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8월 4일 목요일

"집 살 사람 없다"…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13주 연속 하락

 

"집 살 사람 없다"…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13주 연속 하락



기사내용 요약
서울 매매수급지수 84.6, 3년 1개월 만에 최저치
동북권·서북권은 78.0까지 하락…동남권도 내려
용산구 속한 도심권은 반등…개발 계획 반영된 듯
전셋값도 조정…전세수급지수 91.9에서 9.15로 ↓


고금리에 부동산 매수세가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13주 연속 하락하며 2019년 7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1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4.6으로 지난주(85.0)보다 0.4포인트(p) 떨어졌다. 이는 지난 2019년 7월8일 조사(83.2) 이후 약 3년 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또 지난 5월9일부터 이번주까지 13주 연속 하락세다.

매매수급지수는 부동산원이 회원 중개업소 설문과 인터넷 매물 건수 등을 분석해 수요와 공급 비중을 점수화한 수치로 0~200 사이의 점수로 나타낸다. 기준치인 100보다 아래로 내려갈 수록 집을 팔 사람이 살 사람보다 많다는 의미다.

기준선인 100 밑으로 처음 내려간 것은 지난해 11월 15일(99.6)로 이번주까지 38주 연속 수요 보다 공급이 많은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서울 전반적으로 하락 분위기가 뚜렷하다. 마포·은평·서대문구가 들어가 있는 서북권과 노원·도봉·강북구 등이 포함된 동북권은 각각 78.0을 기록했다. 지난주에 비해 각각 0.6포인트, 0.9포인트 떨어진 것이다.

영등포·양천·강서·동작구 등이 속한 서남권도 지난주 89.7에서 이번주 89.4로 떨어졌다. 강남4구가 포함된 동남권은 지난주까지 3주 연속 91.9를 유지했으나 이번주에는 91.6으로 0.3포인트 떨어졌다.

용산·종로·중구 등이 속한 도심권은 지난주 81.4에서 83.2로 1.8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26일 발표된 용산정비창 개발 계획에 매수 심리가 소폭 회복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여전히 팔 사람이 많은 상태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주보다 0.4포인트 내린 87.5를 기록했다. 수도권 수치 역시 2019년 7월15일(86.9) 이후 약 3년 만에 최저치다. 경기(89.6→89.2)와 인천(87.4→87.2) 모두 지난주에 비해 하락했다.

최근 전셋값도 조정 국면에 들어선 가운데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도 지난주 91.9에서 이번주 91.5로 0.4포인트 떨어졌다.

금리 인상 기조에 따른 대출이자 부담으로 당분간 부동산 시장 전반에 매수심리 위축이 이어질 것이란 게 시장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도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8월1주(1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6% 하락했다. 10주 연속 내림세다. 강북구가 0.16% 떨어졌고, 성북·도봉·노원·서대문구도 0.15%씩 하락했다. 지난주 서울 25개 자치구 중 유일하게 상승했던 서초구는 지난 3월 셋째 주 이후 20주 만에 보합세로 돌아섰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지속적인 금리 인상이 예상됨에 따라 매수자 우위시장이 형성 중인 가운데 주요 대단지 위주로 매물가격 내림세가 확대하면서 서울 아파트값이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805&prsco_id=003&arti_id=0011346168

임대차법 2년, 전세 시대 저물고 ‘월세 시대’

 

임대차법 2년, 전세 시대 저물고 ‘월세 시대’



올 상반기 전국 월세 비중 51.6%…처음으로 절반 이상
“하반기 월세 거래 더 늘어날 가능성 높아”





임대차 관련 법안을 시행한 2년 동안 전세가격이 폭등한데다 전세의 월세화도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임대차2법 시행 직전인 2020년 상반기(1월~6월) 전월세 거래량은 9만7181건이었다. 이 가운데 월세(보증부 월세 포함)는 2만8015건으로 28.8%의 비중에 불과했다.

그러나 임대차2법이 시행된 지 2년이 지난 올 상반기 전월세 거래량(전날 기준) 총 11만245건 중 월세 거래량은 4만4842건으로 40.7%로 비중이 늘었다.

