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9월 30일 금요일

34평 새 아파트 전세가 1억원대까지…입주 폭탄이 낳은 역전세난

 34평 새 아파트 전세가 1억원대까지…입주 폭탄이 낳은 역전세난 


금리인상 등에 신규 전세수요 급감하자
전세물건 적체에 가격 하락세도 뚜렷
입주 몰린 지역 등 ‘역전세난’ 우려 확산




 “하반기 입주 예정 물량이 많아 전세물건이 쏟아지면서 30평형대 전세가 1억원대 후반에도 나오고 있어요. 신축 아파트 전세가가 내려가면서 선호도가 낮은 구축의 가격은 더욱 하락하고 있습니다.” (경기 양주시 A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

부동산 시장의 침체 분위기 속에서 전세도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신규 전세수요가 쪼그라들면서 전세 물량은 1년새 두 배 이상 늘었고 전셋값은 매주 최대 낙폭 기록을 갈아치우며 하락하고 있다. 이에 전세가격을 낮추고도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는 집주인이 속출하고 있다. 특히 입주 물량이 몰리는 지역을 중심으로는 ‘역전세난’ 우려가 확산되는 분위기다.

1일 부동산빅데이터업체 아실이 집계한 수도권의 아파트 전세 물건은 지난달 30일 기준 108042건으로 한 달 전(9만2479건)보다 16.8% 늘었다. 1년 전(5만1877건)과 비교하면 무려 108.3% 늘어난 수치로 정부가 허위 매물 과태료 부과를 시행한 2020년 8월 이후 가장 많다. 특히 서울의 아파트 전세 물건 수는 지난달 말 처음으로 4만건을 돌파했다. 서울 아파트 전체 170만채 가운데 약 2.4%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전세 물건이 적체되다 보니 가격 하락세도 뚜렷하다. 한국부동산원 집계 기준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은 올해 1월 말 하락 전환한 뒤 36주 연속 내림세다. 지난달 26일에는 전주 대비 0.28% 하락하며 해당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2년 5월 이후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최근 전세시장 침체는 신규 임차 수요가 줄어든 영향이 크다고 업계는 분석한다. 금리인상 여파로 전세대출 이자 부담이 늘면서 갱신·월세 계약을 선호하는 분위기가 굳어졌고 신규 수요가 없다 보니 급매물 위주의 하락 거래만 간헐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신축 아파트 입주 물량이 몰리는 지역에선 집주인이 경쟁적으로 임대보증금을 낮추며 세입자 모시기에 나서고 있어 전세 시세가 곤두박질치는 모양새다.

실제 양주시의 경우 국민평형인 전용면적 84㎡ 신축 아파트 전세 물건이 1억7000만원대부터 나와 있다. 양주시에선 이달 1859가구 규모의 옥정신도시2차 노블랜드 프레스티지가, 다음달 804가구 규모의 옥정신도시 대성베르힐이 입주하는 등 올해 4분기에만 5817가구가 집들이를 한다. 새 아파트 전세 물건이 쌓이자 인근 구축의 경우 전용 84㎡를 1억3000만원 선에서도 구할 수 있게 됐다.

인천 서구 검단신도시 인근에도 8000여가구가 입주를 대기하고 있어 서구 일대 전세 시세가 고꾸라지는 분위기다. 신안인스빌 어반퍼스트의 경우 입주 4개월차에 접어들지만 전체 1073가구 가운데 4분의 1인 279가구가 여전히 전세 물건으로 나와 있다. 전용 84㎡의 전세 실거래가는 최저 2억원부터 형성돼 있다.

현지 중개업계 관계자는 “출회된 전세 물건이 쉽게 소진되지 않고 있다”면서 “내년에도 대단지 입주물량이 쏟아질 예정이라 세입자 구하기는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했다.

서울도 상황이 다르진 않다. 구로구의 경우 이달 2205가구 규모의 고척아이파크 입주를 앞두고 그 여파가 확산되며 매매와 임대차 모두 거래절벽 상태다. 지난달 입주를 시작한 동대문구 용두동 래미안 엘리니티는 전용 84㎡ 기준 전세 시세가 7억원까지 떨어졌다. 입주 초 실거래가는 9억원이었다.

