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역전세 공포…서울 '모아타운' 추진 동력될까
빌라 등 비아파트 매매·전세거래량 '뚝'
집값 하락기 맞물려 재개발 눈돌리는 집주인
"소규모 주택정비 속도↑…시장 양극화 등은 우려"
집값 하락기 맞물려 재개발 눈돌리는 집주인
"소규모 주택정비 속도↑…시장 양극화 등은 우려"

올 연말까지 역전세난 우려가 심화할 거란 전망이 짙은 가운데 서울시의 역점 사업인 모아주택·모아타운 추진에 외려 속도가 붙을지 관심이 쏠린다.
전세사기 여파로 빌라 등 비아파트 시장이 크게 위축되면서 거래가 끊기고 세입자를 구하기 힘들어진 집주인들이 이 시기를 빌어 정비사업으로 눈을 돌릴 수 있단 관측이 나온다.
1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 1~4월 비아파트 매매거래량(5월 31일 기준)은 단독·다가구 731건, 다세대·연립 6166건 등 총 6897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6년 이래 같은 기간 가장 적은 거래량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1만4176건)과 비교하면 51.4% 감소하며 거래량이 반 토막 났다.
매매뿐만 아니라 전세거래량도 대폭 줄었다. 올 1~4월 비아파트 전세거래량은 단독·다가구 1만4200건, 다세대·연립 2만2621건으로 총 3만6821건이다.
1년 전 5만3520건(단독·다가구 2만1295건, 다세대·연립 3만2225건)인 것을 고려하면 31.2% 감소했다. 전세거래량 역시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같은 기간 가장 적은 수준으로 파악됐다.
빌라나 다세대주택의 경우 통상 아파트보다 환금성과 가격 상승 여력이 떨어지는데 집값 하락기와 맞물리면서 투자수요의 발길이 끊기다시피 하고 있다. 여기에 전세사기 여파로 실수요자들의 전세 기피현상까지 더해지면서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는 집주인들이 늘어난 셈이다.

전세사기 여파로 빌라 등 비아파트 시장이 크게 위축되면서 거래가 끊기고 세입자를 구하기 힘들어진 집주인들이 이 시기를 빌어 정비사업으로 눈을 돌릴 수 있단 관측이 나온다.
1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 1~4월 비아파트 매매거래량(5월 31일 기준)은 단독·다가구 731건, 다세대·연립 6166건 등 총 6897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6년 이래 같은 기간 가장 적은 거래량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1만4176건)과 비교하면 51.4% 감소하며 거래량이 반 토막 났다.
매매뿐만 아니라 전세거래량도 대폭 줄었다. 올 1~4월 비아파트 전세거래량은 단독·다가구 1만4200건, 다세대·연립 2만2621건으로 총 3만6821건이다.
1년 전 5만3520건(단독·다가구 2만1295건, 다세대·연립 3만2225건)인 것을 고려하면 31.2% 감소했다. 전세거래량 역시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같은 기간 가장 적은 수준으로 파악됐다.
빌라나 다세대주택의 경우 통상 아파트보다 환금성과 가격 상승 여력이 떨어지는데 집값 하락기와 맞물리면서 투자수요의 발길이 끊기다시피 하고 있다. 여기에 전세사기 여파로 실수요자들의 전세 기피현상까지 더해지면서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는 집주인들이 늘어난 셈이다.

연말까지 역전세나 깡통전세 등 보증금 미반환 이슈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비아파트 시장 위축이 서울시가 추진하는 소규모 주택정비사업에 동력이 될 수 있다고 내다본다.
서울시는 오는 2026년까지 모아주택·모아타운 사업을 통해 총 3만가구를 공급한단 목표다. 모아타운은 신축과 구축이 혼재해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운 10만㎡ 이내 노후 저층 주거지를 '블록 단위'로 개발하는 방식이다. 소규모 가로주택정비사업 개념인 모아주택을 하나로 묶어 아파트 단지처럼 조성하는 것으로 현재 65곳의 후보지가 지정돼 있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MD상품기획비즈니스학과 교수)는 "비아파트 시장이 침체에 빠지면서 빌라는 전세를 내놔도 세입자를 못 구하는 실정"이라며 "서울시에서 각종 인센티브를 부여해 노후 주거지 개발에 의지를 갖고 있는 만큼 집주인들이 오히려 정비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동기를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심형석 우대빵연구소 소장·美IAU 교수는 "시장에선 역전세난을 우려하고 있는데 모아타운으로 지정된 곳 분위기는 상반된다"며 "최근에 가격이 많이 오르고 매매와 전세의 가격 차도 벌어지면서 역전세 우려도 해소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셋값이 떨어지면서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줘야 하는 부담이 크고, 새로 세입자를 구하긴 힘든 상황이 지속되면서 빨리 개발해 아파트를 짓자는 쪽으로 갈 수도 있다"며 "과거 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어 동의율을 충족하지 못한 곳들은 지금 시장 상황 어느 정도 동의율을 높이는 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 소장은 "모든 사람이 아파트에 살 수 없고, 중간 주거 사다리가 필요한 데 전세 기피 현상이 심화하면서 민간 공급이 막히는 건 경계해야 한다"며 "모아타운 역시 단기간 조성되기 힘들고 전세시장이 왜곡된 상태에서 사업이 진행되다 보면 그에 따른 부작용이 또 발생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개발에 속도를 올릴 수 있단 점은 긍정적으로 볼 수 있지만, 마냥 빌라를 없애고 아파트를 짓는 방식으로 중간을 없애버리면 양극화는 더 심해질 수 있다"고 했다.
서울시는 오는 2026년까지 모아주택·모아타운 사업을 통해 총 3만가구를 공급한단 목표다. 모아타운은 신축과 구축이 혼재해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운 10만㎡ 이내 노후 저층 주거지를 '블록 단위'로 개발하는 방식이다. 소규모 가로주택정비사업 개념인 모아주택을 하나로 묶어 아파트 단지처럼 조성하는 것으로 현재 65곳의 후보지가 지정돼 있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MD상품기획비즈니스학과 교수)는 "비아파트 시장이 침체에 빠지면서 빌라는 전세를 내놔도 세입자를 못 구하는 실정"이라며 "서울시에서 각종 인센티브를 부여해 노후 주거지 개발에 의지를 갖고 있는 만큼 집주인들이 오히려 정비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동기를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심형석 우대빵연구소 소장·美IAU 교수는 "시장에선 역전세난을 우려하고 있는데 모아타운으로 지정된 곳 분위기는 상반된다"며 "최근에 가격이 많이 오르고 매매와 전세의 가격 차도 벌어지면서 역전세 우려도 해소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셋값이 떨어지면서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줘야 하는 부담이 크고, 새로 세입자를 구하긴 힘든 상황이 지속되면서 빨리 개발해 아파트를 짓자는 쪽으로 갈 수도 있다"며 "과거 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어 동의율을 충족하지 못한 곳들은 지금 시장 상황 어느 정도 동의율을 높이는 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 소장은 "모든 사람이 아파트에 살 수 없고, 중간 주거 사다리가 필요한 데 전세 기피 현상이 심화하면서 민간 공급이 막히는 건 경계해야 한다"며 "모아타운 역시 단기간 조성되기 힘들고 전세시장이 왜곡된 상태에서 사업이 진행되다 보면 그에 따른 부작용이 또 발생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개발에 속도를 올릴 수 있단 점은 긍정적으로 볼 수 있지만, 마냥 빌라를 없애고 아파트를 짓는 방식으로 중간을 없애버리면 양극화는 더 심해질 수 있다"고 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601&prsco_id=119&arti_id=0002717780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