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2월 16일 목요일

“비싼 집은 안쳐다봐”...수도권 거래 태반이 9억 이하

 

“비싼 집은 안쳐다봐”...수도권 거래 태반이 9억 이하




1월 서울·경기 거래 6647건
대출 완화 등 영향 36% 늘어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이 최근 4개월 연속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1월의 경우 12월에 비해 36% 증가했는데 15억원 초과 주택 주택담보대출 허용과 규제지역 해제 등의 영향으로 보인다. 지닌달 말부터 특례보금자리론이 출시되면서 향후 거래량이 더 늘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6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1월 수도권 아파트 매매건수는 6647건으로 집계됐다. 4882건이었던 지난해 12월에 비해 36% 이상 늘어났다. 서울과 인천은 작년 6월 이후 7개월 만에 1000건 이상 거래가 이뤄졌으며, 경기의 경우 35% 증가한 4264건으로 조사됐다. 조사는 신고일 기준으로 집계됐는데 거래신고기한이 30일인 점을 감안하면 1월 거래량은 이보다 더 많아질 전망이다.

수도권 거래량은 지난해 4월부터 9월까지 5개월 연속 감소했다가 이후 4개월째 증가하고 있다. 1월 들어 거래량이 큰폭으로 증가했는데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팀장은 “작년 12월 시행된 대출 규제 완화로 15억 초과 아파트 주담대가 허용되고 규제지역 내 무주택자 LTV 50% 일괄 적용 됐고 이후 1·3대책에 따른 수도권 규제지역 해제 등의 정책 수혜 기대감이 맞물리며 거래량 반등을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가격대별로 보면 1월 전체 거래 중 3억 초과 9억원 이하 구간의 아파트 거래량이 62.8%를 차지했다. 12월과 비교해 4.2p 상승한 비중이다. 서울의 경우 해당 가격대의 구축 아파트가 다수 들어서있는 노원, 도봉, 성북구 등에서 매수세가 집중됐다. 15억원 초과 아파트 거래 비중도 소폭 상승했는데 강남3구(서초·강남·송파)의 정비사업 단지와 대단지 위주로 거래가 늘어난 영향으로 보인다. 특히 송파구의 경우 잠실 엘리트(엘스·리센츠·트리지움), 가락동 헬리오시티 등의 거래가 눈에 띄게 늘었다.

부동산R114는 지난달 30일 출시한 특례보금자리론과 오는 3월 예정된 규제지역 다주택자 및 임대·매매사업자에 대한 주담대가 허용으로 거래제약이 컸던 수요자들의 부담이 해소되면서 주택거래가 더욱 용이해질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현재 급매 위주의 하향거래가 지속되고 있고 이자상환 부담, 경기침체 등을 고려했을 때 단기간에 매수 심리가 호전되기 보다는 점진적으로 거래가 회복되는 양상을 보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덧붙였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217&prsco_id=009&arti_id=0005089776

2023년 2월 15일 수요일

‘거래절벽’ 졸업하나···서울 주택매매심리 두 달 연속 상승

 

‘거래절벽’ 졸업하나···서울 주택매매심리 두 달 연속 상승







정부의 부동산 규제완화와 금리 상승세 둔화 영향으로 서울의 주택 매매심리가 두 달 연속 상승했다. 지난달 들어 상승폭도 커졌다. 다만 여전히 하강국면에 머물고 있어 거래가 활성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판단하기는 어렵다.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 역시 9개월만에 소폭 반등했다.

16일 국토연구원이 발표한 1월 부동산 시장 소비자 심리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93.8로, 전월(82.1)보다 11.7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역대 최저를 기록했던 지난해 11월(79.1) 대비 14.7포인트 오른 것으로, 2월부터는 하강국면에서도 벗어날 것으로 보인다.

소비심리지수는 95미만이면 하강국면, 95이상~115미만은 보합, 115 이상은 상승국면으로 구분한다.

수도권 주택매매심리 역시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인천(78.7→92.6)이 큰 폭의 회복세를 보였으며, 경기(84.1→92.1) 역시 상승폭이 커지면서 수도권 주택매매심리지수는 본격적인 집값 하락기 직전인 지난해 7월(92.7) 수준을 회복했다.전국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도 91.5로 전월(82.7)보다 8.8포인트 상승했다.