서대문구에서는 10월 서대문 푸르지오 센트럴파크(832가구), 11월 힐스테이트 홍은 포레스트(623가구), 12월 e편한세상 홍제 가든플라츠(481가구) 등이 입주할 예정이다. 이들 단지의 전용 84㎡ 전세 호가는 6억5000만원부터 시작한다. 인근 준공 5년 이내 대단지인 북한산더샵이 올해 1월 8억원, 홍제센트럴아이파크가 7월 9억원에 각각 세입자를 구했던 것과 비교하면 낮은 가격이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계약 갱신과 월세 선호로 전세 거래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매물이 쌓이는 수도권 외곽을 중심으로 가격 조정이 이뤄지는 분위기”라며 “신규 아파트 입주가 집중되는 곳은 기존 주택 매도 지연에 따른 미입주나 역전세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047659?sid=101

서울 아파트 거래 역대 최저…집값 더 떨어진다

 서울 아파트 거래 역대 최저…집값 더 떨어진다



8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 907
2006년 통계 집계 이후 역대 처음
매매수급지수도 최근 3년 중 최저
급매 위주 거래로 아파트값 하락세
'재초환' 완화에도 집값 자극 제한적


8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역대 처음으로 1000건을 밑돌았다. 기준금리 인상과 집값 고점 인식 확산으로 매수 심리가 얼어붙으며 거래 절벽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는 분위기다. 가격을 내린 급매물 위주로만 거래가 이뤄지다 보니 집값 하락세도 가팔라지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30일 발표한 8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907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7월 대비 10.6%, 전년 동월 대비 68.1% 감소한 수치다. 월별 기준으로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1000건 아래를 기록한 것은 2006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처음이다.

8월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1만 9516건으로 전월 대비 10.6%, 전년 동월 대비 68.1% 급감했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서는 5465건의 아파트 매매 거래가 성사되면서 전월보다 17.6%, 전년 동월보다 78% 크게 줄었다.

아파트를 포함한 주택 매매 거래량은 8월 기준 전국 3만 5531건을 나타냈다. 전월(3만 9600건) 대비 10.3%, 전년 동월(8만 9057건) 대비 60.1%씩 감소한 것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1월(3만 4149건) 이후 13년 7개월 만에 가장 적었다.

이는 최근 금리 인상으로 이자 부담이 커지고 부동산 경기 침체 우려가 겹치면서 매수심리가 크게 위축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주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4.8로 지난주(85.9)보다 1.1포인트 하락해 2019년 10월 이후 최저치를 보였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도 78.5로 지난주(79.5) 대비 하락하며 2019년 6월 이후 가장 낮았다.




거래 절벽 속에서 가격을 크게 낮춘 급매물이 드물게 거래되면서 아파트값 하락폭도 커지고 있다. 부동산원 통계를 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 대비 0.19% 떨어졌다. 해당 수치는 2012년 9월 마지막주(-0.21%) 조사 이후 10년 만에 최대 하락폭이다. 서울 아파트값은 최근 18주 연속으로 하락 중이다.

구별로 보면 ‘노도강’ 지역인 노원(-0.33%)·도봉(-0.32%)·강북구(-0.19%)가 상대적으로 하락률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서대문(-0.28%)·은평(-0.25%)·성북구(-0.25%) 등 강북지역도 집값 하락세가 뚜렷했다. 강남권에선 송파(-0.23%)·강동구(-0.17%)가 많이 떨어졌고 강남(-0.10%)·서초구(-0.05%)는 상대적으로 하락폭이 작았다.

재건축 추진 단지가 몰린 이들 지역은 정부가 최근 발표한 ‘재건축부담금 완화 방안’의 대표적인 수혜지로 꼽힌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최근 시장 상황을 고려할 때 이번 제도 개선에 따른 집값 자극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임병철 부동산R114 리서치팀장은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개선안은 법률 개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여야 합의가 이뤄지지 못한다면 세제 개편과 마찬가지로 장기간 계류될 가능성이 높다”며 “한미 간 금리 역전으로 급격한 금리 인상 기조가 유지되고, 경기 침체 우려가 깊어지고 있어 이번 방안이 주택시장 전반의 가격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월세 거래량은 가을 이사철을 맞으며 증가했다. 8월 전월세 거래량은 총 22만 7590건으로 전월보다 7.9%, 전년 동월보다 7.6% 각각 늘었다. 임차 유형별로 보면 전세 거래량(10만 7796건)은 전월보다 2.9% 증가했지만 전년 동월보다는 7.8% 감소했다. 월세 거래량(11만 9794건)은 전월 대비 12.9%, 전년 동월 대비 26.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누계 기준으로 월세 거래량 비중은 51.6%로 전년 동월(42.6%)보다 9%포인트 높았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105372?sid=101

국세보다 전세보증금 우선 변제… 집주인 동의없이 체납세금 열람

 

국세보다 전세보증금 우선 변제… 집주인 동의없이 체납세금 열람




기재부, 전세사기 피해 방지 방안





정부가 전세사기 피해 방지를 위해 집주인이 미납한 종합부동산세보다 임차보증금을 먼저 변제하도록 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지난 1일 발표한 전세사기 피해 방지 방안의 후속 조치로, 관련 법이 통과되면 이르면 내년 1월 시행될 전망이다.

