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가 인상에 무주택자 '내 집 마련' 셈법 복잡
분상제 개편, 하반기 분양가 상승 가능성
대출규제·금리인상, 무주택자 자금조달 부담 커져
공공·민간분양 시장 내 청약 대기수요 이원화 전망
대출규제·금리인상, 무주택자 자금조달 부담 커져
공공·민간분양 시장 내 청약 대기수요 이원화 전망

정부의 분양가상한제 개편안에 따라 향후 신규 공급되는 단지들의 분양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무주택자들의 내 집 마련 전략에도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
27일 업계 등에 따르면 정부의 '분양가 제도운영 합리화 방안'에 따라 향후 분양가가 1.5%에서 최대 4%가량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분상제 개편안에 따라 앞으로 정비사업 추진 시 필수적으로 투입되는 비용을 가산비에 반영하도록 하고 원활한 주택공급을 위해 자잿값 급등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로 하면서다.
이번 조치로 정부는 분양가를 현실화해 주택공급에 속도를 높이겠단 방침이다. 업계에선 올 들어 자잿값 및 인건비 급등으로 제동이 걸린 서울 등 일부 지역에서 주택공급이 숨통을 틀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만 공급이 늘더라도 무주택자들의 내 집 마련 문턱은 여전히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이 맞물린 가운데 상승한 분양가 만큼 자금 조달 부담이 더 커지면서다.
분상제 개편안에 따라 서울 주요 정비사업 단지의 향후 일반 분양가는 9억원이 넘을 수 있단 관측이 나온다. 일반 분양가가 9억원을 초과할 경우 중도금 집단대출이 불가해 유동자금이 부족한 수분양자들은 청약에 당첨되더라도 자금 마련이 어려워지게 된다.
직방에 따르면 지난 21일 기준 올해 서울 아파트의 3.3㎡(평)당 평균 분양가는 3301만원이다. 전용 60㎡ 이하 아파트의 평균 분양가는 7억4310만원, 전용 60~85㎡ 평균 분양가는 10억4554만원 수준이다. 전용 85㎡ 초과 대형 평형인 경우 17억5078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에서 중형 면적 이상 아파트를 분양받을 때 중도금 대출은 현재도 사실상 불가능한 셈이다.
한국은행이 다음 달 기준금리를 0.5%포인트 한 번에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할 거란 전망이 우세한 데다 7월부터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 규제가 시행을 앞둔 것도 내 집 마련 문턱을 높이는 요인이다.
업계에선 공공택지지구와 도심 민간 정비사업지 간 분양가 간극이 더 심화할 것으로 내다본다.
청약가점이 높거나 주택청약 불입액이 높은 무주택자의 경우 사전청약 등 2~3기 신도시 공공택지 청약으로 눈을 돌릴 가능성도 커졌단 분석이다. 공공택지지구에서 공급되는 단지들은 은근 시세 대비 분양가가 70~80% 수준이다.
LH는 올 하반기 무주택 실수요자를 위한 분양주택 2만 가구와 임대주택 6만7000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분양주택은 공공분양 1만5818가구를 비롯해 신혼희망타운 4035가구, 분양전환 공공임대 343가구 등이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전체 물량의 절반 이상인 1만1124가구가 공급되고 광역시 및 기타지역에 9072가구를 공급한단 계획이다.
상대적으로 자금여력이 충분한 청약대기자라면 도심 내 민간 알짜 정비사업지 청약을 노리는 등 무주택 실수요자 사이에서 이원화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소구와 분상제 개편으로 민간 청약시장의 양극화는 커지고 인기 지역의 고분양가 문제는 여전할 것"이라며 "청약 대기수요가 많은 인기지역은 분양가의 적정성과 재고주택의 급매물 가격 등을 비교 선별해 청약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분양가 부담이 덜하고 GTX 등 광역교통망 확충 기대가 있는 공공택지와 사전청약 사업지에 청약 수요자들의 관심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27일 업계 등에 따르면 정부의 '분양가 제도운영 합리화 방안'에 따라 향후 분양가가 1.5%에서 최대 4%가량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분상제 개편안에 따라 앞으로 정비사업 추진 시 필수적으로 투입되는 비용을 가산비에 반영하도록 하고 원활한 주택공급을 위해 자잿값 급등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로 하면서다.
이번 조치로 정부는 분양가를 현실화해 주택공급에 속도를 높이겠단 방침이다. 업계에선 올 들어 자잿값 및 인건비 급등으로 제동이 걸린 서울 등 일부 지역에서 주택공급이 숨통을 틀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만 공급이 늘더라도 무주택자들의 내 집 마련 문턱은 여전히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이 맞물린 가운데 상승한 분양가 만큼 자금 조달 부담이 더 커지면서다.
분상제 개편안에 따라 서울 주요 정비사업 단지의 향후 일반 분양가는 9억원이 넘을 수 있단 관측이 나온다. 일반 분양가가 9억원을 초과할 경우 중도금 집단대출이 불가해 유동자금이 부족한 수분양자들은 청약에 당첨되더라도 자금 마련이 어려워지게 된다.
직방에 따르면 지난 21일 기준 올해 서울 아파트의 3.3㎡(평)당 평균 분양가는 3301만원이다. 전용 60㎡ 이하 아파트의 평균 분양가는 7억4310만원, 전용 60~85㎡ 평균 분양가는 10억4554만원 수준이다. 전용 85㎡ 초과 대형 평형인 경우 17억5078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에서 중형 면적 이상 아파트를 분양받을 때 중도금 대출은 현재도 사실상 불가능한 셈이다.
한국은행이 다음 달 기준금리를 0.5%포인트 한 번에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할 거란 전망이 우세한 데다 7월부터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 규제가 시행을 앞둔 것도 내 집 마련 문턱을 높이는 요인이다.
업계에선 공공택지지구와 도심 민간 정비사업지 간 분양가 간극이 더 심화할 것으로 내다본다.
청약가점이 높거나 주택청약 불입액이 높은 무주택자의 경우 사전청약 등 2~3기 신도시 공공택지 청약으로 눈을 돌릴 가능성도 커졌단 분석이다. 공공택지지구에서 공급되는 단지들은 은근 시세 대비 분양가가 70~80% 수준이다.
LH는 올 하반기 무주택 실수요자를 위한 분양주택 2만 가구와 임대주택 6만7000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분양주택은 공공분양 1만5818가구를 비롯해 신혼희망타운 4035가구, 분양전환 공공임대 343가구 등이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전체 물량의 절반 이상인 1만1124가구가 공급되고 광역시 및 기타지역에 9072가구를 공급한단 계획이다.
상대적으로 자금여력이 충분한 청약대기자라면 도심 내 민간 알짜 정비사업지 청약을 노리는 등 무주택 실수요자 사이에서 이원화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소구와 분상제 개편으로 민간 청약시장의 양극화는 커지고 인기 지역의 고분양가 문제는 여전할 것"이라며 "청약 대기수요가 많은 인기지역은 분양가의 적정성과 재고주택의 급매물 가격 등을 비교 선별해 청약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분양가 부담이 덜하고 GTX 등 광역교통망 확충 기대가 있는 공공택지와 사전청약 사업지에 청약 수요자들의 관심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627&prsco_id=119&arti_id=0002615712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