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5월 21일 일요일

‘제2의 월세’된 관리비…원룸 세입자 부담 가중

 

‘제2의 월세’된 관리비…원룸 세입자 부담 가중




깜깜이로 운영되는 관리비, 임대인들 월세 수익 보조
임대차3법, 관리비 인상 부작용 낳았다는 지적도
부동산 플랫폼, 꼼수거래 막는 장치 있지만 한계 여전



관리비가 제2의 월세로 떠오르면서 세입자들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원룸, 오피스텔 등 소형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임대인이 월세 대신 관리비를 올려 받는 꼼수거래도 나온다.


#서울 구로구 오피스텔에 거주하고 있는 신혼부부 A씨는 관리비로 한 달에 15만원이 넘는 돈을 지출하고 있다. 관리비에는 기껏해야 인터넷과 TV 요금이 포함됐는데 다달이 1인당 7만원이 넘는 돈을 내고 있는 것이다.

A씨는 “월세는 45만원이지만 실질적으로 지출하는 주거비용은 60만원이다. 별도로 공과금 부담도 만만치 않다”며 “곧 만기가 다가오는데 집주인이 관리비 인상 얘기를 꺼내더라”고 하소연했다.

관리비가 ‘제2의 월세’로 떠오르면서 세입자들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원룸, 오피스텔 등 소형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임대인이 월세 대신 관리비를 올려 받는 꼼수거래도 나온다.

1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다음 달 1일부터 본격 시행될 예정이었던 전월세신고제 계도기간이 1년 더 늘어난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지난 16일 진행된 출입기자간담회에서 임대차 시장 제도 전반을 손보기 위해 전월세신고제 계도기간을 유예한다고 말했다.

전월세신고제는 보증금 6000만원 이상이거나 월세가 30만원을 넘을 경우 계약 체결일로부터 30일 이내로 계약 내용을 신고하도록 한 제도다. 이를 위반할 시 최대 1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일각에서는 임대차3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전월세신고제)이 월세 대신 관리비를 올려 받는 꼼수거래를 자극했다는 주장이 나온다.

전월세상한제에 따라 임대료 인상을 5%로 제한하자 임대인들이 편법으로 사실상 월세를 올릴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는 설명이다. 전월세신고제 도입으로 임대 소득이 드러나는 것을 피하고자 이 같은 부작용이 나타났다는 관측도 크다.

서울의 한 공인중개사는 “전월세신고제를 피해가려고 30만원 아래로 월세를 받고 차액을 관리비에 반영하는 경우가 나오더라”며 “오피스텔은 임대인이 세금 회피 목적으로 신고를 꺼려하는 것 같다. 거래 투명성이나 동향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라도 임대차 신고 제도가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소형 공동주택의 경우 아파트와 달리 관리비 규정이 없어 이러한 편법이 가능하다. 이에 직방 등 부동산 중개 플랫폼에서도 임대인의 꼼수를 막으려고 여러 장치를 뒀지만 주택마다 관리비 세부 내역 등이 다르고 기재가 의무사항도 아니어서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직방 관계자는 “관리비가 얼마인지는 표시광고 명시 의무사항이라서 반드시 입력해야 한다”며 “그런데 수도나, 인터넷, 전기 등 관리비 세부 내역을 기재하는 건 의무가 아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안심운영정책을 통해 최대한 꼼수거래를 못하도록 하고 있다. 실제로 관리비가 10만원이고 월세가 100만원인데 직방에 업로드할 때 관리비를 20만원, 월세를 90만원이라고 표시하면 패널티를 받을 수 있다”며 “또 월세 검색 시 관리비가 포함된 금액으로 검색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 중이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MD비즈니스학과 교수)는 “임차인 보호를 위해 임대료 인상 상한선을 두다보니 월세 대신 관리비를 올려 받는 등의 부작용이 나타났다”며 “임대료 인상 상한선을 합리적으로 조정해 편법이 나오지 않도록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다만 관리비 내역을 세세하게 공개하는 것은 행정력이 낭비되는 측면이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522&prsco_id=119&arti_id=0002714046

2023년 5월 19일 금요일

“1인가구 대세 아니었어?”…소형에 투자한 영끌족 큰일났네

 “1인가구 대세 아니었어?”…소형에 투자한 영끌족 큰일났네




대형과 소형 아파트값 격차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1인 가구 증가로 인기를 모았던 소형은 한때 대형과의 가격 격차가 좁혀졌으나 최근 들어 더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가격 상승을 기대하고 소형 아파트 영끌(영혼까지 끌어 대출)에 나섰던 이들이 시름도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20일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의 경우 대형(전용 85㎡ 초과)이 소형(전용 60㎡ 이)보다 3.3㎡당 551만원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2000년부터 올 5월까지 3.3㎡당 평균 매매가격 을 조사한 결과다.

