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2월 28일 화요일

집값 하락, 전세사기 기승…등록임대주택 관심 '시들'

 

집값 하락, 전세사기 기승…등록임대주택 관심 '시들'




아파트 등록임대 살리고 세제 혜택 마련했지만
전셋값 떨어지고 세입자 구하기 하늘의 별따기
"입법도 지지부진, 집값 하락기에 투자 메리트 없어"




정부가 부동산시장 정상화를 위해 사실상 폐지 수순에 놓인 등록임대주택 제도 개선에 나섰지만 시장의 관심이 크게 줄어든 모습이다. 집값 하락세가 계속되는 데다 전세사기 우려가 확산하면서다.

28일 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정부는 '2023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매입형 등록임대 정상화 방안을 내놨다. 2020년 당시 문재인정부에서 발표한 7·10대책으로 사라진 아파트 유형의 매입임대 복원이 핵심이다.

전용 85㎡ 이하 아파트 등록임대를 다시 허용하되 단순 절세 목적의 소규모 사업자 난립 방지를 위해 개인·법인, 주택유형 구분 없이 '2가구 이상' 등록할 때만 신규 등록할 수 있다.

취득세 감면 및 완화된 중과세율도 적용된다. 조정대상지역 내 매입임대주택에 대해선 양도세 중과배제 및 종부세 합산배제 혜택을 되살리고, 임대주택 양도에 따른 법인세 추가 과세도 배제하기로 했다.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임대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의무임대 기간을 현행 10년에서 15년 이상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내놨다. 15년 이상까지 확대하는 사업자는 세제 혜택 주택 가액요건(수도권 6억→9억, 비수도권 3억→6억)도 확대해주기로 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다주택자는 보유한 아파트를 임대로 공급함으로써 세제 혜택을 받고, 임차인은 양질의 주택에서 장기간 저렴하게 거주하는 임대사업의 '순기능'이 강화될 것으로 봤다.

하지만 집값이 지속 하락세를 나타내면서 이렇다 할 규제 완화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고금리 기조 속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10년간 장기 임대사업을 하기란 메리트가 떨어진단 지적이다.

속칭 '빌라왕' 등 전세사기 피해 방지 방안을 마련하는 데 당정의 관심이 옮겨가면서 관련 법 논의가 지지부진한 점도 한몫한다.

대한주택임대인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기준 등록임대사업자는 약 31만5000명, 임대주택수는 약 96만7000가구 정도다.

성창엽 주택임대인협회장은 "정부의 제도 개선책이 나왔지만 대부분 입법 사항이고 최근 시장 분위기도 좋지 않아 임대사업자 규모에 유의미한 변화는 없다"며 "현재로선 일부 종부세 부담을 덜기 위함이 아니라면 모든 유형의 장기 임대만 허용돼 받을 수 있는 혜택이 거의 없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 등록임대사업을 고려하는 분들은 많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장에선 등록임대사업자와 일반 주택임대사업자를 구분해서 보지 않는다"며 "전세사기 우려가 커지면서 애꿎은 사업자들도 모두 세입자를 구하지 못해 피해 보는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MD상품기획비즈니스학과 교수)는 "임대사업은 임대수익과 자산 증식 등을 보고 투자수요가 유입되는데 지금 임대차시장이 워낙 어렵다 보니 정부가 등록임대사업자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더라도 활성화를 꾀하기는 힘들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장은 생물과 같아서 규제가 약한 쪽 또는 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쪽으로 움직인다"며 "(등록임대주택 제도는) 집값이 올랐을 때는 효과를 볼 수 있는 정책일지 모르지만, 전셋값이 떨어지고 월세 선호도가 높아진 현재로선 크게 메리트가 없다"고 평가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301&prsco_id=119&arti_id=0002687783

내달 ‘임차보증금 반환 목적 주담대’ 푼다… “임대사업자 숨통? 글쎄”

 

내달 ‘임차보증금 반환 목적 주담대’ 푼다… “임대사업자 숨통? 글쎄”




LTV·DSR 한도 내 주담대 제한 폐지
“은행은 ‘신규대출 금지’ 이야기 뿐”
DSR 규제에 ‘반쪽 대책’ 우려도


정부가 3월부터 임차보증금 반환 목적의 주택담보대출 관련 각종 제한을 일괄 폐지하기로 했다. 그러나 당장 역전세난에 시달리고 있는 임대사업자들은 현장에서 제대로 적용될지 의문이라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특히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에 여전히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정부에 따르면 오는 3월 2일부터 임차보증금 반환 목적의 주택담보대출일 경우 주택담보대출비율(LTV)와 DSR 범위 한도 내 대출취급이 가능해진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10일 자료를 내고 관련 개정 내용을 발표했다.




그동안 임대사업자들이 이전 세입자에게 전세보증금 돌려주고 싶어도 새로운 세입자를 들이지 못해 상환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상호금융업감독규정에 따르면 ‘주택임대사업자나 주택매매사업자 대상으로 해당 사업을 영위하기 위한 목적의 주택을 담보로 하는 대출을 신규로 취급할 수 없다’고 규정돼 있다는 점에서다. 다만 2020년 6월 30일까지 구입한 주택을 담보로 한 임차보증금 반환목적의 주택담보대출은 예외 사유로 규정해 대출을 허용한 상태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이마저도 어려움이 많아 반신반의하는 분위기다. 최근 임대사업자 A씨는 전세보증금 반환 목적 위한 대출 알아봤지만 은행에서 여러 번 거절당했다. A씨는 상가주택을 소유 중이다. 은행에서는 “신규 대출이 임대사업자에게 불가능하기 때문에 3월 2일 이후에 다시 오라”고 돌려보내는 상황이다.

개정안에 따르면 3월부터 임대사업자에 대한 대출이 모두 허용된다. A씨는 “그나마 이렇게 말해주는 은행은 친절한 은행이고, 대부분 은행에서는 자세한 설명도 들을 수 없었다”며 “이미 세입자는 임차권등기명령과 소송을 위한 준비를 마쳤다는데 3월엔 진짜 대출이 될지 안될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불안함만 커질 뿐”이라고 토로했다.

이처럼 대출 규제를 전부 풀어준다고 해도 DSR 규제가 여전히 남아있어 ‘반쪽 대책’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담보 대출이라는 점에서 보전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점에서 DSR 규제 완화와 맞물려 진행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성창엽 임대사업자협회장은 “임차보증금 반환 목적의 주담대가 허용 되더라도 DSR 규제 때문에 아마 실질적으로 임차보증금액만큼 (대출이) 원활하게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며 “신용대출이나 주택 구입 목적이 아니라 위험성도 크지 않고 담보 대출이라는 점을 십분 감안해야 한다”고 했다.

