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2월 19일 일요일

다음 정권서 나아질까

 

다음 정권서 나아질까




표심 공략 목적 '양도세 완화' 등 부작용 우려
'250만 가구'…3기 신도시 등 보탬되겠지만
기본주택·청년원가주택, 재원·부지 마련 미지수
"지나고 생각해보니 주택의 공급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면 좋았겠다고 생각한다." (문재인 대통령, 11월 21일 국민과의 대화)

집값 문제는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여러 차례 사과해야 할 만큼 부정적인 여론이 크다. 특히 문재인 정부는 투기 수요를 잡는데 치중하느라 뒤늦게 주택 공급에 나섰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그래서일까. 내년 대선을 앞둔 주요 후보들의 부동산 정책 공약은 '주택 공급'에 집중돼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모두 임기 내 250만 가구를 공급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문제는 대량 공급을 약속한 방식대로 실현할 수 있을지 여부다. 두 후보가 내세우는 기본주택이나 청년원가주택 등은 재원이 너무 많이 들고 부지를 마련하는 것도 쉽지 않을 것이란 지적이다.

각종 규제와 세제를 완화해 거래 물량을 늘리겠다는 기조도 유사하다. 특히 이재명 후보는 기존의 세금 강화 원칙에서 선회했다. 여당 주도로 지금 당장 양도세 중과를 완화해 물량을 터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관심이 쏠린다.





세제 풀고, 재건축 풀고…"중구난방, 신중해야"

두 후보는 최근 경쟁적으로 부동산 규제·세제 완화 방안을 내놓고 있다. 특히 이재명 후보는 청와대와 정부의 반대 기류에도 불구하고 지속해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완화를 추진하겠다고 강조하고 있다.

양도세 부담 때문에 다주택자들이 집을 팔지 못하니 이를 한시적으로 완화해주겠다는 구상이다. 단기에 시장에 매물(공급)이 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서울 등 도심에서 용적률과 고도제한 규제 등을 완화하는 방안도 시사했다.

윤 후보 역시 다주택자 양도세 감면 등 규제 완화를 예고하고 있다. 1세대 1주택자에 대한 양도세와 재산세 부담을 줄여주는 등의 방안도 내놨다. 신혼부부와 청년층에 대해서는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현행 최고 60%에서 80%까지 높여주겠다는 계획이다.

규제 완화를 통한 주택 거래 활성화에 대해서는 현 시점에서 필요한 방식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다만 대선 주자들이 무작정 완화를 외치다보면 시장에 잘못된 메시지를 줄 수 있어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다.

고준석 동국대학교 법무대학원 겸임교수는 "대선 주자들의 주택 공급 공약은 중장기적인 계획이라는 점에서 일단 양도세 완화 등으로 단기 거래 활성화부터 꾀할 필요는 있다"면서도 "이 후보의 경우 정부·청와대와 의견 조율이 되지 않은 상황인데 시장에 일관된 메시지를 줘야 혼란을 줄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윤종만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이번 정부에서 집값이 뛴 여러 이유 중 하나는 너무 많은 규제를 만들었기 때문"이라며 "실수요자를 위해서라도 어느 정도 규제를 완화할 필요는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민간 정비 사업 등으로 집값이 다시 오를 수 있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며 "무작정 풀기보다는 신중할 필요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재명·윤석열 모두 '250만 가구' 공급

이 후보와 윤 후보의 주택 공급량 목표는 공교롭게도 250만 가구로 같다. 연간으론 50만 가구 수준이다. 과연 이 공약은 지킬 수 있을까.

총량 면에서는 전혀 불가능한 수치는 아니라는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현 정부는 올해 주택 공급 목표를 46만 가구 정도로 제시한 바 있다. 지난해의 경우 약 49만 가구가 공급됐다. 다만 이번 정부들어 주택인허가 물량 등이 급감하면서 내년 이후 공급물량은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많다.

반대로 문재인 정부가 막판에 대량의 주택 공급 방안을 내놓은 것은 다음 정권이 물량을 공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란 기대다. 3기 신도시 지정을 비롯해 8.4 대책, 2.4 대책 등을 통해 오는 2025년까지 총 205만 가구의 신규 주택 공급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실제 두 후보 모두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공급목표를 설정했다. 다만 이들 정책이 앞서 살펴본대로 계획대로 진행하기 쉽지 않다는 점은 변수다.