소형 아파트값 강세는 2007년부터 나타났다. 이전까지는 큰 평형이 주도했었다. 실제 2006년에 대형과 소형 격차는 3.3㎡당 전국 579만원, 서울 809만원, 수도권 641만원 등으로 가격격차가 역대 최대로 벌어졌다.

그러나 2007년 이후 10년 여간 가격차이는 계속 좁혀졌다. 전국 기준으로 대형과 소형 가격 격차는 2007년 532만원으로 소폭 하락한 이후 2009년 395만원, 2012년 269만원, 2015년 210만원 등을 기록했다. 2007년만해도 대형이 소형보다 532만원 더 비쌌는데 10여년 만에 210만원으로 줄어든 것이다,

서울도 비슷하다. 대형과 소형 격차가 2006년 809만원에서 2007년에는 738만원으로 뚝 떨어졌다. 이후 2009년에는 544만원, 2013년에는 341만원, 2015년에는 324만원까지 좁혀졌다. 중소형이 인기를 끌면서 2011년에는 소형이 더 비싼 가격 역전 현상도 일부 나타나기도 했다.

소형 아파트값 상승 이유로는 공급부족이 지목된다. 1인 가구 등을 중심으로 소형 수요가 폭증한 반면 공급은 이를 따라가지 못했다.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전국에서 입주한 아파트 가운데 전용 60㎡ 이하는 평균 28% 수준이었다.

좁혀지던 가격격차는 2016년부터 다시 벌어졌다. 전국 기준으로 2016년 218만원에서, 2022년 442만원, 올 5월 465만원 등을 기록했다. 지방에서도 이때부터 매해 격차가 커지더니 2022년에는 601만원까지 상승했다.

서울은 2022년부터 격차가 확 벌어지면서 2022년 478만원, 올 5월 551만원을 기록하고 있다. 소형 아파트값이 대형에 비해 더 떨어지고 덜 오른 셈이다.

소형 아파트 인기는 1인 가구 추이와 맞물려 있다. 통계정보포털 자료를 보면 2021년 기준 1인가구는 716만5790가구다. 오는 2025년에는 765만3000가구, 2050년에는 905만4000가구 등으로 전망되고 있다.

대형 아파트가 강세를 보이는 이유는 공급부족이다. 1인 가구 증가추세로 소형 아파트 공급을 확 늘리면서 상대적으로 대형 분양이 줄어든 결과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부동산R114 통계를 보면 입주 단지 중 전용 85㎡ 초과 대형 비중은 전국 기준으로 2016년 8.06%로 10%를 밑돈다. 전국적으로 2022년 5.4%, 2023년 1~5월 6.9% 등 한 자릿수에 머물고 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132880?sid=101

순자산 29억원 넘어야 상위 1% 부자…0.1% 들려면 77억원 있어야

 순자산 29억원 넘어야 상위 1% 부자…0.1% 들려면 77억원 있어야



국내 상위 1% 부자 평균 나이 63.5세, 72%가 수도권 살아
평균 소득, 일반가구의 3.5배



우리나라에서 ‘상위 1% 부자’가 되려면 순자산을 29억 넘게 보유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대부분은 자가주택에 거주하며, 3명 중 2명이 넘는 비율이 서울 등 수도권에 살고 있었다.

20일 한화생명 등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국내 순자산 상위 1% 기준은 29억2010만원이었다. 

순자산이란 부동산과 차, 현금 등 자산 전체에서 부채를 뺀 나머지 재산을 뜻한다. 

상위 1% 부자는 총 20만9000여 가구이며 가구당 평균 구성원 수가 2.8명으로 총 58만6000여명이 여기 속한다. 가구주 평균 연령은 63.5이며 이들 중 72%가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었다.

이들 가구의 88.5%가 자가주택에 거주하고 있고 7.7%가 전세, 3.8%가 월세로 살고 있었다. 연평균 소득은 2억1571만원으로 일반 가구 소득인 6125만원보다 3.5배에 달했다. 