기획재정부는 세입자가 집을 구하는 단계, 집주인이 변경된 경우, 전셋집이 경매나 공매에 들어갔을 때 각각 적용할 수 있는 세입자 보호 대책을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우선 임차인이 임대인 동의 없이도 미납 조세를 열람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키로 했다. 현재는 임대인이 동의하지 않으면 미납 조세를 열람할 수 없고, 국세는 부동산 소재지 세무서에서만 열람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다. 임차인의 미납 조세 열람은 연간 100여건에 그치고 있다.

정부는 임차인이 주택임대차 계약을 한 날부터 임차가 시작되는 날까지 임대인 동의 없이 미납 조세를 열람할 수 있도록 했다. 국세의 경우 소재지 관할 세무서뿐 아니라 전국 세무서에서 미납 조세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이 제도가 자리 잡으면 임대인이 내지 않은 세금이 지나치게 많으면 계약을 무효로 하는 특약을 임대차 계약에 명시하는 방법으로 피해를 막을 수 있다.

임차인이 사는 집이 경매나 공매에 넘어갔을 때 보증금을 우선 갚아야 한다는 내용도 개정안에 담긴다. 현재는 집주인이 종합부동산세 등 당해세를 체납하면 세금이 보증금보다 우선하는데, 이 때문에 세입자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임차 기간 중 임대인이 바뀌면 국세와 보증금 간 변제 순서를 명확하게 하는 내용도 국세기본법에 반영키로 했다. 현재 사는 전셋집이 새로운 집주인에게 매각될 때 집주인에게 미납 국세가 있다면 이전 집주인의 국세체납액 한도에서만 국세 우선 원칙을 적용키로 했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이날 서울 강서구에 ‘전세피해지원센터’를 열고 전세 피해자에 대한 법률 상담 등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경찰청과는 업무협약을 맺고 전세사기 의심 사례를 공유하는 방법으로 상시 협력하기로 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929&prsco_id=005&arti_id=0001556009

2022년 9월 29일 목요일

“집 사겠다” 매수심리 더 얼어붙었다···인천도 ‘아파트 매매수급지수’ 80선 무너져

 

“집 사겠다” 매수심리 더 얼어붙었다···인천도 ‘아파트 매매수급지수’ 80선 무너져







잇따른 금리인상과 함께 집값 하락 인식이 강해지면서 지난주 80이하로 떨어진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80선을 회복하지 못하고 더 하락했다. 수치만으로 보면 집을 사려는 사람은 없고, 팔려는 사람만 많은 상황이 심화된 것이다.

30일 한국부동산원의 9월4주(26일 기준) 자료를 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주(79.5)보다 낮은 78.5를 기록했다. 수도권 매매수급지수는 지난주(82.3)보다 낮은 80.8을 기록했다.

매매수급지수는 기준선인 100보다 낮을수록 시장에서 집을 팔려는 사람이 사려는 사람보다 많은 상황을 의미한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 5월1주(91.1)이후 21주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11월 15일 99.6을 기록하며 기준선(100) 아래로 떨어진 이후 46주 연속 ‘매도우위’가 이어지고 있는 것다.

부동산 매매심리가 얼어붙은 것은 가파른 금리인상이 지속되고 집값 고점 인식이 무너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부동산 시장을 하락장으로 인식하면서 ‘오늘보다 내일이 더 쌀 것’이라는 전망에 매매거래를 미루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거주 목적이거나 ‘초초 급매’ 매물만 간간이 거래될 뿐 투자목적의 부동산 거래가 실종된 것 역시 매매수급지수 하락의 원인이 되고 있다.

권역별로는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이 있는 동북권의 매매수급지수가 지난주 73.2에서 72.0으로 떨어져 5대 권역중 가장 낮았다. 마포·은평·서대문구 등 서북권 역시 마포 쓰레기 소각장 설치 등 이슈가 잇따르면서 74.1에서 72.2로 크게 떨어졌다.