/기본주택·청년원가주택 무슨 재원으로?

이재명 후보가 가장 앞세우는 부동산 공급 정책은 공공 주도로 만드는 '기본주택'이다. 100만가구를 공급한다는 목표다. 반면 윤석열 후보는 250만 가구 중 민간 주도로만 200만 가구를 쏟아내겠다는 게 핵심이다. 규제완화를 통해서다. 눈에 띄는 것은 '역세권 첫집' 20만 가구와 '청년원가주택' 30만 가구다.

두 후보가 내세우는 주택 모두 입지 좋은 곳에 양질의 주택을 싸게 거주, 혹은 구입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 후보의 기본주택은 근본적으로 임대주택이란 점에서 '내 집 마련' 수요를 채우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무엇보다 두 후보 모두 역세권 등을 입지로 꼽고 있지만 해당 부지를 확보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막대한 재원이 필요하다는 점에서도 현실화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나온다.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 과정에서 정세균 전 국무총리는 "분당 신도시 10개 규모의 택지를 역세권에 어떻게 확보하느냐"며 "단순 계산해도 300조원이 든다"고 꼬집었다. 


윤 후보의'역세권 첫집'은 기본주택과 달리 민간 재건축 규제 완화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재원 확보가 용이하다는 평가다. 다만 재건축을 하면서 용적률의 절반을 기부하는 방식을 해당 주민들이 찬성할지는 의문이다.

'청년원가주택'의 경우 정부가 고밀·대규모로 직접 건설한 주택을 청년들에게 건설 원가로 공급한다. 5년 이상 거주 후에는 정부에 되팔 수 있고, 가격 상승분의 최대 70%까지 청년들이 가져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도 유승민 전 의원은 청년원가주택에 대해 "이재명 후보의 기본소득, 기본주택 같은 허황된 포퓰리즘"이라며 "발표대로라면 엄청난 국가 재정이 필요한 비현실적인 공약"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 역시 경선 과정에서 "30년간 기회비용은 1000조원, 30년 뒤 환매 금액은 879조원에 달해 총 1879조원에 달하는 비용을 국가가 지불하게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11220&prsco_id=648&arti_id=0000005379

2021년 12월 16일 목요일

양도세 비과세 한도 12억으로 상향…세금 얼마 줄었나

 

양도세 비과세 한도 12억으로 상향…세금 얼마 줄었나




장기보유특별공제 계산시,
최종1주택 보유기간 기산일 규정 적용하는 개정안 폐기

양도차익별 장기보유특별공제율 차등적용하는 개정안 폐기
고가 상가겸용주택의 상가부분, 비과세 불가능




개정 예정이었던 조항 중 실제 국회를 통과한 규정은 '1세대1주택 비과세 한도를 기존 9억에서 12억으로 상향한다'는 것 뿐이었습니다. 12억 한도 상향 조항의 시행시기는 2022년이 아닌 '2021년 12월8일' 이후 양도하는 분부터 적용됐습니다.

기존에 9억원에서 12억원이 된 겁니다. 이는 고가주택 기준이 그만큼 올라간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12억인 경우와 9억인 경우 세금에 있어 얼마만큼의 차이가 날까요? <표>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5억원에 취득한 아파트를 15억원에 매매할 경우입니다. A주택의 보유기간은 6년, B주택의 보유기간은 10년입니다.



<표>에서 보듯 이번에 비과세 기준을 상향함으로서 나타나는 양도소득세 차이는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A주택의 경우 양도소득세가 6560만원에서 2365만원으로 4195만원이 줄게 됩니다. 장기보유주택인 B주택의 경우, 1537만원에서 541만원으로 996만원이나 감소하게 됩니다. 그만큼 1주택자의 양도소득세 부담이 하향됐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실거주 목적의 1주택자에 대해서는 보유와 거래에 대한 세금을 줄여주는 법 개정이 이뤄져왔습니다. 이미 1세대1주택자에 대해서는 종합부동산세 기준이 11억원으로 상향이 됐습니다. 이번에 추가적으로 양도소득세 비과세 기준을 12억원으로 상향된 겁니다.

