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5월 16일 월요일

재테크 전문가, 더 나은 자본주의를 꿈꾸다

재테크 전문가, 더 나은 자본주의를 꿈꾸다


돈이란 무엇일까? 돈의 본질은 무엇일까? 내가 늘 생각하고 탐구하는 질문이다. 그리고 조금씩 그 질문의 해답을 찾아가고 있는지 모르겠다. 지금 미국 전역에서 젊은이들이 월가의 대한 시위가 거세다. 높은 실업률, 인플레이션, 저임금 세계 최강국이면서 동시에 최 부국인 미국에서 조차도 젊은이들의 실업문제와 빈부격차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젊은이들의 좌절과 분노는 미국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표출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어떠한가? 이른바 88만원 세대라 불리는 우리의 젊은 세대들 역시 그들보다 좌절과 분노가 크면 크지 결코 못하지 않으리라. 전보다 더 열심히 정직하게 사는데 왜 이렇게 삶이 힘들고 고단한지 이유조차 알 수 없는 게 현실이다. 과연 무엇이 문제란 말인가?


직업적인 특성상 집을 많이 봐야 하는 필자는 우리나라의 최고 주상복합부터 집값으로는 저렴하다고 할 수 있는 오천만원짜리 주택까지 다양하게 집 안을 살펴야 한다. 그리고 느낀 점은 우리나라의 빈익빈 부익부의 심각성이다. 작은 방안에 냉장고가 있고 집 안 전체가 운동장 같은 집이 있는 반면에 조그만 방 2개의 4가족이 옹기종기 모여 사는 집까지 그 차이가 상상을 초월한다. 그 마저도 세입자들 특히 월세 세입자들은 어떠한가? 한 달에 보증금 500만원에 월세 40만원을 내면서 살아가는 그들을 보면서 때로는 몸들 바를 모를 때가 많다. 어쩔 수 없이 주택 구입 차 집안을 살필 때면 괜히 죄스럽고 죄송한 생각마저 든다.


필자 또한 집안의 사업실패로 힘든 시기를 겪었고 그래서 더욱 더 돈의 소중함을 깨달고 돈과 자본주의의 본질에 대해서 고민하며 살아가고 있지만 지금 현재 우리의 자본주의 사회는 구조적인 문제가 정말 많아 보인다. 우선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다. 한 달에 100만원도 벌기 힘든 사람이 있는가 하면 한 달에 급여로 10억씩 가져가는 사람이 있다. 한쪽에서는 끼니조차 해결 못해 굶어죽지 않으려고 사투를 벌이고 있는가 하면 명품으로 온 몸의 도배를 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 명품 하나면 다른 한쪽에서는 1년의 생활비로 쓰일 수도 있는 돈이다.


높은 대학 등록금으로 학교를 몇 번씩 쉬어야 하는가 하면 아르바이트를 해야만 그나마 학비를 마련할 수 있고 졸업을 하더라도 학자금 대출로 처음부터 마이너스 사회생활을 해야 하는 게 평범한 직장인들의 현실이다. 왜 점점 우리들이의 삶이 이렇게 힘들어 지는 걸까? 정녕 해법은 없는 것일까? 그 해법을 찾기 위해 문제의 근본 원인을 찾아야 하는 시점이다.


지금 세계의 금융위기의 근본적인 문제는 국가의 과도한 부채 때문이다. 미국의 심각한 쌍둥이 적자 (재정적자, 무역적자)는 점차 한계를 드러내고 있고 최근 신용등급 강등도 더 이상 미국의 채무 한도를 묵과하지 않겠다는 신용등급 평가사의 강한 의지의 표시이다. 물론 짜고 치는 고스톱일수도 있지만 말이다. 미국은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를 활용해 그 동안 막대한 양의 빚을 활용 할 수 있었다. 쉽게 얘기해 돈을 얼마든지 찍어내 빚으로 모든 걸 축적해 왔다. 하지만 최근 미국 신용등급 강등이나 채무 증액한도 협상 문제 등 더 이상 빚으로 세계 경제를 지탱하기에는 역 부족으로 보인다.


그리고 달러남발로 인한 심각한 문제 바로 인플레이션과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다. 자본주의의 본질을 간파한 사람을 빚을 활용해 오히려 인플레이션에 대비를 했고 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본인의 삶이 왜 이렇게 힘들어지는지 이유도 모르면서 점점 가난해 졌다. 그리고 전 세계의 부채가 점점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그 피해는 바로 아랫세대가 고스란히 떠안는다. 빚이라는 게 그렇다. 언젠가는 갚아야 할 부분이고 그 갚는 부분을 아랫세대에 계속 떠넘기는 형국이다. 우리나라만 하더라도 급여는 적어지고 정규직은 없어지고 세금은 늘어나고 물가는 오르고 점점 살기 힘들어진다. 돈을 찍어내면 찍어낼수록 점점 아랫세대의 부담은 커지는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마약을 당장 끊을 수는 없는 일이다. 돈을 풀지 않으면 심각한 경기침체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형국이다. 최근 FOMC에서 2013년까지 제로 금리를 유지 하겠다고 한 이유도 더 이상 양적완화를 통한 달러발행으로는 문제의 근본 원인을 해결 할 수 없고 부작용만 키울 수 있다는 판단에 근거한다.


문제는 우리들이다. 문제의 근본 원인을 알았다면 해결책을 제시해야 하지만 우리가 세계 경제의 해결책을 제시 할 수는 없다. 그러기에 우리는 너무나 미약한 존재들이 아닌가?

 

원본:http://www.hankyung.com/board/view.php?id=_column_301_1&ch=ft&no=39&page=1&sn=&ss=&sc=&old_no=&old_id=_column_301_1&skin=&keyword=&category=&tag=&pagenum=&sel_order=&desc=desc&cmt_page=1&cmt_order=&cmt_desc=asc

출처:한국경제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7억 4,000만원 🏡 [하대원동 성남자이아파트 32평 매매] ✨ 💰 매매가 : 7억 4,000만원 📅 입주 : 협의 가능 (원하시는 일정 조율 가능!) 🌄 💎 전망 최고! 탁 트인 시야로 막힘 없는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