용산·중·종로구 등이 있는 도심권은 지난주 74.7에서 이번주 72.5로, 양천·영등포·강서구 등이 있는 서남권은 85.5에서 85.1로 하락했다. 강남·서초·송파·강동구가 있는 동남권은 84.9에서 83.9로 낮아졌다. 강남·여의도 등 기존 아파트값 강세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매수심리가 급감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경기도(83.9→82.3)도 하락을 이어가는 가운데 인천이 지난주(82.2)에서 이번주 79.9로 매매수급지수가 80선 아래로 떨어졌다.

전국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도 지난주 89.1에서 이번주 88.0으로 하락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는 지난주 84.5에서 이번주 83.4로 하락했다.

금리인상 여파로 추가대출을 받아 보증금 인상분을 올려주기 어려워진 세입자들이 기존 집에서 반전세·준전세 등 상승분을 일부 월세로 돌리는 등 재계약이 늘어나면서 신규 전세물건이 쌓이고 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930&prsco_id=032&arti_id=0003176453

1~8월 주택매매거래, 작년 절반 가까이 줄어…수도권 미분양 10%↑

 

1~8월 주택매매거래, 작년 절반 가까이 줄어…수도권 미분양 10%↑




국토부 8월 주택 통계…'전년比 27%↑' 전월세거래, 월세가 51% 차지



(국토교통부 제공)


올해 1~8월 주택 매매거래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30일 발표한 8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올해 1~8월 누적 주택 매매거래량은 총 38만5391건으로 전년 동기(73만7317건) 대비 47.7% 감소했다.

지역에 따라 수도권에서는 전년 동기 대비 57.3% 감소한 15만4448건, 지방에서는 38.5% 감소한 23만943건이 거래됐다.

아파트 거래량은 38만5391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7% 줄었다. 아파트 외 주택 거래량은 15만9905건으로 34.4% 감소했다.

8월 한 달간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총 3만5531건으로 전월(3만9600건) 대비 10.3% 줄었다. 전년 동월(8만9057건)과 비교하면 60.1% 감소한 수치다.

수도권에서는 전월 대비 17% 감소한 1만3883건이, 지방에서는 같은 기간 5.3% 감소한 2만1648건이 거래됐다. 작년 동월과 비교하면 수도권은 66.7%, 지방은 54.3% 감소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전월 대비 10. 6%, 전년 동월 대비 68.1% 감소한 1만9516건 거래됐다. 아파트 외 주택은 전월 대비 9.8%, 전년 동월 대비 42.6% 감소한 1만6015건 거래됐다.


(국토교통부 제공)


거래절벽과 함께 미분양 물량도 늘어나고 있다. 8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전월 대비 4.6% 증가한 총 3만2722호다.

수도권은 5012호로 전월 대비 10.7% 늘었고, 지방은 2만7710호로 같은 기간 3.6% 늘었다.

규모별로는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이 전월 대비 11.9% 증가한 3065호, 85㎡ 이하가 같은 기간 3.9% 증가한 2만9657호로 집계됐다.

준공 후 미분양은 7330호로 전월 대비 0.8% 감소했다.

(국토교통부 제공)


1~8월 누계 전월세 거래량은 200만8960건으로 전년 동기(157만3602건) 대비 27.7% 증가했다. 누계 기준 월세 거래량 비중은 51.6%로 전년 동월 대비 9.0%포인트(P) 증가했다.

임대차 신고제 자료와 확정일자 신고 자료를 합산한 8월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22만7590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21만903건) 대비 7.9%, 전년 동월(21만1462건) 대비 7.6% 증가한 수치다.

지역에 따라 수도권에서는 전월 대비 7.3%, 전년 동월 대비 5.2% 증가한 15만4184건이 거래됐다. 지방에서는 전월 대비 9.1%, 전년 동월 대비 13.2% 늘어난 7만3406건이 거래됐다.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전월 대비 8.5%, 전년 동월 대비 6.1% 증가한 10만6958건 거래됐다. 아파트 외는 전월 대비 7.4%, 전년 동월 대비 9% 늘어난 12만632건 거래됐다.

전세 거래량은 전월 대비 12.9% 증가한 11만9794건이다. 전년 동월에 비해서는 7.5% 감소했다.

반면 월세 거래량(보증부월세·반전세 등 포함)은 전월 대비 12.9%, 전년 동월 대비 26.3% 증가한 11만9794건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제공)


8월 누계 전국 주택 인허가실적은 34만7458호로 전년 동기(31만2860호) 대비 11.1% 늘었다.