일각에선 임차보증금 반환이라는 정당한 목적이 있는 만큼 DSR 규제의 예외 항목으로 적용하는 방법도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앞서 정부는 그동안 DSR에는 손대지 않겠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혀왔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전세보증금 반환이라는 목적이 명확하게 증빙 되고 함부로 대출을 유용할 수 없는 방안이 마련된다면 DSR 적용 예외 항목에 포함하면 된다”며 “대출의 목적이 세입자의 원활한 주거이동이라는 사회적 정당성을 띄고 있기 때문에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라고 말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301&prsco_id=366&arti_id=0000881108

서울 아파트 중위 매매가, 21개월만에 10억 아래로

 

서울 아파트 중위 매매가, 21개월만에 10억 아래로




작년 8월 이후 7개월째 내림세


이달 서울 아파트 중위 매매가격이 1년 9개월 만에 10억 원 밑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KB부동산 월간 시계열 자료에 따르면 2월 서울 아파트 중위 매매가격은 9억9333만 원으로 전월(10억1333만 원) 대비 2000만 원 떨어졌다. 중위 매매가격이 10억 원 밑으로 내려간 건 2021년 5월(9억9833만 원) 이후 1년 9개월 만이다.

서울 아파트 중위 매매가격은 2021년 6월 10억 원을 넘어선 뒤 상승세를 이어가 지난해 7월 10억9291만 원까지 상승했다. 이후 가파른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 우려 등의 영향으로 매수 심리가 얼어붙으면서 지난해 8월부터 7개월 연속 내림세를 나타내고 있다. 중위가격은 서울에서 거래되는 아파트를 가격 순으로 줄 세웠을 때 가운데에 있는 값을 말한다.

전셋값 하락세도 이어지고 있다. 이달 서울 아파트 중위 전셋값은 5억1333만 원으로 전월(5억2667만 원) 대비 1334만 원 하락했다. 이는 2년 4개월 전인 2020년 10월(5억804만 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301&prsco_id=020&arti_id=0003482364

한 해 동안 사라진 논·밭 2만㏊… 이 땅에 '3분의 1' 건축물 세웠다

 

한 해 동안 사라진 논·밭 2만㏊… 이 땅에 '3분의 1' 건축물 세웠다







지난해 경지 면적은 152만8237㏊로 전년(154만6717㏊) 대비 1.2% 감소해 2013년부터 10년째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해 국내 논·밭이 1만8479헥타르(㏊) 감소하고 이들 경지에는 대부분 건물이 건축됐다.

28일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경지 면적은 152만8237㏊로 전년(154만6717㏊) 대비 1.2% 감소했다. 2013년부터 10년째 감소세다. 같은 기간 논 면적은 77만5640㏊로 4800㏊(0.6%) 줄고, 밭 면적은 75만2597㏊로 1만3680㏊(1.8%) 쪼그라들었다.

지역별로 나주평야 등 곡창지대를 낀 전남에서 3982㏊가 줄어 감소 규모가 가장 컸다. 전남은 2020년 28만6396㏊의 경지를 보유했었지만 2021년 28만1077㏊, 2022년 27만7095㏊로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이중 논이 1529㏊, 밭은 2453㏊ 감소했다.

경지 감소 사유는 건물 건축이 가장 많았다. 경지 감소 면적은 2만1000㏊인데 이중 건물 건축으로 사라진 경지가 7000㏊로 3분의 1을 차지했다. 공공시설이 들어서 사라진 땅은 1900㏊, 유휴지가 된 경우는 5700㏊였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301&prsco_id=417&arti_id=0000899363

2023년 2월 27일 월요일

주택 거래 1년새 '40%' 줄어… 아파트 -27%, 빌라·오피스텔 -54%

 

주택 거래 1년새 '40%' 줄어… 아파트 -27%, 빌라·오피스텔 -54%








올해 전국 주택 거래 건수가 1년 전보다 40%가량 줄어들었다. 특히 아파트는 27% 줄어든 반면 비아파트는 54%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수요자들의 오피스텔·다세대주택(빌라) 기피현상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28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3년 1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지난 1월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2만5761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2만8603건) 대비 9.9% 감소, 전년 동월(4만1709건) 대비 38.2% 감소한 것이다.

수도권은 지난달 1만299건으로 전월(1만1127건) 대비 7.4%, 전년(1만6209가구) 동월 대비 36.5% 감소한 수치다. 유형별로 아파트(1만7841건)는 전월(1만8222건) 대비 2.1%, 전년(2만4465건) 동월 대비 27.1% 감소했다. 아파트 이외 빌라·오피스텔 등(7920건)은 전월(1만381건) 대비 23.7%, 전년(1만7244건) 동월 대비 54.1% 줄었다.

지난달 전·월세 거래량에도 차이가 나타났다. 전국 전세 거래량(9만7577건)은 전월 대비 1.1% 증가, 전년 동월 대비 12.3% 감소했다. 전국 월세 거래량(보증부월세·반전세 등 포함)은 11만7221건으로 전월 대비 1.9%, 전년 동월 대비 25.8% 증가했다. 1년 전세는 줄고 월세는 늘어난 것이다.

지난 1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7만5359가구로 전월(6만8148가구) 대비 10.6%(7211가구), 전년(2021년 12월 기준·1만7710가구) 대비 76.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수도권은 1만2257가구로 전월(1만1076가구) 대비 10.7%(1181가구), 전년(1509가구)과 비교하면 87.6% 미분양 가구 수가 늘었다. 서울은 지난달 미분양 가구 수가 996가구로 전년(54가구) 대비 무려 94.5% 증가했다.

지방의 경우 지난달 6만3102가구가 미분양으로 전월(5만7072가구) 대비 10.6%(6030가구), 전년(1만6201가구) 대비 74.3% 미분양 수가 늘었다. 지난해는 지방보다 수도권이 미분양 매물이 쌓여 시장에서 타격을 더욱 크게 받았다.

규모별로 85㎡ 초과 미분양은 8926가구로 전월(7092가구) 대비 25.9% 증가했다. 85㎡ 이하는 6만6433가구로 전월(6만1056가구) 대비 8.8% 증가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228&prsco_id=417&arti_id=0000899343

서울 아파트 미분양, 1년 새 21배 늘어… 85㎡ 초과 더 안팔렸다

 

서울 아파트 미분양, 1년 새 21배 늘어… 85㎡ 초과 더 안팔렸다








지난달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7만5359가구로 전월 대비 10% 이상 증가했다. 국민 평형으로 알려진 85㎡ 초과 아파트도 미분양 수가 대폭 늘어나면서 현 분양시장 지표를 알 수 있었다. 오피스텔·빌라 등 비아파트는 1년 새 주택 거래가 반토막이 났다.

28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3년 1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지난 1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7만5359가구로 전월(6만8148가구) 대비 10.6%(7211가구), 전년(2021년 12월 기준·1만7710가구) 대비 76.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은 7546가구로 전월(7518가구) 대비 0.4%(28가구) 증가했다.

지역별로 수도권의 미분양 주택은 1만2257가구로 전월(1만1076가구) 대비 10.7%(1181가구), 전년(1509가구)과 비교하면 87.6% 늘었다. 서울은 지난달 미분양 가구 수가 996가구로 전년 동기(47가구) 대비 21배가 급증했다.

지방의 경우 지난달 6만3102가구가 미분양돼 전월(5만7072가구) 대비 10.6%(6030가구), 전년(1만6201가구) 대비 74.3% 늘었다. 지난해는 지방보다 수도권에 미분양 매물이 쌓이면서 타격을 더욱 크게 받았다.






