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주인들 속 탄다” 급급매 안 팔려 전세로 내놓았지만…
"임차인, 월세시장으로 수요 쏠려…전세 매물만 쌓여가는 분위기"
![]() |
수도권 아파트 전세 매물이 점점 쌓여 14만건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이 크게 떨어지자 헐값에 파느니 매도시기를 늦추기 위해 전세로 돌리는 집주인이 늘었고, 임차인들은 월세시장으로 몰린 탓에 전세 수요가 줄면서 시장에 전세 매물이 적체되고 있다.
이는 수도권 전셋값이 역대 최대치로 떨어지는 결과로 이어졌다.
15일 뉴시스와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아파트 매매 매물은 총 18만9582건으로 한달 전(19만4035건)에 비해 2.3%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같은기간 전세 매물은 13만954건에서 14만79건으로 7.0% 증가했다. 한 달 사이 1만 건 가까이 늘었다.
서울 아파트값이 급락하고 거래절벽이 심화하자 집 팔기를 포기한 일부 집주인들이 매물을 전세로 돌리면서 전세 매물이 늘어나고 있다.
서울 도봉구 창동의 A 중개업소 대표는 "최근 시세 보다 1억원 낮은 8억원에 매물을 내놨던 집주인이 한 달 가까이 팔리지 않자 매매를 포기하고 전세로 돌린 케이스가 있다"며 "그런데 전세도 찾는 사람이 거의 없어 공실 상태인 집이 늘고 있다. 집주인들이 속이 타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또 전세자금대출 금리가 7% 선까지 치솟자 세입자들이 월세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전세 시장에서는 수요가 크게 줄었다.
지난 14일 기준 시중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전세자금대출 금리는 연 5.03~7.37%다. 반면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전세보증금을 월세로 돌릴 때 적용하는 연 환산이율인 전월세전환율은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기준 4.9%로 은행 전세자금대출 금리 하단보다 낮다. 대출받아 이자를 내는 것보다 월세를 내는 게 더 낫다는 의미다.
실제 전세 시장에서는 공급에 비해 수요가 부족한 상황이 12개월 째 이어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하는 수도권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는 지난해 12월 둘째주 부터 기준선인 100을 밑돌고 있다.
지수가 100 아래면 공급 보다 수요가 적다는 뜻이다. 가장 최근 수치인 올해 12월 첫째주 지수는 68.0으로 2012년 7월 통계작성 이래 가장 낮다..
전세 시장에서도 가격을 시세보다 크게 내린 급매물 위주로 거래가 이뤄지는 상황이다. 지난 5일 기준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 변동률은 -1.00%로 2012년 5월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하락률을 기록했다.
특히 서울에서는 성북구(-1.32%), 강북구(-1.26%), 은평구(-1.26%), 금천구( -1.20%) 등 중저가 아파트가 많은 외곽지역의 전셋값 하락세가 가파르게 나타난다.
도봉구 창동 북한산아이파크 전세 매물은 59건으로 한달 전 25건에 비해 2배 이상 늘어났다. 전세보증금은 전용면적 84㎡가 작년 말 6억3000만원까지 올랐던 게 최근 호가 기준으로 3억5000만원까지 떨어졌다.
노원구 월계동 한진한화그랑빌의 경우에도 노원구 월계동 한진한화그랑빌아파트 작년 9월 6억8000만원에 거래됐으나 최근에는 호가가 4억3000만원으로 하락했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임대인은 거래 순환이 안 되다 보니 팔지 못한 채 전세로 돌리려고 하고, 임차인은 월세시장으로 수요가 쏠리면서 전세 매물이 쌓여가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1215&prsco_id=022&arti_id=0003764535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