반면 전세 비중은 같은 기간 71.2%에서 59.3%로 11.9%p 줄어들었다. 전세 거래 비중은 물론 전세 매물도 급격하게 줄어든 것으로 확인된다. 아실의 통계자료를 살펴보면, 임대차2법이 시행된 직후인 2년 전보다 서울의 전세 매물은 3만7101건에서 3만1781건으로 14.4% 급감했다.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월세 비중은 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집계한 올 상반기 전국 주택 전월세 거래 중 월세 비중은 51.6%로,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11년 이후 월세 비중이 절반을 처음으로 넘어섰다.

전문가들은 임대차법 시행과 함께 금리 인상에 따라 전세의 월세화가 더욱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 봤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 수석위원은 “임대차 시장은 임대차법 시행 후인 2020년 7월 이후 월세 거래량이 큰 폭으로 증가했고, 비중도 늘어나는 등 전세의 월세화가 점차 가속되는 추세”라고 말했다.

특히 강남3구처럼 집값이 고가일수록 월세 거래 비중이 높으며, 종로구, 마포구, 중구 등 주요 업무지역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보증금 상승분을 마련하기 어려운 임차인과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보증금을 올리기보단 월세로 전환해 이득을 취하려는 임대인이 늘어나면서 올 하반기에는 월세 거래가 더욱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한편, 지난달 국토교통부는 법무부와 공동으로 ‘주택임대차 제도개선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제도 개선에 착수했다. 월 1회 정기회의를 통해 시장 동향을 공유하고, 임대차 2법의 효과와 문제점 분석을 토대로 합리적 제도개선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805&prsco_id=119&arti_id=0002627559

尹정부 첫 주택공급대책 9일 발표…어떤 내용 담길까?

 

尹정부 첫 주택공급대책 9일 발표…어떤 내용 담길까?




재건축 재개발 규제완화·용적률 500%로 상향 / 청년 원가주택·역세권 첫집 공급·1기 신도시 정비계획도 공개



 
윤석열 정부의 첫 주택 공급대책이 다음주 초에 발표된다.

연합뉴스와 대통령실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관계 부처는 핵심 주택 정책인 '250만호+α' 공급대책을 이달 9일에 발표하기로 하고 현재 세부 내용을 조율 중이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비서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번에 발표할 공급대책은 윤석열 정부의 주택공급 청사진을 발표하는 것"이라며 "이전 정부에 있던 물량 중심의 단순 공급계획이 아니라 철저히 수요자 중심으로 국민의 주거안정과 삶의 질에 주안점을 두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공급대책은 민간의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을 활성화해 집값 불안 지역인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공급을 확대하는 방안이 담길 전망이다.

이전 정부가 신도시·공공택지 등 수도권 외곽을 중심으로 공급 계획을 마련했다면 현 정부는 수요가 밀집된 도심내 규제 완화를 통해 주택공급을 확대하는 것이 골자다.

이를 위해 역세권 등지를 중심으로 용적률을 500% 이상으로 높여 공급물량을 확대하고 정비사업에 '통합심의'를 도입해 공급 절차를 단축하는 방안 등이 포함된다.

대선 공약으로 제시된 청년 원가 주택과 역세권 첫집 주택 공급 방안도 이번 대책에서 함께 공개된다.

정부는 신속한 도심내 주택공급 확대를 위해 공공이 아닌 민간 주도의 주택사업에 각종 특례를 부여하는 '민간제안 도심복합 사업'도 도입할 예정이다.

도심 공급 확대 방안의 일환으로 재건축·재개발 규제 개선에도 나선다.

정부는 현재 재건축 사업의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는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재초환) 개선안을 논의 중이다.

가구당 적게는 수천만원, 많게는 수억원에 달하는 과도한 부담금을 낮춰주기 위해 현행 3천만원 이하인 재건축 부담금 면제 기준을 1억원으로 상향 조정해 면제 대상을 확대하는 동시에 3천만원 초과부터 초과이익 구간별로 10%부터 최대 50%인 부과율을 낮추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재건축 종전가액 평가 시점을 '추진위원회'에서 '조합설립인가' 시점으로 늦춰 부담금 부과 기준의 사업 기간을 단축하는 방안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다만 재초환 손질 방안은 재건축초과이익환수법 개정이 필요해 실제 감면 수준은 국회 논의 과정을 지켜봐야 한다.

집값 상승 우려로 내년 이후로 늦춰질 것으로 예상된 재건축 안전진단 규제 완화 계획도 이번 공급대책에 포함할 것으로 전해졌다.