규모별로 85㎡ 초과 미분양은 8926가구로 전월(7092가구) 대비 25.9% 증가했다. 85㎡ 이하는 6만6433가구로 전월(6만1056가구) 대비 8.8% 증가했다.

지난 1월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2만5761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2만8603건) 대비 9.9% 감소, 전년 동월(4만1709건) 대비 38.2% 감소한 것이다.

수도권은 지난달 1만299건으로 전월(1만1127건) 대비 7.4%, 전년(1만6209가구) 동월 대비 36.5% 감소한 수치다. 유형별로 아파트(1만7841건)는 전월(1만8222건) 대비 2.1%, 전년(2만4465건) 동월 대비 27.1% 감소했다. 아파트 이외 빌라·오피스텔 등(7920건)은 전월(1만381건) 대비 23.7%, 전년(1만7244건) 동월 대비 54.1% 줄었다.

지난달 전·월세 거래량에도 차이가 나타났다. 전국 전세 거래량(9만7577건)은 전월 대비 1.1% 증가, 전년 동월 대비 12.3% 감소했다. 전국 월세 거래량(보증부월세·반전세 등 포함)은 11만7221건으로 전월 대비 1.9%, 전년 동월 대비 25.8% 증가했다. 1년 동안 전세는 줄고 월세는 늘어,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 이자 부담과 전세사기 여파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228&prsco_id=417&arti_id=0000899344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 50% 붕괴 초읽기… 강남3구는 모두 50% 밑돌아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 50% 붕괴 초읽기… 강남3구는 모두 50% 밑돌아




최근 전셋값 하락으로 서울 아파트 매매 대비 전세가 비율(전세가율) 50% 붕괴가 임박했다.

28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2월 현재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51.2%로 50% 선을 가까스로 지켰다. 지난해 11월(53.9%) 이후 3개월 연속 하락했다. 데이터 표집의 변화는 있지만 이달이 지난 2012년 1월(51.2%) 이후 11년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특히 서울 규제지역의 전세가율이 일제히 50% 밑으로 하락했다. 강남구는 42.5%로 서울 25개 구 가운데 최저였고, 용산구가 43.2%로 그 뒤를 이었다. 송파구(45.3%)와 서초구(45.9%)도 전세가율이 절반에 못 미쳤다.

비규제지역에서는 양천구(49.1%)가 유일하게 50% 아래다.

상대적으로 전세가율이 높은 곳은 중랑구(59.1%)와 성북구·강북구(57.3%), 금천구(56.9%), 은평구(56.2%) 등 매매가격이 낮은 곳이며 전세가율이 60% 이상인 곳은 한 곳도 없었다.

전세가율이 계속 떨어지는 것은 최근 매매가격에 비해 전세가격 하락 폭이 컸기 때문이다. KB 조사 기준 지난해 서울 아파트값은 2.96% 하락했는데, 전셋값은 5.45% 내렸다.

고금리와 대출 규제 등 금융 환경 변화에 전셋값이 더 예민하게 반응하는 모양새다.

올해 들어서도 매매가격은 1월 -2.09%, 2월 -1.20%를 기록했지만 전세는 각각 -3.98%, -2.63%로 매매 하락 폭을 웃돈다.

이달 경기도의 전세가율은 62.2%, 인천은 64.3%로 역시 조사방식이 변경된 작년 11월(65.1%, 66.9%) 이후 역시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66.0%로 작년 11월(67.8%)보다 1.8%포인트 하락했다.

전세가율이 떨어지면서 전세를 끼고 구매하는 갭투자는 당분간 쉽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최근 15억원 초과 주택담보대출이 허용됐지만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부담 정도를 기준으로 하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 대상은 지난해 총대출액 2억원 이상에서 올해 1억원 이상으로 강화되면서 소득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돈 빌리기가 힘들다.

KB국민은행 박원갑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과거에도 집값이 급등할 때는 대체로 집값과 전셋값이 동반 상승하거나 전셋값이 더 많이 올라 갭투자가 활발했을 시기”라며 “아직 역전세난이 지속되는 가운데 최근 초급매 소진에 따른 일시적 실거래가 상승 기류는 있지만 본격적인 시세 반등으로 가기에는 수요가 부족하다”고 말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228&prsco_id=025&arti_id=0003262582

2023년 2월 26일 일요일

“집안 망하게 생겼다”...상가 분양자들 패닉에 빠졌다는데

 “집안 망하게 생겼다”...상가 분양자들 패닉에 빠졌다는데


금리 오르고 임대료 떨어지면서
대출 한도 줄어…잔금 마련 못해
“팔고 싶어도 살 사람이 없어”
신도시 상가 투자자들 ‘비상’




“대출이 처음 예상보다 너무 적게나와서 매우 난처한 상황입니다. 임대도 안되고 매매도 안되고요. 계약금 포기하는 수준으로 싸게 내놨는데도 사겠다는 사람이 없어요. 제발 누가 이 상가 좀 가져갔으면 좋겠어요.”

27일 인천 송도 상가를 분양받은 직장인 이모씨는 “3달안에 잔금을 내야하는데 도저히 낼 수가 없다. 잔금 못내면 가산이자가 불어날텐데 상가 하나 잘못 분양받았다가 집안이 망하게 생겼다”면서 하소연했다.

대출 금리가 오르면서 상가 소유주들의 비명이 커지고 있다. 경기 침체로 임대료는 떨어지는데 상가 대출 금리는 오르면서 “갖고만 있어도 손해나는” 상황이 돼버린 것이다. 자금이 부족한 사람들은 급매로 매물을 내놓으면서 상가 매물도 빠른 속도로 쌓이고 있다.

가장 발등에 불이 떨어진 사람들은 준공을 앞둔 상가 분양권을 소유한 사람들이다. 준공을 앞두고 잔금대출을 받으려 하는데 금리가 오르면서 잔금 대출 한도가 확 줄어든 것이다.

상가는 대출을 받을때 RTI(임대업 이자 상환비율)를 본다. RTI는 부동산의 연간 임대소득을 해당 부동산 대출에서 발생하는 연간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으로 산정된다. 즉 분자인 임대소득이 많을수록, 분모인 이자비용이 적을수록 RTI가 높아진다. 상가·오피스텔 등 비주택임대업 대출은 RTI 1.5배 이상이어야 대출이 가능하다.

상가 분양받을때 RTI 계산 꼭 해보세요

그런데 최근 상가 임대 소득은 낮아지고, 이자 비용은 올라가면서 당초 분양당시 예정했을때보다 RTI가 적게 나오다보니 대출 한도도 줄어드는 것이다.

동탄 상가를 분양받은 이모씨는 “상가를 받을때는 대출 80%까지 받을 수 있다고 해서 계약금 10%만 들고 분양받았는데, 이번에 은행에 갔더니 분양가의 50%정도밖에 대출이 안나온다고 해서 좌절했다”면서 “금리가 올라서 RTI가 낮아지다보니 대출 한도가 줄어들었다고 한다”고 전했다.