수도권은 12만9296호로 전년 동기 대비 20.7% 감소했고, 지방은 21만8162호로 전년 동기 대비 45.6% 증가했다.

전국 아파트는 28만2810호로 전년 동기 대비 21.4% 증가했다. 아파트 외 주택은 6만4648호로 19.2% 감소했다.

8월 누계 전국 주택 착공실적은 26만1193호로 전년 동기(34만7812호) 대비 24.9% 감소했다.

수도권은 13만1123호로 전년 동기 대비 23.8% 감소했고, 지방은 13만70호로 26% 감소했다.

전국 아파트는 19만9279호로 전년 동기 대비 23% 줄었다. 아파트 외 주택은 6만1914호로 전년 동기 대비 30.5% 감소했다.

8월 누계 전국 공동주택 분양실적은 16만3714호로 전년 동기(20만1268호) 대비 18.7% 감소했다.

수도권은 7만3072호로 전년 동기 대비 21.1% 감소했고, 지방은 9만642호로 전년 동기 대비 16.5% 감소했다.

일반분양은 13만1550호로 전년 동기 대비 12.3% 줄었다. 임대주택은 1만2135호로 56.1% 감소했다. 조합원분은 2만29호로 15.6% 줄었다.

8월 누계 전국 주택 준공실적은 15만8669호로 전년 동기(24만3545호) 대비 6.2% 늘었다.

수도권은 14만4530호로 전년 동기 대비 3.1% 감소했고, 지방은 11만4139호로 전년 동기 대비 20.8% 증가했다.

아파트는 19만7919호로 전년 동기 대비 9.5% 증가한 반면, 아파트 외 주택은 6만750호로 3.3% 감소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930&prsco_id=421&arti_id=0006365678

아파트값 1주새 -0.2%… 10년만에 최대폭 하락

 

아파트값 1주새 -0.2%… 10년만에 최대폭 하락



재건축 대상 많은 노원구 급락

“규제완화로 하락세 진정 기대”

정부가 29일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개편안을 발표하면서 최근 가파른 내림세를 보이는 아파트 값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린다.

시장에선 재건축 사업의 가장 큰 걸림돌이던 부담금 규모가 줄어드는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사업 초기 단계인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회복되기를 기대하는 분위기다. 정부가 재건축 사업의 ‘첫 단추’인 안전진단 관련 규제 개선안을 연말쯤 발표할 예정인 것도 재건축 아파트 값에 호재가 될 수 있다. 임병철 부동산R114 리서치팀장은 “수도권 일부 재건축 추진 단지에서 매물이 회수되고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있고, 지방에선 최근 규제 지역 해제와 맞물려 조합원 지위 양도 같은 거래가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재건축 규제 완화에도 집값 하락세가 반등하긴 어렵다는 전망도 많다. 익명을 요구한 한 시중은행 부동산 전문가는 “재건축 부담금 감면안이 국회를 통과한다는 보장이 없고, 현재의 고금리 추세가 지속된다면 아파트 매수 수요가 살아나 집값 상승으로까지 이어지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 아파트 값은 일주일 사이 하락 폭이 더 커졌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0.19% 내렸다. 2012년 9월 말(-0.21%) 조사 이후 10년 만에 최대 하락이다. 재건축 추진 아파트가 많은 상계동이 있는 노원구(-0.33%)가 제일 많이 내렸다. 도봉(-0.32%)·서대문(-0.28%)·은평(-0.25%)·성북구(-0.25%) 등 강북 지역의 내림세가 두드러졌다. 강남 3구에선 송파구(-0.23%) 아파트 값 약세가 이어지고 있다.

서울뿐 아니라 경기도(-0.27%)와 인천(-0.31%) 아파트 값도 지난주보다 더 많이 내렸다. 수도권(-0.23%) 전체로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2년 5월 이후 가장 많이 떨어졌다. 전국 아파트 값은 0.2% 떨어져 2주 연속 역대 최대 하락 기록을 갈아치웠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930&prsco_id=023&arti_id=0003719154

2022년 9월 28일 수요일

거래절벽 속 '6억 이하' 아파트만 인기

 