당초 개정안에 포함된 내용 중에는 다주택들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될 것으로 보이는 규정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최종1주택 보유기간 기산일’에 대한 규정을 장기보유특별공제의 보유기간 및 거주기간 계산에도 적용(2023년1월1일 양도분부터 적용)한다는 내용입니다.

예를 들어 C, D 2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입니다. C주택을 처분한 이후 D주택 1채만 보유하다가 D주택을 처분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D주택 처분시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적용할 때 C주택을 처분하게 됩니다. 따라서 D주택 1채만 보유하게 된 시점부터 D주택의 보유기간과 거주기간을 계산한다는 규정입니다.

만약 이 개정안이 통과됐다면, 세부담이 될 수 있었던 조항이었습니다. 하지만 해당 조항은 통과되지 않았습니다.

당초 보유기간별, 거주기간별 최대 40%의 장기보유특별공제율을 적용하던 규정을 양도차익의 규모에 따라 보유기간별 공제율을 차등 적용하는 안 역시 금번 국회를 통과하지 못했습니다.

또한 내년 1월1일 이후 양도하는 고가겸용주택의 주택 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양도소득세 비과세를 받지 못합니다. 이 조항은 이번에 개정된 사항이 아닙니다. 이미 2020년 2월에 개정되어 그 시행 시기만 2022년 1월1일 이후 양도하는 분부터 적용될 예정이었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고가의 기준입니다. 고가주택 기준이 9억원에서 12억원으로 상향됐으므로 12억원을 의미합니다.




현행 법령은 주택면적이 주택 이외의 면적보다 큰 경우의 겸용주택은 주택 외의 부분도 주택으로 보아 비과세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2022년부터는 12억원을 초과하는 고가 겸용주택의 1세대1주택 비과세를 적용함에 있어서 주택과 주택 외의 면적에 따른 현행 규정이 다음과 같이 변경됩니다. 내년 1월1일 이후 양도하는 고가겸용주택의 양도소득세 부담이 늘어나는 것은 불가피해보입니다.

여러 개정이 될 것으로 보였던 내용 중 국회를 통과한 내용과 통과되지 못한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양도소득세 규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처분이나 취득을 계획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전에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서 합리적인 절세 방안을 마련하시기 바랍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11217&prsco_id=015&arti_id=0004641718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19개월 만에 최저…지방도 '팔자' 많아져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19개월 만에 최저…지방도 '팔자' 많아져




기사내용 요약
부동산원, 매매수급지수 95.2…작년 5월 이후 최저
5주 연속 아파트 팔겠다는 사람 더 많은 상태
고점 인식 확산에 대출 규제 등 복합적 작용
서울·수도권 이어 지방도 14개월 만에 전환
수도권 아파트 전세, 1년1개월 만 공급>수요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가 1년7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서울과 수도권에 이어 지방도 아파트를 팔겠다는 사람이 사겠다는 사람보다 많아졌다.

17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13일 기준)는 95.2로 지난주에 비해 1.2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작년 5월11일 94.9를 기록한 이후 1년7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 11월 15일 99.6으로 100 밑으로 떨어진 후 이번 주까지 5주 연속 수요 보다 공급이 많은 상태다. 집값이 고점에 다다른 것 아니냐는 인식이 확산하는 가운데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와 함께 기준금리까지 두 차례 오르자 매수세가 확연히 꺾인 것인 것으로 풀이된다.

매매수급지수는 부동산원의 회원 중개업소 설문과 인터넷 매물 건수 등을 분석해 수요와 공급 비중을 지수화한 수치다. 이 지수가 기준선인 100 아래로 떨어지면 집을 팔겠다고 내놓은 집주인이 사겠다는 주택수요자 보다 많아졌다는 뜻이다. 통상 100 밑으로 떨어져 지수가 낮아질수록 매수 심리가 약한 것으로 해석된다.

서울을 5개 권역으로 나눠 살펴보면 은평·서대문·마포구 등이 포함된 서북권 매매수급지수가 93.3으로 서울에서 가장 낮았다. 지난주 95.6에 비해서는 2.3포인트 하락했다.

이 외에 이른바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지역이 속한 동북권이 95.3에서 94.3으로 하락했고, 종로구·용산구 등이 포함된 도심권(96.1→94.8)과 영등포·양천·구로·동작구 등이 있는 서남권(97.2→96.1)도 지난주보다 더 떨어졌다.