윤석열 대통령은 대선 공약에서 현재 안전진단 통과의 가장 큰 걸림돌로 꼽히는 구조안전성 비중을 현행 50%에서 30%로 낮추는 반면 주거환경 비중은 15%에서 30%로, 건축마감·설비노후도는 25%에서 30%로 각각 높이는 방안을 제시했다.

주거환경 비중이 높아지면 주차장 부족 등으로 재건축을 원하는 단지의 안전진단 통과가 수월해진다.

안전진단은 법 개정이 필요 없어 관련 기준만 개정하면 된다.

1기 신도시 재정비 사업 계획도 이번에 함께 공개될 전망이다.

정부는 현재 1기 신도시 정비사업을 위한 마스터플랜 용역을 추진 중이며, 앞으로 특별법 제정을 통해 사업 추진의 속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805&prsco_id=022&arti_id=0003722335

2022년 8월 3일 수요일

작가 블랙판다 신작 소설 - 벼락거지

작가 블랙판다 신작 소설 - 벼락거지

링크 : https://www.bookk.co.kr/book/view/145374 
























도서 정보편집

사회적 이슈인 ‘벼락거지’ 에 대해서 글을 써보았다. 부동산,주식,코인 등 지금의 2030에게 
위로의 글을 쓰고 싶었다.
현실과 마주한 지금 이순간, 나만 지금 벼락거지에 있다는게 아니란걸 알리고 싶었다.
인간은 공유의 마음을 함께 하면 조금이나마 위안을 얻는다.
‘나만 그런게 아니라 너도 그랬구나‘
이 내용을 주고 싶었다.
부자가 되고 싶지도 않았고, 그저 중간만 가기를 원했던 2030 세대에게 혼자가 아니라는걸 
느꼈으면 한다.
저자 또한 긴 인생을 살지는 않았지만 고난의 터널이라는 것은 꼭 끝이 있는걸 보았기에 이 
사실을 알려주고 싶었다.
‘ 인생은 멀리서 보면 희극 가까이서 보면 비극’

이것이 우리의 인생인 것이다. 그래도 희극이 있다니 얼마나 위안이 되는가.

규제 풀려도 지방은 '썰렁'…국토부, 규제지역 '적극해제' 나서나

 

규제 풀려도 지방은 '썰렁'…국토부, 규제지역 '적극해제' 나서나




규제지역 해제 한 달 만…대구, 미분양관리지역 지정
울산 중·남구 등 시장 침체에도 여전히 규제에 발 묶여
국토부, 연내 규제지역 추가 해제 가능성
"수도권·세종 외 지방 대부분 풀어야…단기간 침체 벗어나기 힘들어"




규제지역 해제에도 불구하고 지방 분양시장 분위기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다. 일부 지역은 미분양 물량이 크게 늘면서 정부의 규제지역 추가 해제에 대한 요구도 커지는 상황이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연내 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지역 등 규제지역 추가 해제 검토 의사를 밝힌 가운데 시장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나설지 관심이 쏠린다.

4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 2분기(4~6월) 전국 민간아파트 초기분양률은 87.7%다. 지난해 2분기(98.3%)와 비교하면 10.6%포인트 떨어진 수준이다. 초기분양률이란 아파트 분양 초기(분양보증서 발급일 3개월 초과~6개월 이하) 시점의 총 분양가구 대비 계약 체결 가구 비율을 의미한다.

올 2분기 서울과 부산, 대전, 세종, 전북의 초기분양률은 100.0%를 기록했다. 반면 대구와 울산의 초기분양률은 각각 18.0%, 35.4%로 관련 통계 집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국토부는 앞서 6월 30일 주거정책심의위원회(주정심)을 열고 대구와 대전, 경남 6개 시·군·구에 대한 투기과열지구 지정을 해제한 바 있다. 대구 수성구를 제외한 나머지 7개 지역(대구 동·서·남·북·중·달서구·달성군), 경북 경산시, 전남 여수 등 11개 시·군·구, 경기 안산과 화성시 3곳에 대한 조정대상지역 지정도 해제했다.

하지만 이들 지역은 여전히 시장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6월 말 기준 대구의 미분양 물량은 6718가구로 전국(2만7910가구)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205가구로 지난해 12월 대비 38.5% 증가했다.

