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중소도시는 여전히 불안…전세가율 80% 육박
"깡통전세 및 보증금 손실가능성"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세가 잦아들면서 전세가율이 진정 국면에 진입하고 있지만 지방 중소도시의 전세시장은 여전히 불안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는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 전세가율을 분석한 결과 전국 전세가율은 지난 해 1분기(70.4%)부터 매분기 하향곡선을 그리기 시작해 올 1분기 68.9%를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수도권은 2019년 1분기 처음으로 70%대가 붕괴된 이후 매분기 하락해 올해 1분기엔 63.6%까지 떨어졌다.
반면, 올해 기타지방의 전세가율은 77.1%로 2019년 1분기(77.2%)와 큰 차이가 없었다. 전세가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시/도)은 전북 79.0%였다. △경북 78.8% △충남 78.8% △충북 77.9% △전남 77.4% △강원 77.0% 등이 뒤를 이었다.
지방 중소도시에선 전세가율 80%를 넘는 도시도 적지 않다. 전국 15곳의 전세가율이 80%를 넘어섰고 이 중 12곳은 지방 중소도시였다. 전남 광양이 84.9%로 전세가율이 가장 높았다. △경기 여주 84.2% △충남 당진 83.4% △전남 목포83.3% △경북 포항 82.6% △충남 서산 82.6% △강원 춘천 82.6% 등이 뒤를 이었다.
리얼투데이는 "주택가격이 떨어지고 경매까지 집행된다면 원금 손실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부동산 업계에선 통상적으로 전세가율이 70%을 넘어서면 위험하다고 보고 있다"며 "전세가율이 80%를 넘어서면 깡통주택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므로 계약을 피하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506&prsco_id=079&arti_id=0003639985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