한편 같은 기간 순자산 상위 0.1% 기준은 76억8000만원이었다. 상위 5%에 들려면 최소 13억3500만원, 10%는 9억원 이상을 보유해야 했다.


원문: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43/0000045160?sid=101

출처:네이버부동산

하지원, 대출 80억 끼고 산 100억 건물…공실로 연 2억대 손실설

 

하지원, 대출 80억 끼고 산 100억 건물…공실로 연 2억대 손실설




소속사 "별다른 입장 없다"
이미지 원본보기배우 하지원 ⓒ News1 권현진 기자
(서울=뉴스1) 안은재 기자 = 배우 하지원이 서울 중심에 있는 빌딩을 100억원에 매입했으나 임대 수익률이 낮아 손실을 보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와 관련, 소속사 측은 별다른 입장은 없다고 밝혔다.

하지원 소속사 해와달엔터테인먼트는 20일 뉴스1에 이번 사안에 대해 "특별한 입장은 없다"고 밝혔다.

이날 머니투데이는 하지원은 지난 2020년 자신이 설립한 법인 해와달엔터테인먼트 명의로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 있는 빌딩을 약 100억원에 매입했다고 전했다.

해당 건물은 지하 1층부터 지상 8층의 건물로 1층 안경점 입점만 제외한다면 모두 공실이다. 해당 매체에 따르면 추산된 대출 금액 80억원에 매달 이자는 2600만원(연 금리 4% 기준)이지만 그의 추정 연간 임대 수익은 9000만원이다. 대출 이자에서 임대수익을 빼더라도 연 2억원 넘는 손실을 보고 있다.


원문:https://entertain.naver.com/read?oid=421&aid=0006818552
출처:네이버부동산

2023년 5월 18일 목요일

공인중개사 연루 '전세사기' 철퇴… 부동산중개업 개혁 TF 구성

 

공인중개사 연루 '전세사기' 철퇴… 부동산중개업 개혁 TF 구성








국토교통부는 최근 공인중개사가 연루된 전세사기 사건이 발생함에 따라 공인중개사의 책임과 역할 강화 요구가 증대되면서 부동산중개업의 종합적인 제도개선 방안을 논의한다.

국토부는 지난 17일 민·관·학이 참여하는 '부동산중개업 제도개혁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첫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국토부 토지정책관을 팀장으로 ▲부동산중개업계(한국공인중개사협회·플랫폼업계) ▲유관기관(지자체·한국부동산원 등) ▲민관전문가(국토연구원·학계) ▲청년·시민단체 등 민·관·학 관계자 18명으로 구성됐다.

TF는 불법 중개행위 등 문제점 진단과 부동산중개업 전반의 제도개혁과 선진화 방안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 향후 논의될 안건에 따라 관련 전문가들을 확대 구성한다.

주요 중개업 제도개혁 방안에는 ▲중개거래 안전성 강화 방안 ▲공인중개사 전문성 제고 방안 ▲편리한 부동산 거래환경 조성 방안 등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논의를 통해 세부내용을 조율하기로 했다.

회의에서는 공인중개사가 성과보수 등을 노리고 '깡통전세'(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높아 전세금 미반환 위험이 높은 전세) 계약을 유도하거나 무자격자들이 불법 중개행위에 참여하는 등 주요 전세사기 유형을 점검하고 향후 TF 운영계획과 논의 과제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다.

남영주 국토부 토지정책관은 "이번 TF 운영을 통해 부동산중개업계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진단하고 국민들이 안심하고 거래할 수 있는 투명하고 안전한 부동산거래 환경 조성을 위해 종합적인 제도개혁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519&prsco_id=417&arti_id=0000921695

올 1분기 마포구 아파트 거래 10건중 4.3건, 외지인이 샀다

 

올 1분기 마포구 아파트 거래 10건중 4.3건, 외지인이 샀다





외지인 원정매입 비중 최고…건수로는 송파·강동·마포구 순으로 많아

(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 올해 1분기에 팔린 서울 아파트 가운데 외지인의 매입 비중이 가장 큰 지역은 마포구로 조사됐다. 마포구 거래 아파트 10건 중 4.3건을 외지인이 사들였다.

매입 건수로는 송파구가 최다를 기록했다.




18일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거주지별 아파트 매매거래 현황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거래된 서울 아파트 6천681건 가운데 25.8%(1천724건)는 서울 외 타지역 거주자의 매입에 따른 거래였다.