오는 5일부터 대구 중·동·남·달서구, 울산 울주군, 강원 평창군, 전남 광양시, 경북 경주·포항시(정부규제지역 제외) 등 전국 9개 시·군·구는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된다. 이번에 지정된 지역 가운데 대구 4개 지역과 전남 광양 등 총 5곳은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된 지역들이다.

대구는 조정대상지역 해제 한 달 만에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전락한 셈이다. 대구와 함께 초기분양률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울산의 경우 집값과 청약경쟁률 급락, 미분양 물량이 적체되며 중·남구에서 지속적인 조정대상지역 해제 요청이 있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규제지역에서 해제되고도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되는 곳이 나오고, 시장 침체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규제에 발이 묶인 곳들이 혼재하자 정부는 추가적인 규제 완화를 검토하겠다고 나섰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최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업무보고에서 "규제지역에 대한 1차 해제가 조금 미흡했다. 필요하다면 연말 이전에라도 추가 조치를 할 수 있다"며 "주정심이 6개월마다 열리는 게 상례인데 시기가 강제화돼 있지는 않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수도권 및 세종시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한 지방 대부분 지역의 규제를 풀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규제지역 지정이 해제되더라도 어느 정도 미분양 물량이 해소되기 전까지는 지방의 분양시장 분위기가 살아나기 힘들단 분석이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교수)는 "정성적인 판단도 필요하겠지만 규제 완화를 통해 시장 중심의 거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지방의 경우 법적 규제 완화 요건들을 갖춘 지역들은 모두 해제하는 방향으로 정리가 돼야한다고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규제를 풀더라도 이미 가격 상승에 대한 피로도가 많이 쌓였고, 또 분양받은 이후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 등이 많이 떨어진 상태여서 시장 분위기가 살아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며 "다만 수도권이나 세종의 경우에는 특수한 여건 때문에 현실적으로 정부에서 규제를 풀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804&prsco_id=119&arti_id=0002627178

"전입신고, 이삿날 안 했으니 보증금 못 줘"... 세입자 또 울리는 정부

 

"전입신고, 이삿날 안 했으니 보증금 못 줘"... 세입자 또 울리는 정부



[파멸의 덫, 전세 사기] 
허술한 전세보증반환 기준
은행은 구제, 피해자는 제외



지난해 3월 서울 양천구 신정동의 한 빌라에 전세로 들어간 직장인 김모(33)씨는 최근 길거리에 나앉게 생겼다. 논란이 된 전세 사기 수법(본보 '파멸의 덫, 전세 사기' 시리즈 참고)에 당해 은행 대출로 충당한 전셋값 2억5,000만 원을 고스란히 날릴 처지에 몰렸기 때문이다.

김씨는 지난해 10월 집이 경매로 넘어갔다는 법원 통지서를 받고서야 이사한 당일 집주인이 바뀐 사실을 알게 됐다. 거액의 이사지원금을 내걸며 전세 계약을 독촉했던 중개업자도 머리를 스쳤다. 세입자 전셋값으로 분양대금을 치르는 전형적인 '동시진행' 수법에 당한 것이다.

그럼에도 김씨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취급하는 안심전세대출을 받았고 이중으로 전세금반환보증까지 가입했으니 '설마 보증금을 날리겠어' 싶었다. 설마가 사람 잡았다. 금요일 오후 늦게 이사를 한 터라 어쩔 수 없이 주말을 보내고 월요일 일찍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받은 게 문제가 됐다.

HUG의 설명은 이랬다. "약관상 이사 당일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받은 경우에만 보증 효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김씨처럼 전입신고를 3일 늦게 하면 보증금 반환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김씨는 "이미 보증료까지 다 냈는데 지금까지 아무 말도 없다가 정작 사고가 난 뒤에 약관을 이유로 보증 대상에서 제외한다는 게 납득이 되질 않는다"고 토로했다.

김씨처럼 보증기관의 전세보증금 반환 거절로 또 한번 좌절하는 피해자가 잇따르고 있다. 정부와 HUG가 전세금반환보증 상품 가입을 대대적으로 독려했음에도 이제와 애매한 기준을 들이밀며 피해자 구제에 손 놓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사 당일 전입신고한 경우만 구제



국토교통부 산하 기관인 HUG는 현재 국내 전세보증의 90% 가까이를 담당하고 있다. HUG는 전세금반환보증 상품과 전세금안심대출보증 상품 두 개를 취급한다. 대부분 후자를 선택한다. HUG를 통해 시중은행 전세대출도 받으면서 동시에 전세보증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칙적으로는 HUG 안심대출을 받았으면 전세 사기를 당해도 보증금을 100% 돌려받을 수 있다.