거래절벽 속 '6억 이하' 아파트만 인기





수도권 매매 10건 중 8건 '6억원 이하
6억이하 아파트 중 입주 5년 이하 비중 9%


수도권 아파트 시장의 거래절벽 속에서도 6억원 이하 저렴한 아파트만 거래되는 분위기다.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달 27일까지 수도권에서 체결된 아파트 매매계약 총 5만 4146건 가운데 6억원 이하는 3만 9457건(72.9%)으로 집계됐다. 금리가 오르는 상황에서 저리의 정책대출 대상이 되고 대출규제가 완화 적용돼 자금 부담을 덜 수 있는 6억원 이하 아파트로 수요층이 쏠린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그간 아파트값이 급등한 탓에 수도권에서 6억원 이하 아파트를 구하려면 입주한 지 10년을 넘긴 구축이나 주거 전용면적이 작은 경우 등으로 선택지가 좁아졌다. 2022년 현재까지의 수도권 아파트 매매계약 중 6억원 이하 3만 9457건을 연식 구간별로 살펴보면, △21~30년 이하 1만 5411건(39.1%) △11~20년 이하 9067건(23.0%) △30년 초과 6446건(16.3%) △6~10년 이하 4836건(12.3%) △5년 이하 3697건(9.4%) 순으로 많다. 신축 주도로 아파트값이 오르면서 6억원 이하로 거래 가능한 입주 5년 이내 아파트가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또한 올해 9월까지 6억원 이하로 거래된 수도권 아파트 가운데 국민주택규모(전용 85㎡)를 초과한 면적은 4.3%(3만9457건 중 1716건)에 불과했다. 전용 60㎡ 이하의 소형 거래비중이 62.1%(2만 4506건)이고, 이 가운데 전용 40㎡ 이하 초소형은 17.6%(6961건)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6억원 이하 아파트는 보금자리론, 디딤돌 등 저리의 정책대출 대상이 될 뿐만 아니라 서민 실수요자가 매수할 땐 LTV가 완화 적용된다. 또한 전세가율이 높아 매매 갈아타기가 용이해 실수요의 거래가 이어졌다.

하지만 수도권에서 올해 6억원 이하로 거래된 아파트를 살펴보면, 대부분 연식이 오래됐거나 면적이 협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6억원 이하로는 수도권에서 양질의 주택을 매수하기 어려워졌다는 의미다.

부동산R114는 “실수요에게 양질의 주택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넓히기 위해 대출규제나 정책대출의 대상이 되는 주택가격 기준 등을 합리적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929&prsco_id=018&arti_id=0005328733

미분양 급증, 대출금리·자재값 급등… 휘청이는 건설업계

 

미분양 급증, 대출금리·자재값 급등… 휘청이는 건설업계




PF대출 문턱 높아져 사업 난항
철근·시멘트값 30% 이상 뛰어
“금융 위기때처럼 도산할 수도”



금리 인상 직격탄으로 부동산 경기가 꺾이고, 원자재 값까지 급등하면서 건설 업계엔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금융권을 통한 자금 조달이 막혀 토지 대금을 내지 못해 사업이 차질을 빚는가 하면, 단기 자금 확보를 위해 아파트 분양을 포기하고 임대로 전환하는 기업도 나오고 있다. 중소·중견 건설사 사이에선 “글로벌 금융 위기 때처럼 자금 흐름 악화로 도산하는 업체가 쏟아져 나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8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상반기 수도권의 한 대형 마트 매장을 인수하기로 한 A사는 최근 매각사 측에 잔금 3400억원에 대한 납기 연장을 요청했다. A사는 마트 부지에 아파트를 건설해 분양할 계획으로 약 400억원의 계약금도 지급한 상태다. 그러나 금융권에서 추가 자금 조달이 차질을 빚으면서 잔금을 내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부동산 개발 사업은 통상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로 사업비를 조달하는데, 최근 PF 대출이 막히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부동산 경기가 한 풀 꺾이고 PF 대출 연체율이 작년 말 0.18%에서 올해 6월 기준 0.5%까지 오르면서 금융사들이 대출을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은행권 PF 대출은 사실상 중단됐으며, 증권사·보험사도 연 10~20%에 달하는 고금리를 요구하는 상황이다. 한 시행사 대표는 “이자 외 각종 수수료까지 얹어 30%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며 “이런 상황에선 사업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전국 미분양 주택 추이


건설사들은 자재 값 급등에 따른 수익성 악화가 고민이다. 1t당 70만~80만원 수준이던 철근은 올해 6월 117만원으로 뛰었고, 시멘트 가격도 작년 7월 t당 7만5000원에서 지금은 10만원대 중반으로 올랐다. 자재 값이 오르면 공사비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데, 이미 공사 중인 현장에선 분양가를 올릴 수 없어 건설사가 부담을 떠안는 경우가 생긴다.