고가 아파트들이 포진한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도 지난주 97.3에서 이번 주 96.5로 하락했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도 이번 주 96.3으로 3주 연속 살 사람보다 팔 사람이 많은 상태가 이어졌다. 지난주 100 밑으로 떨어진 전국 매매수급지수도 이번주 97.5로 추가 하락했다.

지방 매매수급지수는 이번 주 98.6을 기록하며 100 이하로 떨어졌다. 지난해 10월19일(99.3) 이후 약 1년2개월 만에 처음이다.

구체적으로 대전과 제주가 이번 주 각각 99.0, 98.6을 기록해 ‘팔자’ 분위기로 전환됐고, 세종은 이번 주 84.8을 기록하며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도 서울이 이번 주 98.5로 지난주 99.1에 이어 추가 하락했다. 2주 연속 기준선을 밑돈 것이다.

특히 수도권 전세수급지수는 이번 주 98.8을 기록해 지난해 11월 18일(99.1) 이후 1년1개월 만에 처음으로 100 아래로 내려갔고, 5대 광역시(부산·대구·대전·광주·울산) 전세수급지수도 99.5를 기록해 지난해 9월 이후 처음으로 100 아래로 떨어졌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11217&prsco_id=003&arti_id=0010894483

최소 2번은 금리인상…"내년엔 더 쎄다" 영끌족 집 내놓을까

 

최소 2번은 금리인상…"내년엔 더 쎄다" 영끌족 집 내놓을까



美 연준, 3차례 금리 인상 예고…한은도 2~3차례 올릴 듯
주담대 변도금리 최고 6% 시간문제, 차주 이자부담 高高
전문가 "영끌족 집 내놓을 가능서 크다…조정 확산 가능성도"




미국 중앙은행인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내년에는 3차례 금리 인상을 예고했다. 이미 국내에선 이에 대비해 두 차례 금리를 선제적으로 인상해 둔 상태지만, 미국의 급격한 변화로 내년에도 금리인상이 최소 2번 이상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영끌족 집주인들에겐 악재다. 지금도 주담대 변동금리가 5% 턱 끝에 위치해 골머리를 앓고 있는데, 내년에는 더욱 감당하기 어려운 금융 부담이 찾아오기 때문이다.

17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지난 15일 연준이 공개한 점도표(dot plot)에 따르면 연준 위원들 중 2022년 말 금리를 0.75%~1.00%로 인상할 것으로 본 견해가 다수를 이뤘다. 현재 0.00~0.25%인 기준 금리를 세 차례 인상한다는 의미다.

한국도 이에 맞춰 금리 인상이 예상된다. 만약 기준금리 등 정책금리 수준이 미국과 같거나 높더라도 차이가 크지 않으면, 자금 유출 등이 이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도 한은은 미국보다 선제적으로 기준금리를 높여 왔다. 업계에선 2~3차례의 금리 인상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만약 예상대로 한은이 금리 인상을 단행한다면 영끌족들의 이자부담은 한충 가중될 전망이다. 주담대 금리의 연 6%, 신용대출 금리 연 5% 돌파는 시간문제다. 지금도 주담대 변동금리는 최고 연 5%대로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가령 지난 8월 3억원의 주담대를 30년 만기, 4%로 빌린 차주는 월 143만원을 부담하면 되지만 금리가 6%에 육박할 경우 차주는 월 180만원을 부담하게 된다. 주담대 차주의 80% 이상이 변동금리다.

앞선 두차례의 금리 인상은 부동산 시장에 만만찮은 충격을 줬다. 지난해 패닉바잉 여파로 젊은 층의 매수세가 강했던 노도강 등 외곽지역은 매물 출회가 이뤄지고 있다. 아실에 따르면 이날 기준 3개월 전보다 매물이 늘어난 크게 지역은 ▲성북구(57.3%) ▲강북구(37.3%) ▲강서구(37.3%) 등으로 중저가 아파트가 몰린 곳에서 출회가 많았다. 자금여력이 부족해 대출에 의존했던 일부 젊은 층들이 금리 인상을 버티지 못하고 집을 내놨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이들 지역의 집값 상승세도 주춤하는 모습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노원구는 6주째 쭉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다. 또 도봉구는 전주 0.07% 보합권에서 벗어나 이달 13일 0.03%로 하락했고, 강북구는 0.01%대의 낮은 상승률을 유지 중이다.

