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산층 주택 구매력, 역대 최저
한달 소득 500만원 가구는 서울 집 하위 3.5%만 구매 가능
중산층 가구가 내 집을 마련할 수 있는 구매력이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다. 지난해 전국 집값이 급등할 때 가구 소득은 그다지 늘지 않았고, 금리 인상으로 대출에 따른 금융비용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1일 KB부동산에 따르면, 작년 12월 기준 전국 주택구매력지수는 80.9로 통계를 작성한 2008년 12월 이후 가장 낮았다. 집값이 비싼 서울의 주택구매력지수(40.4) 역시 역대 최저였다. 주택구매력지수는 중간 정도 소득의 가구가 금융기관 대출을 받아 중간값 정도의 집을 산다고 가정할 때 대출 원리금을 갚을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낸 것이다. 지수가 100보다 클수록 집을 살 수 있는 여력이 있다는 뜻이다. 집값 외에 가구 평균 소득, 대출 금리 등이 반영된다. 소득 증가보다 집값이 더 많이 오르고, 금리가 올라 매달 갚아야 할 원리금이 늘어나면 지수가 하락한다.
전국 주택구매력지수는 2015년 3월 최고점(136.3)을 기록하는 등 꾸준히 100을 웃돌았다. 하지만 작년 3월(99.1) 처음으로 100 아래로 떨어졌고, 시중 대출 금리가 본격적으로 오른 작년 9월 이후 지수가 대폭 하락했다. 실제로 지수 산정에 반영된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작년 12월 연 3.63%로 1년 전(연 2.59%)보다 1%포인트 넘게 올랐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중산층 가구의 소득이 더디게 증가한 반면 지난해 집값이 급등했고, 4분기 들어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이 본격화하면서 집을 사기가 더 어려워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위 소득 가구가 대출을 끼고 살 수 있는 주택 재고를 나타내는 주택구매잠재력 지수도 역대 최저다. 작년 4분기 서울의 주택구매잠재력 지수는 3.5로 나타났다. 서울에서 월 소득 501만원(도시 근로자 3분위 가구 기준)인 가구가 살 수 있는 집이 하위 3.5%밖에 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이 지수는 2015년 1분기 48.2로 가장 높았다. 7년 전만 해도 서울의 중산층 가구라면 대출을 받아 살 수 있는 집이 전체 주택의 절반가량 됐다는 뜻이다.
중산층 가구가 내 집을 마련할 수 있는 구매력이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다. 지난해 전국 집값이 급등할 때 가구 소득은 그다지 늘지 않았고, 금리 인상으로 대출에 따른 금융비용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1일 KB부동산에 따르면, 작년 12월 기준 전국 주택구매력지수는 80.9로 통계를 작성한 2008년 12월 이후 가장 낮았다. 집값이 비싼 서울의 주택구매력지수(40.4) 역시 역대 최저였다. 주택구매력지수는 중간 정도 소득의 가구가 금융기관 대출을 받아 중간값 정도의 집을 산다고 가정할 때 대출 원리금을 갚을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낸 것이다. 지수가 100보다 클수록 집을 살 수 있는 여력이 있다는 뜻이다. 집값 외에 가구 평균 소득, 대출 금리 등이 반영된다. 소득 증가보다 집값이 더 많이 오르고, 금리가 올라 매달 갚아야 할 원리금이 늘어나면 지수가 하락한다.
전국 주택구매력지수는 2015년 3월 최고점(136.3)을 기록하는 등 꾸준히 100을 웃돌았다. 하지만 작년 3월(99.1) 처음으로 100 아래로 떨어졌고, 시중 대출 금리가 본격적으로 오른 작년 9월 이후 지수가 대폭 하락했다. 실제로 지수 산정에 반영된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작년 12월 연 3.63%로 1년 전(연 2.59%)보다 1%포인트 넘게 올랐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중산층 가구의 소득이 더디게 증가한 반면 지난해 집값이 급등했고, 4분기 들어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이 본격화하면서 집을 사기가 더 어려워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위 소득 가구가 대출을 끼고 살 수 있는 주택 재고를 나타내는 주택구매잠재력 지수도 역대 최저다. 작년 4분기 서울의 주택구매잠재력 지수는 3.5로 나타났다. 서울에서 월 소득 501만원(도시 근로자 3분위 가구 기준)인 가구가 살 수 있는 집이 하위 3.5%밖에 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이 지수는 2015년 1분기 48.2로 가장 높았다. 7년 전만 해도 서울의 중산층 가구라면 대출을 받아 살 수 있는 집이 전체 주택의 절반가량 됐다는 뜻이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302&prsco_id=023&arti_id=0003676015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