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부 출범 앞두고 ‘GTX-D 사업’ 관심 높아지는 까닭은?
공약에도 포함된 데다 기존에 사회적 논의도 / 재추진 가능성 높지 않겠냐는 관측
5월 윤석열 정부 출범을 앞두고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D 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공약에도 포함된 데다 기존에 사회적 논의도 있었던 만큼 상대적으로 재추진 가능성이 높지 않겠냐는 것이다.
23일 뉴스1과 정치권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후보 시절 GTX-D·E·F 세 개 노선을 신설하겠다고 공약했다.
그중 D노선의 경우 현 정부가 계획한 서부권광역급행철도를 강남·하남 방향으로 연장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해당 노선은 김포 장기역~부천종합운동장역 구간이 신설되는데, 이를 신림~사당~삼성~하남~팔당까지 연장해 '김팔선'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삼성역에서 수서~광주~여주로 분기되는 노선도 추가해 전체적으로는 D노선을 Y자로 짓겠다고 공언했다. 당시 윤 후보 캠프 측에서 추산한 D노선 사업비는 총 6조7500억원이다.
GTX-D 노선 강남·하남 연결은 당초 경기도 등 지자체와 지역 주민의 요구가 이어진 사안이었으나 정부 검토 과정에서 최종 부결된 바 있다.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점과 서울 지하철 2·9호선 등과 노선이 중복될 수 있다는 점 등이 고려됐다.
다만 윤 당선인이 해당 노선의 강남·하남 노선을 공약한 만큼, 향후 새 정부 출범을 전후로 해당 사업의 타당성 여부를 재검토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국토부는 지난 2월 D노선에 대해 "새 정부가 들어오면 인수위 과정에서 논의해보는 게 좋지 않겠냐"며 "합리적인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앞서 GTX-B노선의 경우에도 당초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비용 대비 편익(B/C) 수치가 0.33에 그쳐 경제성이 없다는 결론이 났으나, 3기 신도시 예비 수요를 반영하는 등 '정책적 의지'가 반영된 결과 2019년 0.97~1.0의 점수를 받아 예타를 통과하기도 했다.
현재 서부권광역급행철도는 김포~부천 구간의 사업타당성 조사 단계를 거치고 있으며 올해 안에 예비타당성 조사가 추진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해당 노선을 강남 쪽으로 연장한다면 남은 구간을 별도로 사업타당성 조사를 진행하거나, 기존 조사 범위를 넓히는 방안 등을 고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업계 안팎에서는 윤 당선인 측의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과 맞물려 D노선 계획 수정 여부에도 집중하고 있다. 집무실 이전으로 용산이 새 도심으로 부상하면 정부 원안대로 '김용선'을 추진할 수 있지 않겠냐는 것이다.
다만 국민의힘 선대본부에 참여한 관계자는 "대통령 집무실을 옮긴다고 해서 그쪽으로 이동할 수요가 많지는 않을 것이며, 현재 2호선의 경우 신도림~강남이 항상 혼잡 구간"이라며 "혼잡한 교통량을 분담해야 한다는 점에서 (김용선은) 검토할 여지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D노선은 용산으로 직결하지 않아도 부천종합운동장역에서 환승할 수 있다"며 '김용선'이 병행 추진되진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공약한 GTX 사업 구상도. 국민의힘 |
23일 뉴스1과 정치권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후보 시절 GTX-D·E·F 세 개 노선을 신설하겠다고 공약했다.
그중 D노선의 경우 현 정부가 계획한 서부권광역급행철도를 강남·하남 방향으로 연장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해당 노선은 김포 장기역~부천종합운동장역 구간이 신설되는데, 이를 신림~사당~삼성~하남~팔당까지 연장해 '김팔선'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삼성역에서 수서~광주~여주로 분기되는 노선도 추가해 전체적으로는 D노선을 Y자로 짓겠다고 공언했다. 당시 윤 후보 캠프 측에서 추산한 D노선 사업비는 총 6조7500억원이다.
GTX-D 노선 강남·하남 연결은 당초 경기도 등 지자체와 지역 주민의 요구가 이어진 사안이었으나 정부 검토 과정에서 최종 부결된 바 있다.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점과 서울 지하철 2·9호선 등과 노선이 중복될 수 있다는 점 등이 고려됐다.
다만 윤 당선인이 해당 노선의 강남·하남 노선을 공약한 만큼, 향후 새 정부 출범을 전후로 해당 사업의 타당성 여부를 재검토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국토부는 지난 2월 D노선에 대해 "새 정부가 들어오면 인수위 과정에서 논의해보는 게 좋지 않겠냐"며 "합리적인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앞서 GTX-B노선의 경우에도 당초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비용 대비 편익(B/C) 수치가 0.33에 그쳐 경제성이 없다는 결론이 났으나, 3기 신도시 예비 수요를 반영하는 등 '정책적 의지'가 반영된 결과 2019년 0.97~1.0의 점수를 받아 예타를 통과하기도 했다.
현재 서부권광역급행철도는 김포~부천 구간의 사업타당성 조사 단계를 거치고 있으며 올해 안에 예비타당성 조사가 추진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해당 노선을 강남 쪽으로 연장한다면 남은 구간을 별도로 사업타당성 조사를 진행하거나, 기존 조사 범위를 넓히는 방안 등을 고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업계 안팎에서는 윤 당선인 측의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과 맞물려 D노선 계획 수정 여부에도 집중하고 있다. 집무실 이전으로 용산이 새 도심으로 부상하면 정부 원안대로 '김용선'을 추진할 수 있지 않겠냐는 것이다.
다만 국민의힘 선대본부에 참여한 관계자는 "대통령 집무실을 옮긴다고 해서 그쪽으로 이동할 수요가 많지는 않을 것이며, 현재 2호선의 경우 신도림~강남이 항상 혼잡 구간"이라며 "혼잡한 교통량을 분담해야 한다는 점에서 (김용선은) 검토할 여지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D노선은 용산으로 직결하지 않아도 부천종합운동장역에서 환승할 수 있다"며 '김용선'이 병행 추진되진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324&prsco_id=022&arti_id=0003679226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