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떨어졌는데 아파트 지을 땅이 안 팔린다니`…전전긍긍하는 국토부·건설사

최근 금리 인상과 집값 하락으로 미분양이 늘고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통한 자금 조달까지 어려워지자 수도권 유망 공공택지도 안 팔리고 있다. 수도권 공공택지와 3기 신도시 조성을 통해 주택 공급을 확대하고 집값 안정을 꾀하겠다던 청사진이 흔들리자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는 적잖이 당황한 모양새다. 건설사들도 전전긍하고 있다.
20일 LH에 따르면 작년 12월 입찰 공고를 내고 분양에 들어간 공동주택용지 8개 필지 가운데 매각이 완료된 필지는 인천 검단과 경북 칠곡 북삼지구 아파트 용지 2개뿐이며, 전체의 75%인 6개 필지는 신청기업이 없어 유찰됐다. 남양주 진접2 주상복합용지 2개 필지를 비롯해 군포 대야미 주상복합용지, 구리 갈매역세권 및 김포 한강신도시 아파트 용지 등 수도권 유망 택지들이 줄줄이 미분양됐다.
작년까지 미매각 공동주택용지는 32개 필지, 1조7000억원 규모로 최근 5년 내 최저수준이다. 그러나 작년 11월 이후 미매각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다. 집값 하락이 본격화면서 분양성이 크게 악화된 데다 미분양까지 늘고 있어 건설사들이 택지 매입을 꺼려서다.
작년 11월 매각 공고된 17개 공동주택용지의 경우 후반부에 공급된 화성 동탄신도시와 부천 원종·평택 소사벌 등 6개 필지는 아직 주인을 찾지 못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미분양 물량은 6만8000호로, 정부가 위험 수준이라고 보는 20년 장기 평균(6만2000호)을 넘어섰다.
건설업계는 올해 2월까지 발생한 미계약분을 고려하면 전체 미분양이 현재 7만∼8만호에 달하며 올해 안에 10만호를 넘어설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작년 10월 터진 레고랜드 사태가 이런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었다. 한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택지 매입과 관련한 의사결정은 자금 조달 가능성과 미래의 분양성까지 모두 고려해야 하는데 당장 PF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이자가 급등하는 등 사업 전반에 걸쳐 자금조달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민간 택지는 물론, 공공택지 택지 매입도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집값은 떨어졌는데 LH 땅값이 높은 점도 미계약 증가의 원인으로 꼽힌다. 인천 검단 공동주택용지의 경우 2020년 3.3㎡당 427만원에 공급됐는데 작년 12월 분양된 공동주택용지는 분양가가 3.3㎡당 654만원으로 53%나 상승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30220&prsco_id=029&arti_id=0002785042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