이 가운데 외지인의 원정 매입 비중이 가장 큰 곳은 마포구로, 전체의 43.3%에 달했다. 1분기에 거래된 마포구 아파트 305건 가운데 132건을 서울 외 타지역 거주자가 매입한 것이다.

이는 작년 1분기 이 지역 아파트의 외지인 매입 비중 23.8%, 작년 4분기 19.5%에 비해 큰 것이다.

서울의 대표적인 도심 주거지인 마포구의 경우 작년 말 가격이 크게 하락한 이후 규제지역에서 풀리고 시중은행 금리가 하향 안정되자, 인근 수도권 지역에서 자기 집을 팔고 들어오려는 '갈아타기 수요'가 유입되고 있다는 게 현지 중개업소의 설명이다.

마포구 다음으로는 광진구가 38.5%로 외지인 매입 비중이 두 번째로 컸고, 개발 호재가 많은 용산구가 34.8%로 뒤를 이었다.

올해 급매물 위주로 거래가 눈에 띄게 증가한 강동구(32.5%)와 송파구(30.9%)도 외지인의 매입 비중이 30%를 넘었다. 작년 1분기와 4분기 두 지역의 외지인 매입 비중은 20%대였다.

특히 송파구는 올해 1분기 전체 거래량 596건 중 184건을 외지인이 매입해 건수로는 서울 25개 구를 통틀어 최다를 기록했다.

송파구는 잠실동이 현재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여 있는데도 실입주를 목적으로 매입한 외지인들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송파구 잠실동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아파트 단지와 편의시설이 밀집해 있고 학군이 좋다 보니 가족 단위의 실입주자들이 많이 찾는다"고 말했다.

또 강동구가 151건으로 건수 기준 두 번째로 많았고, 마포구가 132건으로 뒤를 이었다.

송파와 강동구의 최근 주간 아파트 가격은 지난달을 기점으로 상승 전환했다.

평소 외지인 매입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인 강남구는 올해 1분기 26.6%를 기록하며 작년 1분기(8.1%)와 4분기(16.0%)에 비해 그 비중이 커졌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519&prsco_id=001&arti_id=0013949514

4월 서울 아파트 신고가 비중 8%… 올해 들어 최대

 

4월 서울 아파트 신고가 비중 8%… 올해 들어 최대




수도권 중심 아파트 입주율도 상승
“거래량 적어 시장회복 기대 섣불러”



4월 들어 서울 아파트 중 기존 최고가보다 높은 가격으로 거래된 아파트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입주 시장 전망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회복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아직 거래량이 적고 경기 상황이 불확실해 섣불리 전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17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을 통해 지난달 14일부터 이달 14일까지 거래된 아파트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 중 기존 최고가보다 높은 가격에 매매된 거래는 208건으로 전체의 7.8%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 가장 비중이 크다. 기존 최저가보다 더 낮은 가격에 거래된 건수는 67건으로 올해 3월(84건)보다 감소했다. 비중 역시 2.5%로 지난해 6월(1.0%) 이후 가장 작았다.

아파트 입주 시장도 회복세다. 이날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입주율(입주 지정 기간 중 잔금 완납 가구 비중)은 75.7%로 전달(73.6%) 대비 2.1%포인트 올랐다. 특히 서울(76.2→81.9%)은 5.7%포인트 상승했다. 다만 지방 주택시장 침체가 이어지면서 전국 입주율은 66.8%에 그쳤다.

지난달 대비 이달의 수도권 아파트 입주전망지수 역시 7.1포인트(79.1→86.2)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서울(83.3→100.0)과 대전(88.2→106.2)의 입주 전망이 크게 회복될 것으로 기대됐다. 주산연은 “규제 완화 정책, 거래량 증가 등으로 시장 회복 기대감이 조성되고 있다”면서도 “입주전망지수도 회복세를 보이지만 여전히 100을 초과하는 지역은 거의 없는 만큼 침체 속도가 느려진다는 정도로 봐야 한다”고 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519&prsco_id=020&arti_id=0003498100

🏡✨ 성남자이 아파트 24평 매매 6억5천만‼️ ✨🏡

  🏡✨ 성남자이 아파트 24평 매매 6억5천만‼️ ✨🏡 ──────────────────────── 📍 위치 최고! 생활·교육·교통 모두 완벽한 성남 핵심 입지 💯 조용하고 쾌적한 환경 속에, 생활 편의시설이 가까워요 🛍️🚆 🧱 전용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