매매심리 상승은 실제 거래량 증가로도 확인됐다.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월 수도권 아파트 매매계약 체결건수는 16일 기준 6647건으로 집계됐다.

특히 경기는 1월 한 달동안 4264건이 거래되면서 전월(3150건) 보다 거래량이 35% 증가했다. 서울과 인천은 지난해 6월 이후 7개월만에 1000건 이상의 매매계약이 이뤄졌다. 1월 계약분에 대한 신고기한(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이 아직 남아있어 거래건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최근 3년간(2020~2022년) 수도권 1월 월평균 거래량(2만2182건)에는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어서 거래회복세로 이어지고 있다 판단하기는 어렵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현재의 추이를 고려하면 지난해 하반기와 같은 ‘거래 절벽’, ‘거래 실종’ 등 추가 감소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했다.




서울의 주택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 역시 70.3으로 역대 최저점을 기록한 지난 11월(66.8) 이후 두 달 연속 상승했다.

새학기를 앞둔 전세수요 영향으로 거래가 다소 회복하는 분위기지만 여전히 깊은 하락 국면에 있어 전세거래회복을 예상하기는 어렵다. 인천(67.3→70.3)과 경기(69.1→74.8)의 주택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도 두 달 연속 상승하면서 수도권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69.0→73.6)도 한 달 만에 소폭 반등했다.

비수도권도 75.2에서 79.1로 상승하는 등 전국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전월(71.8)보다 4.3포인트 상승한 76.1을 기록하며 9개월만에 반등했다.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지난해 4월 103.5를 기록한 이후 줄곧 하락세를 보였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216&prsco_id=032&arti_id=0003205418

아파트 분양가 3.3㎡당 '1571만원'… 1년 만에 10% 상승

 

아파트 분양가 3.3㎡당 '1571만원'… 1년 만에 10% 상승




 



전국 민간 아파트 평균 분양가가 1년 사이 10% 이상 상승했다. 서울 민간 아파트 분양가격은 한 달 새 3% 가까이 오르면서 8개월 만에 다시 3.3㎡당 3000만원대로 올라선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민간아파트 분양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지난 1월 말 기준 서울 민간 아파트 3.3㎡당 평균 분양가격은 전월(2977만) 대비 2.86% 상승한 3063만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월(3162만원) 대비로는 3.13% 하락했다. 서울 민간 아파트의 3.3㎡당 분양가는 지난해 5월(2821만원)부터 2000만원대로 떨어진 후 같은 해 12월까지 8개월 연속 3000만원을 밑돌았다.

수도권 아파트는 전월 대비 1.40% 오른 2149만원, 전년 동월 2065만원보다는 4.09% 올랐다. 5대 광역시·세종은 전월 대비 2.93% 상승한 1662만원, 전년 동월(1454만원) 대비 14.29% 급등했다. 기타 지방도 1년 새 12.27% 상승한 1286만원을 기록했다.

전국 민간 아파트 3.3㎡당 평균 분양가는 1571만원으로 전월(1546만) 대비 1.65%, 전년 동월(1417만)보다는 10.90% 상승했다. HUG가 발표하는 월별 평균 분양가격은 HUG 주택분양보증이 발급받은 주택 중 상가와 오피스텔 등을 제외한 일반분양 물량을 조사해 산출한다.

지난달 전국 신규 분양 민간아파트 물량은 총 2080가구로 전년 동월(1만5625가구) 대비 87% 줄었다. 수도권은 1889가구, 5대 광역시와 세종시는 191가구가 신규 분양됐다. 기타 지방은 분양이 없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216&prsco_id=417&arti_id=0000896042

주택사업 경기전망 반등… 지난달 집값 하락폭도 둔화

 