전문가들은 국내의 금리 인상을 기점으로 영끌족들이 집을 내놓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한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1%대를 회복했는데도 시장에 주는 충격이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만약 중반대까지 기준금리가 오른다면 확실한 부담으로 다가올 것"이라며 "영끌족들은 집을 내놓을 가능성이 크다. 노도강에서 선이 무너진다면 점차 서울 전역으로 조정세가 확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정렬 영산대 부동산대학원장도 "여기저기서 자금을 빌려 내집마련에 나섰던 이들은 엄청난 부담일 것"이라며 "지금보다 기준금리를 높이게 되면 집을 내놓는 이들이 나올 수 밖에 없다"고 했다.

반면 매물 출회가 크게 이뤄지진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위원은 "DSR 규제로 인해서 이젠 자금을 마련하는 것이 더 어려워진다"며 "이런 상황에서 쉽게 매각 판단을 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아마도 버틸 수 있을 때 까진 버티는 것이 옳은 판단이라고 생각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11217&prsco_id=119&arti_id=0002558201

2021년 12월 15일 수요일

文정부 서울 아파트값 최고·최저 격차, 4년반만에 8억→16억 '껑충'

 

文정부 서울 아파트값 최고·최저 격차, 4년반만에 8억→16억 '껑충'


11월 아파트값, 강남구 22.9억-중랑구 6.5억원…3.5배 이상 차이
상승세 둔화, 중저가 지역 더 뚜렷…"똘똘한 한 채 현상, 서울 양극화 심화"





문재인 정부 들어 서울 강남과 중저가 외곽 지역 아파트값 차이가 두 배 수준 이상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똘똘한 한 채 현상이 짙어지는 가운데 격차는 더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1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1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1억4828만원이다. 10월 11억4065만원보다 800만원 가까이 올랐다.

가격 상승 폭은 직전 두 달 1000만원대보다 줄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주춤한 까닭이다. 11월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0.6%로 10월 0.83%보다 축소했고, 상승 폭도 5월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전반적인 상승세는 줄었으나, 강남3구 등 고가 지역 상승세는 비교적 견고했다.

11월 강남구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22억9290만원으로 서울 1위 자리를 지켰다. 2위는 서초구로 20억8452만원이다. 현재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20억원 이상인 곳은 두 지역뿐이다. 이어 용산구 17억6229만원, 송파구 16억8451만원, 성동구 13억6737만원 순이다.

평균 매매가격이 가장 낮은 곳은 중랑구다. 중랑구는 6억5459만원이다. 금천구(6억5487만원), 도봉구(6억8706만원), 구로구(6억8855만원) 등도 평균 6억원대를 기록했다.

평균 아파트값이 가장 비싼 강남구와 가장 저렴한 중랑구의 가격 차이는 16억3831만원에 달했다. 강남구 아파트 1채로 중랑구 아파트 3.5채를 살 수 있을 정도로 차이가 났다.

올해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 등 중저가 지역 상승률이 높아 그나마 고가 지역 대비 저가 지역 차이는 지난해 말 4배에서 다소 완화됐다.



하지만 절대적인 가격 차이는 시간이 갈수록 더 벌어졌다. 문재인 정부 출범 당시인 2017년 5월에도 강남구가 11억2266만원으로 평균 아파트값이 가장 비쌌다. 가장 낮은 지역은 노원구로 3억1076만원이다.

두 지역 가격 차이는 8억1189만원이다. 가격 차이는 Δ2018년 12월 11억2886만원 Δ2019년 12월 12억6782만원 Δ2020년 12월 13억3276만원 등으로 조사됐다.

부동산업계는 고가 지역과 중저가 지역의 양극화는 갈수록 심해질 것으로 봤다. 다주택자 보유세 부담 여파에 '똘똘한 한 채' 현상이 더 뚜렷해지고 있어서다.

게다가 최근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 둔화 정도가 강남3구보다 중저가 외곽 지역이 더 뚜렷하다는 점에서 가격 차이는 더 벌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1주택자의 비과세 상향으로 갈아타기가 활성화되면 강남 아파트값은 더 오를 가능성이 높고, 교통 호재가 반영돼 너무 올랐던 곳은 내리는 양극화 현상이 심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11216&prsco_id=421&arti_id=0005787044

"급매물도 거래 안 돼"…'노도강' 집값 하락 신호인가

 

"급매물도 거래 안 돼"…'노도강' 집값 하락 신호인가


기사내용 요약
대출 영향 많은 중저가 몰려…당분간 집값 조정세 이어질 듯
만성적인 수급불균형 해소 없이 집값 하락 기대하기 어려워


 "급매물도 거래가 안 돼요."

