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어붙은 매수심리…다시 증여로 눈 돌리는 다주택자
서울 아파트 4명 중 1명은 증여 거래
강남권 증여 움직임 활발
세금 절감 및 똘똘한 한 채 집중 움직임
강남권 증여 움직임 활발
세금 절감 및 똘똘한 한 채 집중 움직임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여파 등으로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거래절벽 현상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는 모습이다. 이런 가운데 세 부담을 덜고 똘똘한 한 채에 집중하려는 다주택자들의 증여 움직임이 다시 두드러지고 있다.
24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23일 기준 5월 서울에서 증여에 의한 집합건물(아파트·빌라·오피스텔 등) 소유권이전등기를 신청한 건수는 1534건으로 집계됐다. 지난 1월과 비교하면 2배가량 확대됐다.
올 들어 증여 건수는 1월 813건에서 2월 852건, 3월 942건, 4월 1792건으로 지속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달 말까지 신고기한이 남은 만큼 5월 증여 건수도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시군구별로 보면 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강남권의 증여 움직임이 활발했다. 같은 기준 지난달 강남구의 증여 건수는 144건으로 25개 자치구 가운데 가장 많았다. 올 1월 55건에 그쳤던 것을 감안하면 2배 이상 늘었다.
서초구의 증여 건수는 4월 109건에 이어 5월 125건으로 세 자릿수를 유지했다. 송파는 124건, 강동은 58건 등으로 집계됐다.
전체 아파트 거래에서 증여가 차지하는 비중도 커졌다. 한국부동산원 아파트 원인별 거래 통계에 따르면 지난 4월 거래된 서울 아파트 전체 3508건 가운데 812건은 증여로 조사됐다.
전체의 23.1%를 차지하는 것으로 4명 중 1명꼴로 증여를 통해 아파트 거래를 한 셈이다. 이는 2006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지난해 3월(24.2%) 이후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여파가 맞물리면서 매수심리가 위축돼 주택 처분이 여의치 않자 증여로 눈을 돌려 절세 효과를 보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공시가격 급등에 따른 세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재산세 및 종합부동산세를 산정할 때 지난해 공시가격을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1주택자에 한해 세제 혜택이 주어지는 것으로 다주택자는 올해 급등한 공시가격을 그대로 적용받게 된다.
집값 하방 압력이 커졌지만 새 정부 출범 이후 규제 완화에 따른 향후 집값 상승 기대감이 일면서 매도 대신 증여를 선택하는 움직임도 적지 않다.
전문가들은 강남권 일대 고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증여 거래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본다.
양지영 양지영 R&C 연구소 소장은 "양도세 중과 한시적 배제와 보유세 부담감 등으로 다주택자들은 매도 혹은 증여에 고민할 것으로 보인다"며 "매도 시에는 양도세 부담이 덜하고 시세 상승 여력이 덜한 지방 중심으로 매물을 내놓을 것으로 보여 지방의 집값 하락 폭은 더 커질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부동산 전문가는 "집값 상승 기대감이 크지 않은 지방이나 수도권 외곽 등지의 주택은 처분하겠지만 개발 호재가 있거나 향후 미래가치가 높다고 판단되는 강남권 일대 고가 아파트를 보유한 경우라면 증여를 택할 가능성이 크다"며 "증여로 일부 세금 절감 효과를 거두는 동시에 똘똘한 한 채에 집중하려는 움직임"이라고 진단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625&prsco_id=119&arti_id=0002615212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