송도 상가를 분양받은 회사원 이모씨도 상가때문에 잠을 못자고 있다. 이씨는 분양가 8억원 상가를 보유하고 있다. 잔금 대출을 6억원 가량 받을 것으로 예상했는데, 대출이 4억원밖에 나오지 않아 2억원을 당장 마련해야한다. 이씨는 “시행사에 계약을 해지해달라고 사정했는데 중도금 대출이 이미 실행돼서 해지가 안된다고 한다. 전매 내놨는데 매수도 안되고 있다. 성실한 직장인 부부인데 상가 때문에 신용불량자가 될 판”이라고 했다.

기존 상가를 보유한 사람도 높아진 금리때문에 시름이 깊다. 2년전만해도 상업용 부동산을 대출받을때는 2~3% 금리를 적용받았다. 그러나 현재 시중은행 상가 대출은 5~6% 금리가 적용된다.

경기도 동탄에 구분상가를 보유한 이모씨는 “금리가 3%대에 시작해서 이번에 갱신하려고 봤더니 7%대가 나왔다. 여러 은행을 돌아서 간신히 5%대에 맞췄다”면서 “그런데 임대료는 그대로여서 갖고만 있어도 손해”라고 했다.

임대료는 더 떨어졌다. 한국부동산원은 2022년 4분기(12월 31일 기준) 기준 임대가격지수는 전분기 대비 모든 상가유형에서 하락하고, 투자수익률은 오피스·상가 모두 하락했다고 밝혔다.

시장임대료 변동을 나타내는 임대가격지수는 전분기 대비 상가는 중대형 0.20%, 소규모 0.24%, 집합 0.13% 하락했다.

1년 기준으로 임대가격지수를 보면 송도, 남양주 다산, 위례 신도시 등은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2021년 4분기(100)와 비교했을때, 송도는 99.13, 남양주 다산은 93.96, 위례는 99.48로 임대가격지수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전국 평균 공실률은 모두 증가했다. 중대형 상가는 13.2%, 소규모 상가는 6.9%, 집합 상가는 9.4%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은 “상가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도 불구하고 고금리와 고물가에 따른 영업비용 증가 및 소비심리 위축에 따른 매출액 감소 등으로 모두 공실률이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위례, 송도, 남양주 등 신도시 상가는 여전히 공실에 비명을 지르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입지가 좋다면 ‘미래’를 내다보고 투자해야한다고 조언한다.

책 ‘월급쟁이 건물주 클레이튼커쇼의 파이프라인 수업’에서 저자(클레이튼커쇼)는 “천지가 개벽한 마곡도 미분양으로 골머리가 아팠었고 강남 뺨 때리는 메가 상권이 된 판교역 상권도 미분양 천국이었다”면서 “모두가 똑같이 생각하는 프레임에서 벗어나 투자의 나래를 펼치는 분이 성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094297?lfrom=cafe

지금이 갈아타기 호기? 신축·중소형 거래 비중 늘었다

 

지금이 갈아타기 호기? 신축·중소형 거래 비중 늘었다




준공 후 5년 이하 아파트 거래
1월 19.6%… 1년새 배 이상 증가
전국 매매 거래 절반이 중소형





올해 들어 신축과 중소형 아파트 거래 비중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집값 하락기를 주거환경이 더 나은 집으로 갈아타는 기회로 삼는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R114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1월 전국 아파트 거래 가운데 준공 후 5년 이하 매물 비중이 19.6%로 집계됐다고 26일 밝혔다. 지난해 1월 9.7%와 비교해 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이 신축 아파트 거래 비중은 같은 기간 수도권이 11.9%에서 22.3%로, 지방이 9.0%에서 17.9%로 각각 배 가까이 늘었다. 수도권에서 경기는 9.8%에서 23.5%로 배 이상 증가하고, 인천이 4.1%에서 20.6%로 4배 뛰었다.





반면 전국에서 준공 후 30년을 넘긴 아파트 거래 비중은 지난해 1월 16.5%에서 올해 1월 11.7%로 줄었다. 수도권은 14.9%에서 10.4%로, 지방은 17.0%에서 12.5%로 감소했다. 신축 거래 비중 증가폭이 컸던 인천은 구축 비중이 32.3%에서 14.0%로 절반 넘게 떨어졌다.

대부분 지역과 달리 서울은 30년 초과 아파트 거래 비중이 같은 기간 12.9%에서 21.1%로 크게 늘었다. 재건축 투자 기대감이 여느 도시보다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평가된다.

전국에서 중소형에 해당하는 전용면적 60㎡ 초과~85㎡ 이하 아파트 거래는 지난해 1월 40.9%에서 올해 1월 49.3%로 늘며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 전용 60㎡ 이하 소형 아파트 거래 비중은 이 기간 51.5%에서 41.5%로 낮아졌다. 수도권은 중소형 아파트 거래 비중이 36.7%에서 49.8%로 더 크게 늘었다. 소형 아파트 비중은 52.1%에서 38.8%로 역시 크게 줄었다. 지방도 소형이 51.4%에서 43.1%로 감소한 대신 중소형이 42.3%에서 48.9%로 증가했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수도권 등지 입주 물량이 늘면서 준공 5년 이내 신축 아파트 물량이 풍부해졌다”며 “집값 하락기를 맞아 신축에서도 낮은 가격대 매물이 나오고 비교적 넓은 평형대도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상대적으로 진입 장벽이 낮아졌다”고 말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227&prsco_id=005&arti_id=0001589618

세금·이자비용 역대 최대…가계 지출의 27%

 

세금·이자비용 역대 최대…가계 지출의 27%



금리인상에 주택담보·신용대출 이자부담 증가





지난해 가계지출의 27%가량은 세금이나 이자 지출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1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비소비지출은 95만1000원으로 1년 전보다 8.0% 증가했다.

전체 가계지출(359만1000원) 대비 비소비지출 비중은 26.5%로 전년(26.1%)보다 0.4%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1인 가구 포함 조사가 시작된 2006년 이래 연간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치다.

비소비지출 비중은 2017년까지만 해도 22.9%에 그쳤으나 2018년 23.7%, 2019년 26.2%, 2020년 25.9%, 2021년 26.1% 등으로 올랐다.

비소비지출은 가계가 지출하는 비용 가운데 세금이나 이자 지출 등을 포함한 경직성 비용을 뜻한다.

비소비지출이 늘수록 개인이 상품이나 서비스 구매에 활용할 수 있는 처분가능소득(전체 소득-비소비지출)은 줄어들게 된다.

세부 항목별로 보면 이자비용(9만9000원)이 1년 전보다 15.3% 급증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금리 인상으로 주택담보대출이나 신용대출을 비롯한 대출 이자 부담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소득세와 재산세, 자동차세 등이 포함된 경상조세(21만2000원)가 10.6% 증가해 뒤를 이었다.

이외 사회보험료가 8.0%, 연금기여금이 5.2% 각각 증가했다.

다만 자산 거래가 둔화한 영향으로 부동산 취·등록세나 양도소득세가 포함된 비경상조세 지출은 전년 대비 31.9% 감소했다.

도시에 거주하며 가구주가 근로자인 도시 근로자 가구의 경우 가계지출 대비 비소비지출 비중이 29.1%에 달해 전체 가구보다 더 높았다.