허점이 여럿 존재한다. 안심대출보증 상품 약관에 '가입자는 반드시 대출 실행일(이사 당일)에 이사 간 집에 대한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갖춰야 한다. 이 요건을 갖추지 못하면 보증 채무의 효력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한다'고 돼 있다.

하지만 이사 당일 전입신고 여부를 보증금 반환 기준으로 삼는 것 자체가 잘못됐다는 지적이 많다. 어차피 이사 당일 전입신고를 해도 이에 대한 법적 효력(대항력)은 다음 날부터 발생한다. 최근 전세 사기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 이사 당일 집주인이 바뀌면 세입자가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법적 순위는 뒤로 밀리게 된다.

그런데 HUG는 이사 당일 전입신고를 마치기만 하면, 당일 집주인이 바뀌어 세입자가 대항력을 갖추지 못해도 구제 대상으로 삼는다. 전입신고를 이사 당일에 하나, 3일 뒤에 하나 그 사이 집주인이 바뀌면 세입자의 법적 순위가 뒤로 밀리는 건 똑같은데, HUG는 오직 전자만 구제 대상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전입신고 늦게한 김씨는 제외해도 은행은 구제



HUG는 전세금안심대출 전 과정을 시중은행에 위탁하고 있다. 김씨는 HUG에서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지만, 만약 김씨가 대출금을 갚지 못하면 은행은 HUG로부터 김씨가 못 갚은 전액을 보상받는다. 중요 약관을 김씨에게 제대로 설명하지 않은 은행이 HUG로부터 벌칙을 받아야 하는데, 현재 구조는 거꾸로인 셈이다. HUG는 이에 대해 "다소 불합리하다고 볼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며 "내부에서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김예림 변호사는 "설령 보증금 반환이 안 되는 경우라도 HUG가 바로 알려줘야 하는데 정작 사고가 터진 뒤에야 알려준다"며 "보증기관이 중간에 확인해 미리 고지해주는 식의 개선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804&prsco_id=469&arti_id=0000689788

2022년 8월 2일 화요일

부동산 선행지표 경매·청약 '주춤'…하반기, 집값 더 하락하나

 

부동산 선행지표 경매·청약 '주춤'…하반기, 집값 더 하락하나




기사내용 요약
지난 6월 기준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 '최저치 기록
상반기 아파트 청약경쟁률 평균 14.0대 1로 '하락'
'추가 금리 인상·부동산 경기침체' 하방 압력 가중



정부가 물가 급등을 차단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0%p(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하면서 집값이 조정국면에 접어든 가운데, 향후 집값을 가늠할 수 있는 경매와 청약 등 대표적인 선행지표들이 '하락'을 가리키고 있다.

잇간 금리 인상 여파가 기존 주택 매매·전세 시장을 넘어 경매·청약 시장 등으로 번지면서 부동산 시장이 꽁꽁 얼어붙었다. 금리 인상과 대출 규제로 올해 상반기 아파트 매매 건수가 1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할 정도로 거래절벽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또 집값은 조정국면에 접어들었다. 서울 아파트값이 2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하락 폭을 기록하는 등 전국적으로 집값 하락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추가 금리 인상과 부동산 경기침체 등 다양한 하방 압력이 거세지고 있다. 특히 아파트 경매 지표가 모두 하락하고, '불패 행진'을 이어가던 수도권 분양시장도 크게 위축되면서 하반기 집값 낙폭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지난해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의 비율)이 고공행진을 거듭했던 것과 달리 올해 들어 낙찰가율이 줄고 있다. 특히 지난 6월 기준 전국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이 올해 들어 최저치를 기록했다. 통상 경매 낙찰가율은 주택 시장의 선행지표로 여긴다. 낙찰가율이 떨어졌다는 건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낮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법원 경매 정보 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 6월 전국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은 전달(94.3%)대비 0.5%보다 하락한 93.8%를 나타냈다. 올 들어 가장 낮은 낙찰가율이다. 낙찰률은 45%로 전달 42.8%에 비해 다소 높아졌으나, 평균 응찰자 수는 6.1명으로 전달(7.2명) 대비 줄었다.

