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매 효과?" 올해 서울 아파트 거래 '52%', 작년보다 가격 올라
![]() 올해 1분기 서울 아파트 거래 가운데 직전 분기 대비 높은 가격으로 이뤄진 비중이 과반을 넘어선 것으로 드러났다. 16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직전 분기 대비 상승한 거래는 전체의 52.2%(277건)인 것으로 조사됐다. 규제 완화 영향으로 매수 심리가 살아나면서 부동산 침체기 가격이 크게 빠진 대단지와 소형 저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급매물이 소진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
올해 들어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직전 분기에 비해 고가로 거래된 매물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의 규제 완화책이 시행되기 시작함과 동시에 지난해 하반기 부동산 침체를 겪으며 가격이 큰폭으로 떨어진 대단지 급매물이 소화됨에 따라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입지에 따라 가격이 오히려 하락하거나 변화가 없는 지역도 존재한다.
16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부동산R114'가 올해 1분기(14일 기준)와 지난해 4분기(2022년 10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의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 아파트 거래량 전체(531건) 중 절반 이상인 52.2%(277건)가 울 아파트 거래(531건) 중 직전 분기보다 상승한 금액으로 계약된 것으로 드러났다. 하락 거래는 42.2%(224건), 가격 변동이 없었던 거래는 5.6%(30건)를 각각 차지했다.
마포(77.3%)와 강동(69.8%),강남(65.2%) 송파(63.3%) 등 최근 대단지 급매물 소화 후 거래가격이 전반적으로 오른 지역의 상승 거래비중이 비교적 높았다. 용산, 강북, 서대문, 구로 등에선 상승 거래가 적게 나타났다.
상승 거래된 서울 아파트 277건을 가격별로 구분했더니 직전 분기 최고 거래가격 ▲6억원 이하 29.6%(82건) ▲6억~9억원 26.7%(74건) ▲9억~15억원 32.9%(91건) ▲15억원 초과 10.8%(30건) 순을 기록했다.
'6억원 이하'와 '9억~15억원' 구간에서는 가격 상승률이 5%를 초과한 거래비중이 30% 이상이었다. 가격 하락폭이 컸던 강동과 송파 대단지 급매물을 비롯해 보금자리와 특례보금자리론 대상이 되는 노원, 도봉의 소형재건축 아파트의 거래가 이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규제지역 해제와 대출여건 개선 등으로 매수심리가 호전됐고, 공동주택 공시가격의 하락이 예견되면서 주택 보유에 따른 부담이 낮아져 호가를 낮춰 급히 처분하지 않고 상황을 관망하는 매도자들이 늘어날 전망"이라며 "이 같은 현상은 수요가 유입되며 거래가 늘어난 지역에 국한될 가능성이 높아 서울 내에서도 입지나 가격구간별 온도차가 나타날 수 있다"고 전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317&prsco_id=417&arti_id=0000904371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