이자비용이 증가한 것은 물론 물가 상승과 함께 소득세 등 부담이 함께 늘어난 영향이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227&prsco_id=032&arti_id=0003207534

징역형 아닌 집행유예도 공인중개사 자격취소… "전세사기와의 전쟁"

 

징역형 아닌 집행유예도 공인중개사 자격취소… "전세사기와의 전쟁"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전세사기가 발생한 임대차계약을 중개한 공인중개사에 대해 지자체와 합동 특별점검을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특별점검은 지난 2월2일 발표된 '전세사기 예방 및 피해 지원방안'의 후속조치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월16일 원희룡 국토부 장관 등으로부터 단속 상황을 보고받은 후 "전세사기가 서민과 청년층을 상대로 한 악덕 범죄인 만큼 제도 보완과 철저한 단속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국토부는 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경기도와 합동점검반을 구성, 한국공인중개사협회의 현장 지원을 받아 2월27일부터 5월31일까지 점검을 진행할 계획이다. 국토부, 시·도, 시·군·구 중개업 담당자와 특별사법경찰 등 150여명으로 구성했다.

특별점검 대상은 최근 2년간 발생한 주택도시보증공사(이하 'HUG') 보증사고 가운데 공인중개사가 중개한 계약이다. 피해 규모가 큰 수도권을 중심으로 실시한다. 2021∼2022년 보증사고 8242건 가운데 중개계약 4780건, 수도권 4380건으로 피해규모의 94%를 차지한다.

국토부는 보증사고가 발생한 주택의 물건정보를 악성임대인 리스트와 대조, 해당 임대인 소유 주택을 2회 이상 중개한 공인중개사에 대해 현장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악성임대인은 보증사고 대위변제 3건 이상으로 최근 1년간 자발적 변제한 이력이 없거나 미회수금액이 2억원 이상 등인 임대인이다. HUG가 기준을 정한다.

합동점검반은 점검대상 공인중개사에 대해 중개업소 등록현황을 파악해 중개사무소 개설 당시 등록인장, 부동산 실거래 신고 내역, 소속공인중개사와 중개보조원 고용신고 내역 등을 사전 조사한다. 중개업소를 방문해 사고물건에 대한 계약서, 동일 주소 건축물의 매매·임대차 계약서, 사고물건 외 특정인과의 대량 계약 여부, 부동산 실거래가와 계약금액과의 일치 여부 등을 집중 점검할 계획이다.

이밖에 공인중개사 자격증 대여, 고용인 미신고, 중개대상물 확인·설명 의무 이행 등에 대해 조사한다. 점검 결과에 따라 중개대상물 표시·광고 위반, 중개대상물 확인·설명 의무 미이행, 중개보조원 미신고 등 불법행위의 행정처분을 하고 전세 계약상 중요 정보의 거짓 제공, 중개보수 과다, 가격 담합 등 위법행위가 있을 시 경찰 수사를 의뢰할 예정이다. 현행 직무위반으로 징역형 선고 시 자격취소가 되는데 이를 금고형(집행유예 포함) 선고 시 취소하는 것으로 강화한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불법행위에 연루된 공인중개사에 대해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대응토록 할 계획"이라면서 "전세사기 가담 공인중개사의 퇴출을 위해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적용대상을 확대하고 공인중개사에게 임대차 중요 정보에 대한 설명의무를 부과해 임차인 보호를 강화하는 법률 개정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227&prsco_id=417&arti_id=0000898975

2023년 2월 24일 금요일

하반기 역전세 대란 현실화 되나…1월 보증금 피해 후기 급증

 

하반기 역전세 대란 현실화 되나…1월 보증금 피해 후기 급증




올해 1월 발생 전세 보증 사고 금액, 전년 12월보다 22% 늘어







한국부동산원이 21일 부동산테크의 '임대차시장 사이렌'을 통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 전국에서 발생한 전세 보증 사고 금액은 지난해 12월(1830억7570만원) 대비 21.9% 증가한 2232억2240만원으로 나타났다. 사고 건수는 지난 12월 820건에서 올 1월 968건으로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사고율도 5.8%로 지난 12월 5.2% 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보증 사고가 증가하는 가운데, 23일 국내 1위 부동산 거주 리뷰 평가 플랫폼 '집품'은 보증금 피해를 경고하는 후기가 지난 12월 대비 2.13배 가량 급증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서울시 강서구의 한 오피스텔에는 "계약서 확인시 보증금 미지급으로 인한 주택임차권이 두 차례 증명되어 있었다"며, "본인도 보증금 문제가 발생해서 녹음 및 여러 곳에 문의, 법적 대응 고민(까지 했다)"는 후기가 등록되었다. 해당 글쓴이는 다행히 "계약일 전에 퇴실을 했다"고 밝혔다.

경기도의 한 빌라에는 "계약 만료 앞두고 나간다니까 돈 없다고 못 준다네요.. 다음 세입자 올 때까지 기다리라고 합니다"라며 "만료 1달 지나서 다음 세입자 구하고 겨우 탈출 했습니다. 다른 분들은 여기 절대 가지 마세요. 집주인이 돈 안줘서 이사 갈 때 피해 봅니다"라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집품을 운영하는 넥스트그라운드의 관계자는 "전세사기로 인한 보증금 사고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이와 관련된 리뷰도 급증하고 있다"며, "특히 최근에는 직접 경험한 보증금 사고 사례는 물론 신고까지 이어지지는 않았지만 보증금 반납이 지연되어 피해를 입은 경험에 대한 후기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고 했다.

그러면서 "보증금 반납이 지연될 경우, 세입자들은 이사 갈 집에 대한 보증금 납입이 이루어지지 않아 피해를 입을 수 있는만큼 이러한 보증금 사고에 대한 위험도 미리 파악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반드시 계약 전에 집품의 거주 후기를 확인하고 보증금 분석 리포트를 받아보는 등 안심전세를 위해 보증금 사고 예방을 위한 노력을 철저히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보증 사고는 세입자가 전세 계약의 해지 및 종료 후 한 달 내에 정당한 사유 없이 전세보증금을 되돌려받지 못하거나 전세 계약 기간 중 경매 또는 공매가 이뤄져 배당 후 보증채권자가 전세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경우를 기준으로 집계됐다.

보증 사고의 89.3%는 수도권에서 발생했으며, 318건이 발생한 경기도가 가장 많았고, 294건이 발생한 서울, 252건이 발새한 인천이 그 뒤를 이었다. 서울 중에서는 강서구에서 68건의 사고가 발생하여 서울 전체 사고의 23%를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는 양천구(30건), 금천구(29건), 구로구(28건), 관악구(17건) 순으로 나타났으며 중구, 성동구, 동대문구. 서초구, 강남구는 각 1건씩에 불과했다. 노원구는 0건이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225&prsco_id=215&arti_id=0001085056

집값 21억, 수상한 아들의 직거래… 알고보니 편법증여

 

집값 21억, 수상한 아들의 직거래… 알고보니 편법증여




국토부, 불법 의심 276건 적발
거래신고 위반 의혹 가장 많아





수도권에 사는 40대 A씨는 아버지의 법인 명의 아파트에 전세로 살았다. 그러던 중 전세보증금 8억5000만원과 아버지로부터 증여받은 12억5000만원으로 전세 살던 아파트를 21억원에 샀다. 이 거래는 공인중개사를 통하지 않고 이뤄졌는데, 정부 기획조사에서 덜미가 잡혔다. A씨가 전세보증금을 이체한 내역이나 법인의 장부 처리 내역 등이 없었던 것이다. 정부는 아파트 매매 과정에 쓰인 돈이 전부 법인에서 나온 것이라고 보고 법인자금 유용과 편법증여 의심으로 국세청에 통보했다.