지난 15일 서울 노원구 상계동 상계주공아파트 단지의 한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매수 문의가 끊기고, 매물이 쌓여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급매물이 나와도 일단 지켜보자는 분위기가 강하다"며 "호가를 낮추는 집주인들이 많아졌다"고 전했다.

정부의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등으로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주춤한 가운데, 9억원 이하 중저가 아파트 단지가 밀집한 이른바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지역의 집값 하락 분위기 짙어지고 있다.

한때 서울 집값 상승세를 이끈 노도강 지역의 아파트값이 최근 서울 평균 상승률보다 낮고, 일부 단지에서 하락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단기간 치솟은 집값 급등에 따른 피로감이 누적된 데다,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종합부동산세 등 보유세 부담 강화 등이 맞물리면서 매수심리가 꺾인 탓이다. 특히 정부가 지난 8월부터 강력하게 돈줄 죄기에 나서면서 상대적으로 대출 영향을 많이 받는 노도강 지역의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고 있다.

서울에선 공급 부족에 따른 수급불균형이 심해지고 있으나, 내년 대선 등의 영향으로 부동산 정책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대출 의존도가 높은 중저가 지역에서의 관망세가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상대적으로 중저가 단지가 많은 노도강 지역에서 집값 상승세가 주춤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2월 첫째 주(6일 기준) 서울의 아파트값은 0.1% 오르며 지난주와 같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값 주간 상승 폭은 11월 1일(0.15%)→11월 8일(0.14%)→11월 15일(0.13%)→11월 22일(0.11%)→11월 29일(0.10%), 12월 6일 (0.10%) 6주 연속 둔화했다.

강북 지역에선 용산구(0.12%)는 이촌·서빙고동 등 구축이나 중소형 위주로, 마포구(0.12%)는 교통여건 양호한 대흥·중동 위주로, 은평구(0.12%)는 은평뉴타운과 신사·응암동 역세권 위주로 올랐다.

노원구는 지난 11월 1일 0.15% 상승한 뒤 ▲8일 0.14% ▲15일 0.12% ▲22일 0.09% ▲29일 0.08% ▲이달 6일 0.7%를 기록하며 상승 폭이 줄었다. 또 도봉구(11월1일 0.09%→이달 6일 0.07%)와 강북구(11월1일 0.07%→이달 6일 0.01%)도 보합권에 머물러 있다.




노도강 지역 일부 단지에서는 하락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9월 7일 9억4000만원에 신고가를 경신한 노원구 '상계주공6단지(전용면적 58㎡)는 지난 10월 22일 8억6000만원에 거래됐다. 한 달 새 8000만원 하락했다. 또 상계주공9단지(전용면적 41㎡)은 지난 8월 6억2800만원에 신고가를 경신한 뒤 지난달 5억9500만원에 하락거래됐다.

매물도 늘었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지난 15일 기준 서울 노원구 매물은 3817건으로, 지난 9월 1일(2965건) 대비 852건이 늘었다. 같은 기간 도봉구는 1275건에서 1620건으로, 강북구는 594건에서 803건으로 각각 증가했다.

부동산 시장에선 지난해부터 급등한 서울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피로가 누적됐고, 정부의 금융 규제가 겹치면서 집값 조정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대출규제로 돈줄이 차단되고, 금리 인상이 현실화하면서 중저가 수요를 향한 주택 수요 줄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금융 규제로 서울 외곽지역의 중저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관망세가 짙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정부의 금융 규제와 내선 대선과 지방선거 등으의 부동산 정책에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상대적으로 대출 규제 영향을 많이 받는 외곽지역에서 관망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며 "노도강 지역을 포함해 서울 외곽지역에서는 당분간 거래 감소와 집값 조정 국면이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 교수는 "내년 아파트 신규 입주 물량 감소 등 만성적인 수급불균형으로 해소하지 못한다면 집값 안정 효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며 "당분간 숨 고르기 장세가 이어지겠으나, 집값이 급격하게 하락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11216&prsco_id=003&arti_id=0010891846

“매매도 전세도 멈췄다”… ‘거래지수’ 2년 반만에 최저

 

“매매도 전세도 멈췄다”… ‘거래지수’ 2년 반만에 최저




부동산 시장 전반에 극심한 거래가뭄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매매·전세거래지수는 2년 반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일부 지역에서는 주택 거래가 자취를 감췄다. 정부의 보유세 강화와 대출 규제, 금리 인상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대선 정국을 거쳐 정책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전까지는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측한다.

