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9월 6일 화요일

"급급매에도 시큰둥"…역대급 거래절벽에 '빙하기' 진입

 

"급급매에도 시큰둥"…역대급 거래절벽에 '빙하기' 진입




기사내용 요약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17주째 하락…3년 2개월 만에 최저
추가 금리 인상·대출 규제 강화…주택 매수심리 위축 계속



서울 노원·도봉·강북 지역의 집값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16일 발표한 '7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값 변동률은 -0.20%로 집계됐다. 그 중 가장 하락폭이 큰 곳은 강북구(-0.51%), 도봉구(-0.55%), 노원구(-0.54%) 등 '노도강'이었다. 사진은 21일 오후 서울 강북구 북서울꿈의숲 전망대에서 바라본 강북지역 아파트단지 모습




부동산 시장이 갈수록 꽁꽁 얼어붙고 있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3년 2개월 만에 최소치를 기록했고, 지난달 서울과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은 눈에 띄게 줄었다.

금리 인상과 대출 규제 강화로 아파트를 사겠다는 심리도 급격히 위축됐고, 집값이 더 떨어질 거라는 전망이 우세해지면서 거래절벽을 넘어 사실상 ‘빙하기’에 진입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잇단 금리 인상과 대출 규제 등으로 매물이 늘었으나, 매수 대기자들이 집값이 더 떨어질 것으로 기대하면서 관망세가 짙어지는 양상이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3년 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다섯 번째 주(29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1.8로 지난주(82.9)보다 1.1p떨어졌다. 이는 지난 2019년 7월1일 조사(80.3) 이후 약 3년 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로,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 5월 이후 17주 연속 내림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 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집을 팔려는 사람이, 200에 가까울수록 사려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에서 매수심리가 가장 낮은 곳은 노원구와 도봉구, 강북구 등 이른바 '노도강‘ 지역이 포함된 동북권으로 나타났다. 동북권의 매매수급지수는 74.9를 기록했다. 이어 마포·은평·서대문구 등의 서북권(75.7), 용산·종로구 등이 있는 도심권(77.2) 강남4구가 포함된 동남권(88.7) 순으로 조사됐다.

'눈치보기 장세'가 이어지면서 거래가 사실상 끊겼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 건수는 395건(6일 기준)으로 집계됐다. 아직 등록 신고 기한(30일)이 남아 매매 건수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이나, 지난 2월 세웠던 역대 최저 기록을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서울 아파트 매매 건수는 ▲1월 1092건 ▲2월 820건 ▲3월 1430건 ▲4월 1752건 ▲5월 1746건 ▲6월 1079건 ▲7월 639건이다.

집값 하락세는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다. 서울 아파트값은 3년 6개월 만에 가장 큰 하락 폭을 기록했다. 또 지난 5월 다섯째주(-0.01%)부터 14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다섯 번째주(29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0.13% 하락하며 전주(-0.11%)에 비해 낙폭이 확대됐다. 도봉(-0.27%)·노원(-0.25%)·은평(-0.23%) 등 서울 외곽지역의 집값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추가 금리 인상과 집값 하락 우려로 매매 심리가 위축되면서 급매물 위주로만 거래가 이뤄지는 바람에 전반적으로 가격 하락 폭이 커지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 중 '하락 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겼다. 올해 3분기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 가운데 직전 거래 대비 가격이 하락한 하락 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하락 거래 비중이 1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부동산 플랫폼 업체 직방이 2013년 1분기부터 올해 3분기까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자료를 통해 아파트 매매 거래 자료를 전수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 하락 거래 비중은 54.7%로 나타났다. 올해 2분기(41.5%) 대비 13.2%p 상승한 수치다.

집값이 급등했던 2020~2021년만 해도 하락 거래 비중은 20~30%대를 기록했고 상승 거래 비중이 절반을 웃돌았다. 올해 3분기 전국 하락 거래 비중은 48.6%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추가 금리 인상으로 집값 하방 압력이 커지면서 거래 절벽 현상이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올해 하반기 추가 금리 인상이 예상된다"며 "금리가 또 오르면 주택 매수세가 위축되면서 거래 절벽 현상이 더욱 심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 교수는 " 금리 인상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고, 거래량 감소 등을 고려했을 때 집값 하락세가 계속될 것"이라며 "금리가 계속 오르면 내년 상반기까지 부동산 시장의 침체 흐름이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907&prsco_id=003&arti_id=0011407787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 💰 매매가 : 7억 4,000만원 📅 입주 : 협의 가능 (원하시는 일정 조율 가능!) 🌄 💎 전망 최고! 탁 트인 시야로 막힘 없는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