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50만가구 등 270만가구 공급…재건축·재개발 속도낸다
윤석열 정부 첫 공급대책 발표
정부가 앞으로 5년간 서울 50만 가구를 포함해 전국에 270만 가구의 주택을 공급하겠다고 발표했다. 민간이 주도하는 재건축 사업과 역세권 재개발 등을 통해 도심의 공급량을 대폭 늘린다.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좋은 공급'을 하겠다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공공개발에만 주로 부여했던 용적률과 세제 혜택 등 각종 인센티브를 민간개발 사업에도 확대 적용한다.정부는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부동산 관계 장관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이 담긴 '국민 주거안정 실현 방안'을 발표했다. 브리핑에 나선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 정부에서도 여러 주택공급 정책이 있었지만 겹겹이 쌓인 과도한 규제 때문에 도심 등 선호 입지의 공급은 위축됐다”며 “국민의 주거 상향 수요를 채우기 위해 주택공급의 대부분을 담당하는 민간의 활력을 키우고 공공은 시장기능을 보완하는 역할에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에 10만 가구 규모 정비구역 지정
재건축ㆍ재개발 사업 정상화의 첫 신호탄으로 전국에 22만 가구 규모의 정비구역을 지정한다. 이중 절반가량인 10만 가구가 서울에 지정된다. 서울시는 신속통합기획 방식으로 연내 후보지를 발표하겠다는 방침이다. 서울의 경우 뉴타운 지구 해제 등으로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기존 정비구역만 410곳 해제됐다. 이에 따라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신규 정비구역 지정은 2만8000가구 규모에 그쳤다.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도 완화된다. 구체적인 계획안은 9월에 발표할 예정이지만, 정부는 현행 3000만원 이하인 초과이익 면제 기준을 상향하고, 부과율 구간도 확대할 계획이다. 또 1주택자나 고령자 등에게는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에 따른 부담금을 완화할 방침이다. 재초환은 재건축 사업으로 조합원 이익이 3000만원이 넘을 경우 이익의 최대 50%까지 부담금을 매기는 제도다. 원 장관은 “도심공급이 제 궤도를 찾을 수 있도록 9월까지 세부감면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공공 주도에서 민간 주도 공급
토지주의 3분의 2 이상이 동의할 경우 신탁사나 리츠 등 민간전문기관도 사업 주체가 돼서 도심개발을 할 수 있다. 기존 공공사업 수준으로 용적률·세제 혜택 등 인센티브를 주되, 개발이익을 임대주택으로 확보하는 등 적정수준으로 환수하겠다는 방침이다. 주거중심형으로 개발할 경우 용적률이 최대 500%까지 상향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기존 공공사업 후보지 중에서도 호응이 낮은 사업장은 민간사업으로 전환할 수 있다”며 “내년 상반기부터 민간 후보지 공모를 시작하는데, 기존 공공주도 사업처럼 일률적으로 후보지를 정해 발표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상당수 법 개정해야, 국회 통과 난항 예상
청년·신혼부부·생애최초 주택구입자를 대상으로 50만 가구도 공급한다. 청년 원가와 역세권 첫 집 형태로 공급하는데 공공택지나 민간정비사업 기부채납 물량을 활용해 시세 70% 이하로 싸게 공급하는 공공주택이다.
전문가들은 민간 주도 공급으로 정책을 전환한 것에 긍정적인 평가를 한다. 하지만 구체적인 실행 방안은 빠지고, 두루뭉술한 청사진만 제기됐다는 지적도 잇따른다. 특히 재초환법을 비롯해 이번에 발표한 방안의 상당수가 법 개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함영진 직방 데이터랩장은 “충분한 주택공급으로 집값 불안 우려를 낮추는 신호를 보낸 것은 긍정적이지만 풀어야 할 숙제도 많다”며 “재초환법 개정은 국회법 개정이 필요해 실제 감면 수준은 국회 논의 과정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 수석위원은 “그동안 공공 주도로 해왔던 주택 공급의 패러다임을 민간으로 전환하려면 그동안 규제되었던 부분의 완화가 동반되어야만 하는데 이번 발표에 이 부분이 깊이 있게 설계되지는 않아 당장의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적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출처:네이버뉴스
원문: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216942?sid=101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