16일 KB국민은행의 시계열통계에 따르면 부동산 거래의 활발함 정도를 측정하는 매매거래지수가 이달 첫째 주(6일 기준) 전국 4.9로 집계됐다. 2019년 5월 둘째 주(13일) 4.8 이후 2년 7개월 만에 가장 낮은 값이다.




중개업소 설문을 기반으로 하는 매매거래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활발함’이라고 답한 비중을 더하고 ‘한산함’이라고 답한 비중을 빼 구한다. 지수가 100을 초과할수록 활발하다는 응답이 더 많은 것이고, 100을 하회하면 한산하다는 응답이 더 많다는 뜻이다.

이 지수가 한 자릿 수에 불과하다는 것은 부동산거래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뜻이다. 전국 수치는 2019년 7월 첫째주(11.2)부터 두 자릿수를 유지했고, 지난해 6월에는 42.9까지 올랐지만 지난달 첫째주(1일) 8.9로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 이후 꾸준히 줄어드는 추세다.

수도권에서는 거래 잠김 현상이 더욱 뚜렷하다. 서울의 경우 이달 첫째주 이 수치가 1.3에 불과해 2019년 3월 둘째 주(11일) 1.0 이후 최저치였다. 경기도는 11월 넷째주(22일) 2.9에서 12월 첫째주 3.2로 소폭 올랐지만, 7주째 한 자릿수에 머물고 있다. 인천은 11월 말(29일 기준) 4.8에서 12월 첫째 주 7.0으로 소폭 오르는 데 그쳤다.

그나마 강원도와 충청북도, 전라북도, 경상북도는 각각 11.4, 17.1, 14.6, 17.7으로 두 자릿수를 넘기고 있다. 그러나 인천을 뺀 5대 광역시는 모두 6.0 이하로 집계된다. 심지어 세종시는 8주째 이 수치가 ‘0′을 기록했다. 모든 중개업소에서 거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답한 것이다.

전세 거래도 마찬가지다. 지난 주 전국 전세거래지수는 8.3으로 6주째 한 자릿수를 기록했다. 전국 지수가 6주 연속 한자릿수를 기록한 것은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03년 7월 첫째주(1일 기준) 이래 처음이다. 수도권과 5개광역시도 각각 8.3, 6.4로 한 자릿수에 그쳤으며, 제주도는 4주째 ‘0′이다.

이러한 분위기는 거래량 통계에서도 나타난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10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신고 기준)은 2309건으로, 올해 들어 가장 적었고 작년 10월(4380건)과 비교해도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아파트 전세 거래량도 작년 10월 1만6716건에서 1년 만에 1만4454건으로 줄었다.

전문가들은 각종 정부 규제와 세 부담 증가, 집값 장기 상승 등 악재가 겹치면서 거래 잠김 현상이 심화한 것으로 보고 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종부세 등 보유세 증가, 대출 규제 강화, 금리 인상, 장기상승에 따른 피로감이 겹친 결과”라면서 “‘영끌·빚투’ 기조였던 매수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선 것이 거래 침체의 핵심 원인”이라고 했다.

이 같은 추세가 대선 전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송승현 도시와 경제 대표는 “대선을 앞두고 워낙 다양한 공약이 나오다 보니 매도·매수자 입장에서 지금 부동산을 거래하기보다는 일단 지켜보자는 분위기가 형성된 것”이라면서 “혼란스러운 정국이 어느 정도 마무리된 이후에야 다시 거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11216&prsco_id=366&arti_id=0000780708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 💰 매매가 : 7억 4,000만원 📅 입주 : 협의 가능 (원하시는 일정 조율 가능!) 🌄 💎 전망 최고! 탁 트인 시야로 막힘 없는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