주택사업 경기전망 반등… 지난달 집값 하락폭도 둔화




주택사업자들의 2월 경기 전망이 전월보다 큰 폭으로 개선됐다. 15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1월 대비 2월 전국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67.6으로 전월보다 11.8포인트 상승했다. 이 수치가 기준선인 100을 넘으면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보는 업체가 그렇지 않은 업체보다 더 많다는 뜻이며, 100을 밑돌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특히 수도권이 46.8에서 63.2로 16.4포인트 급등했다. 서울이 17.1포인트(46.9→64.0)로 가장 크게 올랐고, 경기와 인천도 각각 16.6포인트(47.9→64.5), 15.4포인트(45.7→61.1) 상승했다. 연구원은 “규제지역 해제와 1·3 부동산 대책 등에 따른 시장 활성화와 주택 건설사업 불안정성 완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수도권 지역 지수가 크게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방 역시 대부분의 지역에서 지수가 상승했으나, 대구는 53.5에서 46.4로 7.1포인트 급락했다. 연구원은 “대구시가 최근 신규 주택 건설사업의 계획승인을 보류하겠다고 발표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했다.

지난달 주택종합(아파트·연립·단독) 매매 가격 하락세도 7개월 만에 둔화됐다. 정부가 부동산 시장 연착륙을 위한 대책을 연이어 내놓고, 시중 금리도 안정을 찾으면서 지난달 전국 집값 하락 폭이 줄었다는 분석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1월 전국 주택종합 매매 가격은 1.49% 하락해, 전월(-1.98%)보다 하락 폭이 축소됐다. 작년 6월 집값 하락이 시작된 이후 매월 낙폭을 키우다, 지난달 하락 폭이 줄어든 것이다.

지난달 서울 집값도 1.25% 내려 전월(-1.96%)보다 하락 폭이 축소됐다. 경기(-2.26%)와 인천(-1.29%)도 하락세가 지속됐으나 전월보다는 낙폭을 줄였다. 부동산원은 “시중 대출 금리 인하 기조와 정부 대책 발표에 따른 시장 회복 기대심리가 작용해 하락 폭이 축소됐다”고 했다. 봄 이사철을 앞두고 이사 수요가 움직이면서 전세가격도 하락세가 다소 둔화됐다. 지난달 전국 주택 전셋값은 2.29% 내려 전월(-2.42%)보다 낙폭이 축소됐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216&prsco_id=023&arti_id=0003746508

'빌라왕' 재발 방지…공인중개사협회 법정단체 급물살 타나

 

'빌라왕' 재발 방지…공인중개사협회 법정단체 급물살 타나




'공인중개사법 개정안' 국회 본격 논의 시작
'제2의 타다 금지법' 논란도…상당한 진통 예상






전세 사기 급증 속 한국공인중개사협회(이하 한공협)의 법정단체 등록 추진 논의가 급물살을 탈지 주목된다. 작년 10월 법안 발의 직후 프롭테크 업계 반발과 함께 '제2 타다 금지법' 논란이 일었지만, 이른바 '빌라왕' 사건 재발 방지에 정부와 국회도 팔을 걷어붙인 터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는 15일 전체회의에서 현행 임의 설립·가입 단체인 한공협을 법정단체화해 회원 의무 가입과 지도·관리 기능을 강화하는 내용의 '공인중개사법 개정안'을 법안심사소위원회로 회부했다. 이로써 지난해 10월 발의된 개정안은 국회에서 본격 논의를 시작하게 됐다.

앞서 국토위 소속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10월 4일 '개업공인중개사의 윤리인식 제고 및 건전한 부동산거래질서 확립'을 취지로 해당 개정안을 발의했다. 법안에는 민주당 의원들뿐만 아니라 같은 국토위 소속 서범수 국민의힘 의원과 심상정 정의당 의원 등 여야 24명 의원이 이름을 올렸다.

한공협은 그간 정부와 교감하며 법 개정을 준비해온 것으로 보인다. 협회가 법정단체화를 통해 부여받길 원한 핵심 권한인 '조사' 주체를 명확히 하기 위해 업계의 양대 축이던 새대한공인중개사협회와 지난 12월 단일화에 합의했다. 법안은 국토부와 시·도의 불법 중개행위 단속 협조 기관을 현행 '공인중개사협회'에서 한공협으로 명시하고 있다.






전국 각지의 불법 현장은 일선 공인중개사들이 가장 잘 적발할 수 있고, 모든 공인중개사 의무 가입을 규정하면 일탈 회원 적발 시 회원 자격 정지 제재 효과도 커 자정 노력이 가능하다는 게 한공협 측 설명이다.