비용이 늘어도 분양만 잘된다면 어느 정도 수익을 내지만, 주택 수요 감소로 미분양이 급증하는 추세다. 국토교통부가 집계한 7월 전국 미분양 주택은 3만1284가구로 작년 12월(1만7710가구)보다 70% 넘게 늘었다. 대구에서 아파트를 짓는 한 건설사는 입주 시점이 임박한 상황에도 분양률이 20%대에 그치자 당분간 분양을 포기하고 미분양 물량을 임대주택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김승배 한국부동산개발협회장은 “민간 기업의 개발 사업이 지나치게 위축되면 정부의 주택 공급 활성화 정책도 타격을 받게 된다”며 “건설 경기 연착륙을 유도할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929&prsco_id=023&arti_id=0003718877

서울시, 갱신요구권 만료자에 최대 2억 대출이자 지원

 

서울시, 갱신요구권 만료자에 최대 2억 대출이자 지원




올해 8월~내년 7월 만료자 대상…한시적 지원
10월4일부터 국민·신한·하나은행 지점 창구서 신청





서울시가 임대차법 시행 2년이 지나면서 계약갱신요구권이 만료돼 전세금 부담이 커진 가구에 대출이자를 지원한다.

서울시는 올해 8월에서 내년 7월 사이 전세 갱신계약이 만료되는 무주택 임차인에게 최대 2억원, 최장 2년까지 대출이자를 한시적으로 지원한다고 29일 밝혔다. 내년 7월까지 갱신계약이 만료되는 전세 거래량의 30% 정도인 약 2만가구에 대한 이자지원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계약갱신요구권 만료자 한시 특별대출 이자지원'은 연소득 9700만원(부부 합산) 이하 소득자를 대상으로 한다. 최초 신규 임대차 기간(최대 2년)까지만 지원하는 한시적 사업이다. 이자 지원 금리는 최대 연 3%까지 소득구간별로 차등 지원하고, 다자녀 가구에는 우대금리를 최대 연 0.6% 추가 지원한다.

아울러 최근 '깡통전세' 등으로 인한 전세보증금 미반환 피해를 근본적으로 막기 위해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전세지킴 보증' 상품에 가입하는 임차인에 대해서는 이자를 추가 지원(0.05%)할 예정이다.

국민·신한·하나은행과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시민 편의를 고려해 은행창구 신청, 심사, 대출 실행이 한 번에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하기로 했다.

신청은 10월 4일부터 서울 시내 국민·신한·하나은행 지점에서 영업시간 내에 할 수 있다. 대출이자 지원 관련 상담은 각 협약은행 콜센터나 서울시 전월세보증금지원센터에서 받을 수 있다.

신청자는 반드시 갱신임대차계약서, 주택임대차계약 신고필증 등 계약갱신요구권 행사 여부를 증빙할 수 있는 서류를 준비해야 한다. 소득 증빙자료도 지참 후 방문해야 한다.

대출 신청 필요서류와 발급 방법 등은 서울주거포털 홈페이지에 게시되는 공고문이나 각 협약은행 콜센터, 전월세보증금지원센터에서 안내받을 수 있다.

공공임대주택 입주자와 정부 전세자금 대출(버팀목 대출 등) 등을 이용하는 임차인은 신청이 불가하다. 해당 대출은 '생애 최초 1회'만 이용 가능하므로 현재 전세대출이 있다면 신청 전에 확인해야 한다.

다른 전세자금 대출이 있는 경우 대환대출 방식으로 신청이 가능하다. 다만 대환 시 중도상환수수료, 은행별 대출 취급조건 등을 확인해야 하므로 대출을 원하는 은행의 콜센터나 창구에서 상세한 상담을 통해 확인 후 신청해야 한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929&prsco_id=421&arti_id=0006362757

2022년 9월 27일 화요일

지역주택조합 위험 커진다...시장침체에 돈줄도 막혀 줄도산 우려

 

지역주택조합 위험 커진다...시장침체에 돈줄도 막혀 줄도산 우려




[서울 A지주택 청산 수순·B지주택 10월 중 사업 중단여부 결정]