국토교통부는 직거래 방식으로 이뤄진 부동산 거래에 대해 기획조사를 벌인 결과 불법 의심거래 276건을 적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2021년 1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이뤄진 직거래 중 같은 부동산을 매도 후 매수하거나, 시세와 비교해 고가나 저가로 매매한 거래, 특수관계인 간 거래 등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이상거래 중 가장 위반이 많은 건은 ‘거래신고 위반’이었다. 계약일을 거짓으로 신고하거나, 업·다운 계약을 한 경우로 이런 혐의가 확인되면 취득가액의 5% 이하 과태료를 내야 한다. A씨 사례처럼 편법으로 증여한 경우도 77건 적발됐다. 이 사례들 역시 국세청에 통보돼 미납 세금이 확인되면 추징 절차를 밟게 된다. 명의신탁 등 경찰청에 통보된 사례도 19건이었다.

적발 사례 중에는 10년 공공임대 아파트의 임차권을 불법으로 전대한 뒤 분양전환 시기에 소유권을 이전한 경우도 있었다. 공공임대아파트 임차권은 타인에게 전대할 수 없다. 혐의가 확정되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등으로 처벌된다. 국토부는 지난해 9월 이후 거래된 아파트 직거래를 대상으로 추가로 2차 기획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국토부는 시세를 띄울 목적으로 고가로 거래신고를 한 뒤 계약을 해지한 ‘실거래가 띄우기’에 대한 기획조사에도 나설 예정이다. 특정인이 반복적으로 신고가 거래를 한 뒤 계약을 철회하거나, 투기지역 부동산을 고가에 거래한 뒤 해제한 사례 등이 대상이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225&prsco_id=005&arti_id=0001589163

2023년 2월 23일 목요일

용인 처인구 고급주택 매매 12억

늘어나는 금융비용에 “수수료라도 아끼자”… ‘셀프등기’ 자리잡았다

 

늘어나는 금융비용에 “수수료라도 아끼자”… ‘셀프등기’ 자리잡았다




셀프등기 건 수 2021년 5만건→2022년 11만건
법무사 대행수수료 0.1%… “금융비용 아끼려”
“등기 늦어지면 압류·가압류 가능성… 꼼꼼히 챙겨야”


#지난해 서울 아파트를 10억1000만원에 매매한 A씨는 부동산 등기를 ‘셀프’로 해결했다. 일반적으로 등기는 법무사나 변호사 등 대리인을 통해 해결한다. 준비해야하는 서류가 많고 복잡하기 때문이다. A씨의 경우 대리인을 거치면 101만원 가량을 등기 비용으로 내야했다. 그러나 높아진 이자 등으로 추가 금융비용이 드는게 부담스러웠던 A씨는 혼자서 이 모든 과정을 해결했다. 서류 구비 비용 단 돈 몇만원밖에 들지 않아 100만원에 가까운 비용을 아낄 수 있었던 것이다.

금리 인상으로 금융비용이 커지면서 부동산 ‘셀프 등기’가 흔하게 볼 수 있는일이 됐다. 2021년 부동산 가격 상승 시기 늘어나기 시작했던 셀프 등기 건수는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매수인이 직접 소유권 이전 등기 신청을 하는 것을 의미하는 셀프등기 건수는 지난해 총 11만7230건으로 나타났다. 2021년 5만3202건이었던 것에 비해 크게 늘었다.

지난 2018년 2만9015건, 2019년 2만5051건 등으로 과거에는 3만건을 밑돌았다. 이후 2020년 4만3067건으로 늘어나더니 2021년 5만건을 돌파, 지난해엔 2배 이상 늘었다.

물론 아직 법무사와 변호사 등 대리인이 등기를 신청한 건 수보다는 적은 편이다. 지난해 법무사를 통한 등기 신청 건수는 509만5964건, 변호사를 통한 등기 신청 건수는 103만3630건이다. 기타를 포함한 전체 등기 신청 건 수에서 당사자가 직접 신청한 건수의 비중은 1.8%에 불과하다.

그러나 비중 역시 점차 증가하고 있다. 2021년의 경우 당사자가 직접 신청한 등기 비중은 0.6%에 불과했다. 지난해 1.2%포인트(p)나 증가했고, 올해 1월 건수만 보더라도 1.4% 수준을 보였다.

이는 최근 대출금리 인상 등 늘어나는 금융비용에 부담을 느껴 부대비용을 줄이려는 경우가 늘었기 때문이다. 법무사나 변호사를 통한 대행수수료는 보통 집값의 0.1% 안팎으로, 과세표준액 5억원인 아파트를 매입할 경우 약 50만원의 비용을 납부해야 한다.

셀프등기가 유행하자 유튜브와 지자체에서 과정을 설명하고 안내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강남·마포·도봉구 등 서울 대부분의 지자체 홈페이지에는 ‘나홀로등기’ 코너가 마련돼 있다. 노원구는 ‘셀프 등기 신청’ 안내책을 발행하고, 동작구 역시 관련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신청 절차와 서류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직접등기 하기 위한 절차는 꽤나 복잡하다. 매도인은 부동산 등기권리증과 매도용 인감증명서·인감도장, 이전 주소가 있는 주민등록 원·초본, 신분증 등이 필요하다. 매수인은 부동산 매매계약서 원본1부와 사본2부, 주민등록초본, 소유권 이전 등기신청서, 토지대장·건축물대장 등본, 등기신청 수수료 납부영수증, 정부수입인지, 국민주택채권 매입영수증, 부동산 거래신고필증 등을 준비해야한다. 대부분 민원24와 같은 온라인을 통해 발급받을 수 있다. 취득세를 납부한 후 확인서도 발급받아야 한다.

전문가들은 셀프등기를 할 경우 꼭 잔금치룬 ‘당일’에 해야하는 점을 강조했다.

고준석 제이에듀투자자문 대표는 “점점 젊은 세대들이 부동산 시장에 뛰어들면서 각종 금융비용 부담을 줄이려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고, 셀프등기 요건도 간소화되고 있어 앞으로 건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잔금을 치룬 당일날 셀프등기를 접수를 하지 않으면 그 사이 전 소유자의 채권자들로부터 압류나 가압류가 들어올 수 있다”며 “전 소유자가 채무관계 때문에 급하게 아파트를 팔 경우 이런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그날 바로 등기소에 접수해야하는 것이 필수”라고 조언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224&prsco_id=366&arti_id=0000880249

"집값 바닥 찍었나"…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2주 연속 상승

 

"집값 바닥 찍었나"…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2주 연속 상승




매수심리 지난주 이어 2주째 회복
강남3구 올랐지만 '노·도·강'은 하락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지수가 2주 연속 상승했다. 강남 3구가 있는 동남권과 양천·영등포·강서구가 있는 서남권의 매수심리가 상승했지만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이 속한 동북권은 심리 지수가 내렸다.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지수가 2주 연속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2월 셋째 주(20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66.7로 지난주(66.4)보다 0.3포인트(p) 상승했다. 매매수급지수는 이달 들어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다 지난주 반등한 뒤 이번 주까지 2주 연속 상승했다.