국토부가 한국부동산원에 위탁 운영 중인 '부동산 거래질서 교란행위 신고센터' 업무 범위를 확대하자는 내용의 법안(홍기원 민주당 의원 발의)도 발의돼 있지만, 신고는 사후 조치일 뿐이라고 한공협 측은 주장했다.

다만 법안 논의가 본격화하면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작년 말 발의 직후 프롭테크 대표주자 직방 안성우 대표를 의장으로 한 한국프롭테크포럼은 공정 경쟁 기반 훼손과 신산업 위축, 소비자 편익 침해 등의 부작용을 경고하고 나선 바 있다.

택시업계 반발 속 승차 공유 서비스 시장에서 퇴출된 타다 사태 재현 우려도 제기됐다. 타다 사태는 기존 업계와 신기술 간 대표적인 '상생 실패' 사례로 꼽힌다.






현재 부동산 시장에선 직방과 다방, 네이버부동산 등 10여 개의 신기술 기반 플랫폼 업체에 일선 중개사들도 매물을 올려 홍보하는 방식으로 정보가 활발하게 공유된다.

여기서 나아가 직방 등 일부 프롭테크 업체는 공인중개사와 고용 또는 협업 방식으로 중개업을 실제 영위하거나 시도 중인데, 이번 법안 관련해 양측이 충돌하는 핵심 쟁점은 이 지점이다. 경쟁과 비용 절감 등 소비자 권익으로 인한 여론 반발 우려도 있다.

한공협 관계자는 "다방 등 우리 협회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영업을 잘 하고 있는 곳도 있다"며 상생을 자신했다. 그는 "오히려 회원들 사이에선 대형중개업체와 소상공인 중개사무소 간 경쟁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는데 그런 건 공정거래법을 통해 해결할 부분이지 협회가 나서서 영업을 못 하게 할 수는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종혁 한국공인중개사협회장은 작년 1월 취임 일성으로 "직방 등 부동산 플랫폼의 중개업 직접 진출 시도를 막기 위한 법안 마련에 나서겠다"고 밝힌 바 있다.

프롭테크 업계 한 관계자는 "협회장부터가 '프롭테크 죽이기'를 밝혀온 사람인데 (상생이) 가능하겠느냐"고 말했다.

국회 관계자는 "타다 사태 때는 실제 운행과 인원을 제한하는 내용이 있었지만 이번 법안은 공인중개사의 사회적 책임을 높이는 데 방점이 있고, 국토부 지휘를 받기에 부정적 행위가 나오면 협회가 오히려 타격을 받게 된다"면서 "여론 등 각계 논의는 법안 토의 심사 과정에서 거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216&prsco_id=421&arti_id=0006633569

2023년 2월 14일 화요일

1기신도시특별법에 술렁이는 분당…매도·매수자 기싸움 '팽팽'

 1기신도시특별법에 술렁이는 분당…매도·매수자 기싸움 '팽팽'


기사내용 요약
특별법 발표 일주일…급매물 속속 소진
매도자 "급매 호가서 더 이상 가격 안 빼"
매수자 "2~3억 싼 급매 아니면 고려 안 해"
고금리에 당분간 시장 회복 어려울 듯


 "국토부 발표 전까지는 매도인들이 어느 정도 가격 조율은 가능하다고 했는데 이제는 안 된다고 해요. 매수인들은 실거래가 대비 많이 저렴한 급매 위주로만 접근하고요." (경기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A공인 대표)

국토교통부가 1기 신도시 특별법을 구체화한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의 골자를 밝히면서 1기 신도시의 대표격인 분당 부동산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여전히 급매 위주의 하락 거래가 이뤄지고는 있지만 일주일 사이 몇 건의 거래가 체결됐다는 게 현지 공인중개사들의 전언이다.

노후계획도시 특별정비구역에 지정되면 각종 인센티브가 주어진다. 대규모 광역교통시설 등 기반시설을 확충하는 등 공공성을 확충하면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을 면제하고, 용적률도 높여 준다. 분당의 경우 현재 198%인 평균 용적률이 300~350% 수준으로 높아질 전망이다.

