안전진단 기준이 유연하고 초과이익환수제도 적용받지 않는다. 송파 성지아파트(3.3㎡당 6500만원)처럼 30가구 미만을 분양하면 분양가 상한제 적용도 받지 않는다.

사업이 신속하다는 점도 장점이다. 한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재건축 사업 기간이 통상 10년 이상 걸린다면 리모델링은 절반 수준"이라며 "건설사 입장에서도 사업진행이 빠르면 매출을 빨리 일으킬 수 있고 유지비용도 덜 들어 이점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대선 후보들과 정치권에서도 내건 규제 완화도 호재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수직증축 리모델링으로 사업성을 높이겠다는 공약을 내놨고, 송석준 국민의힘 의원은 이달 초 1·2기 신도시 리모델링 재생지원 특별법을 발의했다.

다만 공약 중 안전진단 완화와 용적률 500% 허용은 오히려 리모델링 사업 축소 요인이 될 수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리모델링을 택하는 건 재건축 여건이 안 되기 때문이 크다"며 "재건축 선택지가 생기면 추진 단지들이 대거 돌아설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내력벽 철거 등 이슈로 구조 변경이 어려워 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아파트 평면을 적용할 수 없고, 일반 분양이 적어 수익성이 부족하다는 점도 리모델링 사업 확산 장애물로 꼽힌다. 최근 제기되는 집값 하락 가능성이 추세화할 경우 사업이 대거 무산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리모델링은 사실상 재건축과 공사 비용 차이가 크지 않고, 오히려 기술력은 더 필요한 사업"이라며 "20년 전 잠깐 유행에 그쳤던 일이 재현되지 않으려면, 사업 범주가 겹치지 않는 상황에서 필요한 규제 완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304&prsco_id=421&arti_id=0005945616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 💰 매매가 : 7억 4,000만원 📅 입주 : 협의 가능 (원하시는 일정 조율 가능!) 🌄 💎 전망 최고! 탁 트인 시야로 막힘 없는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