지역별로 인천 아파트 낙찰가율(88.8%)이 전월(96.8%) 대비 크게 하락했다. 인천 낙찰가율이 80%대를 나타낸 것은 2020년 12월 이후 처음이다. 대구도 낙찰가율이 81.3%를 나타내며 2014년 1월(81.1%) 이후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다. 울산(93.3%), 부산(95.9%), 광주(96.0%) 등도 전달보다 하락세를 보였다.

반면 서울 아파트 낙찰률과 낙찰가율은 오히려 상승했다. 낙찰률은 56.1%로 전월(35.6%) 대비 20.5% 상승했고, 낙찰가율은 110.0%로 전월(96.8%)보다 13.2% 상승했다. 비(非)규제지역인 강원도 낙찰가율도 108.2%로 100%를 넘겼다. 부동산 시장이 전체적으로 위축된 가운데, 개발 사업이 진행되거나 호재가 있는 지역, 서울 강남권에서 이른바 '똘똘한 한 채' 수요가 몰린 영향으로 분석된다.





서울을 비롯한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집값이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서울은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하락폭이 커지는 상황인데, 서초구는 유일하게 강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2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셋째 주(18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이 0.04% 하락해 지난주(-0.03%) 대비 하락폭이 커졌다.

청약 시장도 사정이 비슷하다. 부동산 정보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 아파트(공공·민간 사전청약 아파트 제외)의 청약 경쟁률은 평균 14.0대 1로 집계됐다. 지난해 상반기(18.2대 1)보다 낮아졌다. 최저 당첨가점(만점 84점)은 24.1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0.8점)보다 하락했다.

수도권 청약 경쟁률은 평균 30.0대 1에서 13.1대 1로 낮아졌다. 서울만 놓고 보면 29.4대 1로 지난해 같은 기간(124.7대 1) 경쟁률의 4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 최저 당첨가점은 44.5점으로 전년(61.1점) 대비 16.6점이나 하락했다.

전국에서 미분양 물량이 쌓이고 있다. 지난 5월 기준 수도권 미분양 물량이 전달 대비 20%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5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총 2만7375호로 나타났다. 전월(2만7180호) 대비 0.7%(195호) 증가했다.

수도권 미분양은 3563호로 전월(2970호) 대비 20%(593호) 증가했다. 반면 지방은 2만3812호로 전월(2만4210호) 대비 1.6%(398호) 감소했다. 또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전국 기준 6830호로 전월(6978호) 대비 2.1%(148호) 감소했다.

서울에서 미분양 물량도 한 달 새 2배 가량 늘어났다. 서울의 미분양 물량이 688호로 전달 대비 91.1% 증가했다. 이는 2019년 3월(770호) 이후 3년2개월 만에 최대치다. 서울 미분양 주택은 올해 1~2월만 해도 50호 미만이었으나, 3월 100가구를 처음 돌파한 뒤 4월 360호, 5월 688호로 빠르게 증가했다.

부동산 시장에선 최근 집값 전망을 보여주는 각종 선행지표가 하락을 가리키면서 올해 하반기 본격적인 집값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에 힘이 실리고 있다. 집값 고점 인식 확산한 상황에서 추가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되면서 주택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집값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추가 금리 인상 등 집값 하방 요인들이 겹치면서 하반기 집값 하락 폭이 커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집값 급등에 따른 피로감 누적과 대출 규제 강화, 기준금리 추가 인상 등 집값 하방 요인들이 맞물리면서 주택 매수세가 위축됐다"며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가 겹치면서 하반기 집값 하락 폭이 예상보다 커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권 교수는 "경매·청약 시장 위축 등 부동산 시장 선행 지표를 바탕으로 집값이 조정국면에 접어들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며 "금리가 높아지면 주택 구매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추가 금리 인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관망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803&prsco_id=003&arti_id=0011339419

🏡✨ 성남자이 아파트 24평 매매 6억5천만‼️ ✨🏡

  🏡✨ 성남자이 아파트 24평 매매 6억5천만‼️ ✨🏡 ──────────────────────── 📍 위치 최고! 생활·교육·교통 모두 완벽한 성남 핵심 입지 💯 조용하고 쾌적한 환경 속에, 생활 편의시설이 가까워요 🛍️🚆 🧱 전용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