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6명 "올해 하반기, 내년 상반기 주택 매입 의사"
작년 말 대비 매수 응답 비율 0.5%p 증가, 매도도 0.4%p 증가10명 중 6명이 올해 하반기나 내년 상반기에 주택을 매입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는 설문결과가 나왔다.
7일 직방이 자사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총 1천83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64.6%가 올해 하반기 및 내년 상반기 기간 내에 주택을 매입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지난해 말 조사와 비교해 0.5%p 소폭 상승했다.
7일 직방이 자사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총 1천83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64.6%가 올해 하반기 및 내년 상반기 기간 내에 주택을 매입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지난해 말 조사와 비교해 0.5%p 소폭 상승했다.

직방이 주택매입 계획여부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10명 중 6명이 올해 하반기나 내년께 주택매입 의사가 있다고 응답했다.
거주지역별로는 ▲경기(66.5%) ▲지방(65.6%) ▲인천(64.2%) ▲서울(62.2%) ▲지방5대광역시(62.0%) 순으로 매입 의사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작년 말 조사와 비교해 서울(5.0%p)과 인천(2.1%p) 거주자의 주택 매입 의사가 있다는 응답 비율이 증가했다.
경기는 동일한 수치를 보였고, 지방5대광역시와 지방은 작년말 조사보다 매입하겠다는 응답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지방과 광역시보다는 수도권에 매수 기대 심리가 더 커진 것으로 분석된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67.9%) ▲50대(67.4%) ▲30대(64.0%) ▲40대(62.6%) ▲20대 이하(52.9%) 순으로 주택 매입 의사가 있다는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작년 말 조사와 비교한 결과, 20대 이하(1.2%p)와 50대(2.6%p), 60대 이상(2.9%p)에서 매입 의사가 있다는 응답 비율이 소폭 증가했다.
하반기부터 내년 상반기까지 주택 매입을 계획하는 이유는 중 1위는 '전,월세에서 자가로 내집마련'(43.1%)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 이유로는 ▲거주 지역 이동(19.2%) ▲면적 확대, 축소 이동(16.5%) ▲본인 외 가족 거주(6.7%) ▲시세 차익 등 투자 목적(6.3%) 등 순으로 응답됐다.
반면 매입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649명에게 이유를 물은 결과, '가격이 너무 비싸서'(29.6%)가 가장 많았다. ▲향후 가격이 하락할 것 같아서(27.0%) ▲보유 주택있고 추가 매입 의사 없어서(17.9%) ▲새 정부 부동산 정책 변화를 지켜보려고(8.6%)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부담이 커져서(7.9%)란 응답도 있었다.
2022년 하반기 및 내년 상반기까지 주택 매도 계획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 중, 41.8%가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58.2%는 매도 의사가 없다고 답했다. 매도 의사 역시 작년 말 조사 당시 매도 의사가 있다고 답한 응답자보다 0.4%p 증가했다.
2022년 하반기 및 내년 상반기에 주택을 매도할 계획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거주 지역 이동하기 위해'가 29.9%로 가장 많았다. ▲면적 확대, 축소 이동하기 위해(26.2%) ▲차익실현, 투자처 변경으로 인한 갈아타기(19.1%)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한시적 유예 절세 목적 처분(13.6%) 순으로 나타났다.
직방 관계자는 "매수세는 여전히 실거주 및 이동 등 이유가 많은 가운데 수도권 거주자의 매입 계획이 있다는 응답 비율이 더 높아진 것이 눈에 띈다"며 "금리가 인상되면서 이자 부담도 커져 매물 정리 움직임도 있을 전망되는 만큼 새 정부 부동산 정책 방향에 따라 향방이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거주지역별로는 ▲경기(66.5%) ▲지방(65.6%) ▲인천(64.2%) ▲서울(62.2%) ▲지방5대광역시(62.0%) 순으로 매입 의사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작년 말 조사와 비교해 서울(5.0%p)과 인천(2.1%p) 거주자의 주택 매입 의사가 있다는 응답 비율이 증가했다.
경기는 동일한 수치를 보였고, 지방5대광역시와 지방은 작년말 조사보다 매입하겠다는 응답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지방과 광역시보다는 수도권에 매수 기대 심리가 더 커진 것으로 분석된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67.9%) ▲50대(67.4%) ▲30대(64.0%) ▲40대(62.6%) ▲20대 이하(52.9%) 순으로 주택 매입 의사가 있다는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작년 말 조사와 비교한 결과, 20대 이하(1.2%p)와 50대(2.6%p), 60대 이상(2.9%p)에서 매입 의사가 있다는 응답 비율이 소폭 증가했다.
하반기부터 내년 상반기까지 주택 매입을 계획하는 이유는 중 1위는 '전,월세에서 자가로 내집마련'(43.1%)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 이유로는 ▲거주 지역 이동(19.2%) ▲면적 확대, 축소 이동(16.5%) ▲본인 외 가족 거주(6.7%) ▲시세 차익 등 투자 목적(6.3%) 등 순으로 응답됐다.
반면 매입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649명에게 이유를 물은 결과, '가격이 너무 비싸서'(29.6%)가 가장 많았다. ▲향후 가격이 하락할 것 같아서(27.0%) ▲보유 주택있고 추가 매입 의사 없어서(17.9%) ▲새 정부 부동산 정책 변화를 지켜보려고(8.6%)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부담이 커져서(7.9%)란 응답도 있었다.
2022년 하반기 및 내년 상반기까지 주택 매도 계획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 중, 41.8%가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58.2%는 매도 의사가 없다고 답했다. 매도 의사 역시 작년 말 조사 당시 매도 의사가 있다고 답한 응답자보다 0.4%p 증가했다.
2022년 하반기 및 내년 상반기에 주택을 매도할 계획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거주 지역 이동하기 위해'가 29.9%로 가장 많았다. ▲면적 확대, 축소 이동하기 위해(26.2%) ▲차익실현, 투자처 변경으로 인한 갈아타기(19.1%)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한시적 유예 절세 목적 처분(13.6%) 순으로 나타났다.
직방 관계자는 "매수세는 여전히 실거주 및 이동 등 이유가 많은 가운데 수도권 거주자의 매입 계획이 있다는 응답 비율이 더 높아진 것이 눈에 띈다"며 "금리가 인상되면서 이자 부담도 커져 매물 정리 움직임도 있을 전망되는 만큼 새 정부 부동산 정책 방향에 따라 향방이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607&prsco_id=031&arti_id=0000677199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