매매수급지수는 부동산원이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설문해 수요와 공급 비중(0~200)을 지수화한 것으로 기준선 100보다 낮을수록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많다는 뜻이다.

지수가 연속으로 올랐지만, 현재 기준선 100에 한참 못 미치는 60선 언저리에 머물고 있어 여전히 매수세는 약하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강남 3구가 있는 동남권은 지난주 70.9에서 이번 주 71.4로 올랐다. 양천·영등포·강서구가 있는 서남권도 지난주 59.5에서 이번 주 60.3으로 오르면서 3주 만에 60선을 회복했다. 중구·종로구 등이 속한 도심권도 69.1에서 69.4로 올랐다.

반면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이 있는 동북권은 지난주 70.7에서 이번 주 70.6으로 떨어졌다. 노·도·강은 서울에서 9억 원 이하 중저가 아파트가 밀집한 지역으로 최근 특례보금자리론에 힘입어 지난주까지 8주 연속 상승세를 보이다가 이번 주에 소폭 하락한 것이다. 마포·은평·서대문구 등의 서북권도 61.7에서 61.0으로 줄었다.

경기도는 지난주 69.5에서 이번 주 70.3으로 올라 12주 만에 70선을 회복했다. 인천도 지난주 68.8에서 이번 주 69.3으로 상승했다. 서울까지 포함한 수도권 매매수급지수 역시 68.5에서 69.1로 올랐다.

전국 아파트 매수심리는 지난주 72.8에서 이번 주 73.5로 상승했다. 한편,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는 지난주 60.9에서 이번 주 61.7로 오르며 2주 연속 상승했다. 전국 기준으로도 70.4에서 71.5로 올랐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224&prsco_id=629&arti_id=0000202603

다시 전세 역전… 서울 전세계약 비중 1년새 최대로 급증

 

다시 전세 역전… 서울 전세계약 비중 1년새 최대로 급증




지난달 전월세 중 58.4%가 전세
9개월來 최대치… 수도권서 많아






올해 1월 아파트 전세계약 비중이 7개월 만에 큰 폭으로 반등하며 9개월 만의 최대치를 기록했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전세계약은 특히 강한 증가세를 보이며 1년여 만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부동산R114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체결된 아파트 전월세 신규계약 3만7751건 중 전세가 58.4%인 2만2033건으로 집계됐다고 23일 밝혔다. 지난해 12월 52.6%(4만3336건 중 2만2806건)와 비교해 상당폭 늘어난 것이다. 지난해 4월 59.3% 이후 가장 큰 비중이다. 이 비중이 전월 대비 증가하기는 지난해 6월 이후 처음이다. 전세계약 비중이 줄기 시작한 2021년 하반기 이후 가장 큰 폭의 반등이기도 하다.

2021년 7월 64.9%였던 전세계약 비중은 이후 간헐적으로 소폭 증가를 보였을 뿐 추세적으로 감소해 지난해 12월 저점까지 1년반 동안 12.3% 포인트나 떨어졌다. 그 가운데 거의 절반(5.8% 포인트)을 올해 들어 한 달 사이에 되돌렸다는 점에서 지난달의 비중 증가는 1% 포인트 내에 머물렀던 이전 반등과 다른 의미를 드러낸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고금리 부담과 전세사기 우려에 따른) 월세 선호현상, 아파트 입주 여파 등으로 전셋값이 큰 폭으로 하락하자 월세 대신 전세를 선택한 세입자들이 늘어난 영향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세계약 비중 증가는 전셋값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컸던 수도권에서 더 두드러졌다. 수도권은 지난해 12월 53.3%에서 올해 1월 61.3%로 늘며 1년여 만에 60%를 넘겼다. 지방도 같은 기간 51.6%에서 54.2%로 증가하며 지난해 7월(55.5%) 이후 가장 큰 비중을 기록했지만, 수도권보다 반등폭이 작았다.

서울은 같은 기간 45.9%에서 57.8%로 12% 포인트 가까이 급증했다. 최근 1년 사이 전세계약 비중이 가장 높았던 2021년 4월(53.7%)을 크게 웃돈다. 송파구 강동구 등을 중심으로 전세 신규계약이 증가하면서 전체 전세 거래건수도 4567건에서 4752건으로 늘었다. 이들 지역은 최근 전셋값이 크게 내리자 ‘전세 갈아타기’ 수요가 늘면서 전세거래 증가를 이끈 것으로 평가됐다. 여 연구원은 “전셋값 약세가 지속되는 만큼 수도권 아파트 시장 위주로 갱신권을 사용하지 않고 낮은 가격에 신축이나 학군, 직주(직장·주거) 근접 등 입지가 더 나은 단지로 갈아타려는 수요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224&prsco_id=005&arti_id=0001589161

2023년 2월 22일 수요일

서울 아파트 '5%' 이상 하락거래, 1년 만에 2.44배 늘었다

 

서울 아파트 '5%' 이상 하락거래, 1년 만에 2.44배 늘었다








부동산 시장이 침체기에 빠지며 1년 전보다 아파트 매매가격이 5% 이상 상승한 거래가 전국적으로 줄어들었다. 고금리 여파의 영향권에서 벗어나고 신규 입주 물량이 감소하는 시점이 도래해야 집값이 안정기에 진입할 전망이다.

23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의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 분석 결과 올해 1~2월 전국에서 거래된 아파트 가운데 가격이 5% 이상 오른 매물 거래량은 전년 동기(1만2046건)에 비해 2분의 1가량 줄어든 5616건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아파트는 대체적으로 가격이 떨어졌다. 지난 1월 서울 아파트 중 가격이 5% 이상 대폭 감소한 매물 거래량은 405건으로, 전년 동월(166건)에 비해 약 2.44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경기·인천에서의 아파트 거래 1629건과 439건의 매매가격이 직전 거래보다 5% 이상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월(887건, 190건)과 비교하면 약 1.84배(경기), 약 2.31배(인천)만큼 늘었다.

아파트 가격 오름세는 전국적으로 주춤했다. 지난달 서울에서 아파트 가격이 5% 넘게 오른 매물 거래비율은 16.04%였다. 지난해 1월(25.03%)보다 8.99%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특히 인천과 제주에서의 하락세가 가팔랐다. 두 지역에서 거래가격이 5% 넘게 오른 매물 비중은 지난해 1월(30.73%, 34.34%)보다 10%포인트 이상 떨어져 각각 18.57%와 22.50%에 머물렀다.

박윤태 직방 매니저는 "3~4년 전 부동산 호황기 당시 짓기 시작했던 다수의 아파트들이 올해와 내년 입주를 앞두고 있어 이 또한 집값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전했다.