금리인상과 부동산 경기침체에 지역주택조합(이하 지주택)이 휘청이고 있다. 지주택은 조합원을 모집한 후 땅 매입에 나서는데 최근 금융기관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중단하면서 자금난마저 닥쳤다. 도저히 사업진행이 어렵다고 판단한 서울 지주택 중에는 청산 수순을 밟는 곳도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앞으로 무너지는 지주택 사업장이 줄을 이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조합원 모집 중단 사업 청산 수순
27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서울시 관악구 A지역주택조합 추진위원회는 최근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사업중단 여부에 대한 의견을 모으고 있다. 일부 조합원은 파산 신청을 할 예정이며 파산 신청 전에 조합 탈퇴 여부를 묻는 안내문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A지주택 추진위 관계자는 "땅 확보가 쉽지 않고 각종 소송에도 휘말려 있어 현재는 사업 진행을 위한 조합원 모집을 하지 않고 있다"면서 "조합원들의 의견을 들은 후 사업을 접을지 최종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A지주택은 추진위 설립한 지 7년이 넘었지만 땅 확보는 10%도 하지 못했다. 지난해 말 기준 소유권 확보율이 7.67%, 등기는 넘어오지 않았지만 동의를 받은 것까지 포함한 사용권원 확보율도 8.17%에 불과하다.

인근에 있는 관악구 B지주택 추진위원회 역시 오는 10월 22일 전에 총회를 열고 사업 중단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지난 7월 법적으로 정해진 조합설립인가 기한을 넘겼기 때문이다. 조합설립 인가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80% 이상 토지의 사용권원 확보가 필요한데 지난해 말 기준 26.2%에 그쳤다.

고금리·시장침체·자금난 '3중고' 파도
지주택은 조합원을 먼저 모집한 후 그 조합원들이 낸 자금으로 땅을 매입하고 사업을 추진한다. 지금처럼 부동산 경기가 좋지 않으면 조합원 모집이 쉽지 않고 최근에는 금리인상으로 금융부담마저 급증했다. 특히 땅을 매입할 때 대출해주던 금융기관들이 최근 부동산PF를 사실상 중단하면서 자금 조달이 어려워져 사업이 멈춘 곳도 적지 않다.

관악구 지주택 인근의 C공인중개소 대표는 "최소 1억원 이상 돈을 납부한 지주택 조합원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지금이라도 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지 다들 고민이 크다"고 말했다.

부동산 온라인 커뮤니티에도 관련 고민 글이 늘어나고 있다. 파산 신청 예정이라는 안내문을 받았는데 소송을 통해서 환불금을 받을 수 있는지, 조합으로부터 수천만원의 추가 분담금 요청을 받았는데 지금이라도 탈퇴하는 게 나을지 등이다.

김예림 법무법인 심목 변호사는 "사업이 진행이 어렵다는 객관적인 정황이 있거나 조합원 모집시 과장·허위광고를 했다면 조합원 탈퇴와 함께 소송을 통해 환불받을 수 있다"면서도 "조합이 돈이 없거나 파산하면 승소를 하더라도 돈은 돌려받기 어려워진다"고 말했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들은 부동산 경기 침체 속에 자금이 막히면서 앞으로 어려움을 겪는 지주택 조합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금융기관 부동산 PF 담당 임원은 "땅을 90% 이상 확보하고 조합원 모집도 80% 이상 성공한 극히 일부 지주택만 착공까지 성공하는데 10개 사업장 중에 채 한 곳도 되지 않는다"면서 "대출 역시 이들 사업장만 선별해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 4월에 실태조사 착수, 결과는 '아직'
지주택 사업에 빨간불이 켜졌지만, 지자체는 내용 파악도 제대로 돼 있지 않다. 서울시는 지난 4월 조합의 투명한 운영과 일반 조합원의 피해방지를 위해 서울 시내 110개 지주택에 대한 운영실태 전수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후 7월에는 종합정보관리시스템인 정비사업 정보몽땅에 조사 결과를 공개하기로 했다. 위반사례는 시정명령 및 고발 등 행정 조치를 할 예정이었으나 이제 전수조사 결과에 대한 취합을 마쳤다.

서울시는 지주택이 허위·과장광고를 하진 않는지 등도 점검하기로 했지만 허위광고 행태는 이어지고 있다. 오는 10월까지 조합 청산 여부를 결정해야 조합은 최근까지도 곧 착공하는 것처럼 속여 조합원을 모집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주택과 관련해 서울시 내부적으로 아직 파악된 내용은 없다"면서 "실태조사 내용을 취합했고 결과를 분석하면 오는 10월에는 공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928&prsco_id=008&arti_id=0004799663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 💰 매매가 : 7억 4,000만원 📅 입주 : 협의 가능 (원하시는 일정 조율 가능!) 🌄 💎 전망 최고! 탁 트인 시야로 막힘 없는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