14일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국토부가 법안 추진을 밝힌 7일과 비교해 일산동구(-1.7%), 일산서구(-1.5%), 안양시 동안구(-1.4%) 등에서 매물이 감소했지만 실제 거래로는 이어지지 않는 모습이다.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주엽동 B공인 관계자는 "매수자들은 어쩌다 한번씩 급매가 나오면 연락을 달라고 전화가 오지만 아직은 조용하다"고 전했다. 인근의 C공인 관계자도 "매물이 들어간 것도, 새로 나온 것도 없이 별다른 움직임이 없다"고 했다.

반면 1기 신도시 중 큰 형님 격인 분당은 매물이 3.1% 늘어났지만 매도-매수자 간 팽팽한 기싸움이 벌어지면서 실제 계약으로 체결되기도 했다는 후문이다. A 대표는 "매수세가 본격적으로 붙은 것은 아니지만 매수 문의가 상당히 늘었고, 사연이 있는 물건이 아니면 가격 조정이 어려워 졌다"며 "재건축이 가장 빨리 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범단지 쪽은 실제로 계약도 많이 돼서 지난 금요일 상당히 바빴다"고 말했다.

다만 거래가 성사되는 가격은 실거래가의 한참 밑에서 형성되고 있다. 이 대표는 "작은 평형은 등록된 실거래가보다 2억원, 큰 평형은 3억원 정도 싸게 나온 급매물이 남아있다면 매수를 하는 분위기"라며 "국토부 발표 이후 새로 나온 금액으로는 아직 접근하지 않고 (양측이) 팽팽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처럼 정부가 특별법 구상을 구체화했지만 고금리와 집값 추가 하락 전망에 호재가 상승재료로 쓰이지는 않는 모습이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전반적으로 부동산 시장의 공급 확대와 노후도시 개선이 기대되는 내용이지만 현재는 공사비 증가와 고금리 등 거시경제의 영향으로 단기적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며 "향후 경제 상황이 안정됐을 때 정부의 전반적인 규제완화나 이번 공급확대 방안이 시장 안정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1690102

3.3㎡당 '2000만원' 이상 고분양가 아파트 늘었다

 

3.3㎡당 '2000만원' 이상 고분양가 아파트 늘었다








고금리 여파에 공사비 인상이 겹치며 지난해 3.3㎡당 2000만원 이하로 공급된 아파트 비중이 크게 줄었다. 원자재가격 인상과 정부의 분양가 규제 완화 등에 따라 올해도 분양가가 상승세를 보일 전망이다.

종합부동산포털 '부동산R114'는 지난해 일반공급 청약접수를 진행한 전국 아파트 총 15만5855가구(임대 제외)를 분석한 결과 86.8%에 해당하는 13만5283가구의 3.3㎡당 분양가가 2000만원 이하로 나타났다.

지난 5년간(2017~2021년) 일반공급 청약 접수를 받은 75만6600가구 중 3.3㎡당 분양가가 2000만원 이하인 아파트는 70만6043가구(평균 93.3%)로 6.5%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지역별로는 집값 상승세가 상대적으로 가파른 수도권(85.9%→73.5%)의 2000만원 이하 분양 가구 비중이 지방(99.2%→93.7%)에 비해 높았다.

면적별로 전용 60㎡ 이하 소형 아파트가 크게 줄었다. 2017~2021년 평균 90.5%인 3.3㎡당 분양가 2000만원 이하 전용 60㎡ 이하 아파트 비중은 지난해 65.3%를 기록해 25.2%포인트 감소했다. 이보다 넓은 면적의 전용 60~85㎡는 3.3㎡당 2000만원 이하로 공급된 가구 비중이 커 단위면적당 가성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최근 소형 아파트 분양가가 빠르게 오르는 추세인데다 지난해 서울 강동 올림픽파크 포레온(둔촌주공 재건축)을 포함한 소형 분양물량이 많았던 영향으로 분석된다"며 "대출이자 부담과 집값 하락으로 청약시장의 가격 민감도가 커지고 있어 저렴한 분양가를 앞세운 가성비 아파트로의 쏠림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215&prsco_id=417&arti_id=0000895682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 💰 매매가 : 7억 4,000만원 📅 입주 : 협의 가능 (원하시는 일정 조율 가능!) 🌄 💎 전망 최고! 탁 트인 시야로 막힘 없는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