이번 분석은 동일 아파트 단지의 같은 면적 주택이 반복 거래됐을 때 직전 거래와 가격 차이를 비교한 것이다. 취소된 거래나 주택형별 최초 거래, 직전 거래 후 1년 이상 지난 거래는 집계하지 않았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223&prsco_id=417&arti_id=0000898043

금리 인상에 빌딩 매매시장도 ‘직격탄’

 

금리 인상에 빌딩 매매시장도 ‘직격탄’





서울 빌딩 매매거래량 40% 이상 뚝
오피스 매매지수도 3년만에 떨어져
“금리 인상으로 자금 조달·투자 수익률 부담 커져”





서울 빌딩 매매시장이 지난 1년 간 극심한 거래 절벽에 빠지며 사상 최대 하락폭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2022년 서울시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거래량은 2205건으로, 2021년 3925건 대비 43.8% 감소했다. 이는 국토교통부가 실거래가를 공개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사상 가장 큰 하락률이다.

가장 많은 거래가 이뤄졌던 2016년(4327건) 이후 2017년(3312건)에도 매매거래량이 23.5%로 떨어진 기록은 있으나, 지난해처럼 40% 넘게 하락한 모습은 처음이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시 주요 권역의 거래가 모두 큰 폭으로 하락했다. 1년새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거래량이 가장 크게 감소한 권역은 YBD(영등포구, 마포구)로 거래량이 반토막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YBD는 지난해 총 246건의 거래가 이뤄지며 2021년(507건) 대비 51.5% 감소했다. 이어 GBD(강남구, 서초구)와 CBD(중구, 종로구)가 각각 43.0%, 39.9% 떨어졌다.

또 지난해 서울시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거래금액도 전년 대비 32% 하락한 23조9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4분기 서울 오피스 매매지수 역시 3년 만에 처음으로 하락했다. 상업용 부동산 기업 알스퀘어의 조사 결과, 2022년 4분기 서울 오피스 매매 지수는 520.19로 전 분기보다 5.6% 하락했다.

전 분기 대비 등락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건 2019년 4분기 이후 처음이다. 이 지수는 2019년 4분기 372.51을 기록한 이후 지난해 3분기까지 550.96으로 47.9% 급등했다.

전문가들은 지난해 유례없던 기준금리 일곱 차례 인상으로 서울시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거래 시장도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분석했다.

정수민 부동산플래닛 대표는 “지난해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 불어 닥친 최악의 거래 한파를 실감케 했다”며 “금리 상승은 부동산 개발이나 투자를 위해 필요한 자금 조달 비용 증대와 수익률 하락으로 인한 부동산 가치 하락을 초래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류강민 알스퀘어 센터장은 “금리 인상으로 자금 조달과 투자 수익률에 대한 부담이 커진 영향”이라며 “올해도 서울 오피스 가격은 고점 대비 10%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투자 대비 수익률과 국고채 금리와의 차이인 스프레드가 사상 최저 수준”이라며 “높은 임대료 상승이 기대되지만, 투자 대비 수익률이 대출금리에 비해 여전히 낮다”고 덧붙였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223&prsco_id=119&arti_id=0002686315

"설마 보증금 1000만 원 떼이겠어?"…비싸도 월세 찾는 세입자들

 

"설마 보증금 1000만 원 떼이겠어?"…비싸도 월세 찾는 세입자들





전세시장 불안에 월세 선호현상 지속




# 사회초년생 A 씨(28)는 최근 보증금 1000만 원, 월세 65만 원에 자취방을 계약했다. 보증금이 적어 전세사기 위험이 비교적 낮다고 판단해 일종의 '안전비용'으로서 높은 월세 가격을 받아들이기로 했다. 전세 매물도 고려했지만 1억 원이 넘는 대출이 필요한데다 이자부담도 만만치 않고, 앞으로 빌라 전세가격이 더 떨어질 수 있다는 걱정에 당분간 월세 생활을 하기로 했다.

전세시장 불안으로 임차인들이 가급적 보증금을 줄이려는 모습이다. 월세가격 급등으로 부담이 크지만 보증금을 낮춰 전세사고 위험과 이자부담을 덜기 위해서다.

2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최근 월세 보증금은 떨어졌지만 다달이 내는 월세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2021년 12월 2900만 원대를 돌파한 뒤 꾸준히 유지되던 전국 연립·다세대주택의 평균 월세계약 보증금은 지난달 2894만 원으로 떨어졌다. 약 13개월 만에 다시 2800만 원대로 내린 것이다.

서울 연립·다세대주택의 평균 월세 보증금도 5734만 원을 기록하며 전월(5749만 원) 대비 내렸다. 반면 같은 기간 평균 월세가격은 약 62만9000원으로 전월(62만6000원)보다 올랐다.

월세 가격이 오르는데도 수요가 이어지는 것은 보증금을 가급적 낮추려는 현상의 영향이다. A 씨는 "첫 부동산 임대차 계약인데다 최근 전세사기로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청년들이 많다는 소식에 불안해 보증금이 낮은 집을 선택했다"면서도 "월세가 월급의 4분의 1을 차지하지만 설마 1000만 원을 떼이겠나 싶어 안심이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당장 출근을 위해 급하게 계약을 했지만 오랜 기간 이정도의 월세를 감당할 수는 없을 것 같다"고 토로했다.

구로구의 오피스텔에 거주하는 B 씨(35)는 "매달 월세 65만 원에 관리비와 주차비로 5만 원을 내고 있다"며 "결혼이나 신혼집 마련에 쓰일 적금을 덜어 월세를 내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래도 최소한 3000만 원밖에 안되는 보증금을 떼이지는 않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에 따르면 지난해 월세 100만 원이 넘는 서울의 소형빌라(전용면적 60㎡ 이하) 계약은 3018건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비중도 전체 서울 소형빌라의 거래량의 6.9%를 차지하며 전년(4.7%)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반면 지난해 서울 소형빌라 전세 거래는 6만7541건으로, 전년보다 7.2% 줄었다.

아파트 임대차 시장의 분위기도 비슷하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아파트 임대차계약 가운데 월세 비중은 43.5%로 전년(38%) 대비 급증했다. 서울 역시 월세가 44.5%를 차지하며 전년(40.4%)보다 월세 비중이 크게 늘었다.

월세 계약 자체도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달 확정일자를 받은 전국 주택 임대계약 가운데 월세 비중은 57%로, 지난해 5월 이후 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울의 월세 비중도 54.6%로 전월(52.4%) 대비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매매가격이 전세가격보다 떨어지는 '깡통전세'와 전세사기의 위험이 높아지자 임차인들이 가급적 보증금이 낮은 월세계약을 선호하는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전세시장 불안으로 목돈이 있어도 월세로 거주하는 편이 안전하다는 인식이 확산했다"며 "또 전세자금대출 이자가 올라 전세보다는 고액 월세 계약을 체결하는 소형빌라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223&prsco_id=629&arti_id=0000202355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 💰 매매가 : 7억 4,000만원 📅 입주 : 협의 가능 (원하시는 일정 조율 가능!) 🌄 💎 전망 최고! 탁 트인 시야로 막힘 없는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