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살' 1기 신도시 리모델링 속도…대선 바람 타고 활기
고양·중동서 잇단 조합 설립 움직임…분당에선 하반기 첫 삽
여야 대선주자 '특별법' 내걸며 기대감↑…추진열기 계속될까
여야 대선주자 '특별법' 내걸며 기대감↑…추진열기 계속될까

1기 신도시 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대선을 앞두고 각종 규제로 둘러싸인 재건축의 대체재로 주목받았던 리모델링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지자체 독려와 대선 후보들이 내건 활성화 바람에 기대감이 높아지는 분위기다.
9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2026년이면 분당·부천 중동·안양 평촌·군포 산본에 조성된 1기 신도시 전원이 30년 이상 노후 주택이 된다. 이들 신도시는 1990년대 초부터 순차적으로 29만2000가구가 입주한 바 있다.
노후화가 진행되면서 주민 불편은 커지고 있다. 주차공간 부족과 상하수도 부식, 층간 소음 등 각종 문제가 생기면서다. 고령화와 이에 따른 인구 유출, 슬럼화도 우려되는 지점이다. 이에 재구조화 문제가 화두가 되고 있다.
이에 다수 단지가 리모델링을 추진 중이다. 1기 신도시 평균 용적률이 170~226% 수준이라 재건축으로는 사업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유연한 안전진단 기준과 초과이익환수제 미적용, 5~7년의 짧은 사업기간으로 대안으로 주목받았다.
한국리모델링협회 조사 결과 지난해 12월 기준 조합 설립을 마친 리모델링 추진 단지는 전국 94곳(6만9085가구)다. 그중 1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경기권에선 40곳(3만8254가구)가 사업을 추진 중이다. 추진 위원회 단계까지 포함하면 규모는 더욱 커진다.
최근 경기 고양시 일산신도시와 중동신도시에서 연이어 리모델링 조합 설립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일산서구 문촌마을16단지 뉴삼익아파트는 지난달 일산 최초로 리모델링 조합창립총회를 마치고 설립인가를 기다리고 있다. 강선15단지 두산아파트도 이달 조합창립총회를 연다. 부천 상동 한아름현대1차 아파트의 리모델링 조합 설립이 임박했다.
이미 조합이 설립된 신도시에서도 열의가 높다. 군포 산본신도시에서는 지난 14일 산본 내 조합·추진위 18개 단지가 모여 리모델링연합회를 꾸렸다. 평촌신도시도 지난해 21개 단지로 구성된 연합회가 조성된 바 있다.
성남 분당에서는 1기 신도시 중 처음으로 리모델링 공사에 착수하는 단지가 탄생할 예정이다. 정자동 한솔마을5단지 리모델링 조합은 이달 총회를 통해 세대별 공사 분담금을 확정, 하반기 착공 예정이다. 무지개마을 4단지도 5월 전 분담금 확정을 위한 총회를 진행할 계획이다.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전담 부서를 꾸리는 등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해 팔을 걷어붙이고, 유력 대선 후보들까지 1기 신도시 재구조화를 위한 규제 완화를 공약으로 내걸며 기대감도 높은 상황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후보 모두 1기 신도시를 재정비하기 위한 특별법을 내세웠다. 이재명 후보는 안전성 검토기준 완화와 수직증축 확대를, 윤석열 후보는 1기 신도시 정비사업 활성화로 10만가구 공급을 약속했다.
다만 부동산 시장이 하향 안정세로 접어들어 사업성이 떨어지면 일부는 사업 진행이 멈출 가능성도 존재하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1기 신도시의 주요 약점이었던 용적률을 대폭 완화하겠단 공약도 나오면서 향후 추진 단지 내부에서 재건축이냐 리모델링이냐를 두고 이견이 나올 수도 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만큼 장기적인 관점에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9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2026년이면 분당·부천 중동·안양 평촌·군포 산본에 조성된 1기 신도시 전원이 30년 이상 노후 주택이 된다. 이들 신도시는 1990년대 초부터 순차적으로 29만2000가구가 입주한 바 있다.
노후화가 진행되면서 주민 불편은 커지고 있다. 주차공간 부족과 상하수도 부식, 층간 소음 등 각종 문제가 생기면서다. 고령화와 이에 따른 인구 유출, 슬럼화도 우려되는 지점이다. 이에 재구조화 문제가 화두가 되고 있다.
이에 다수 단지가 리모델링을 추진 중이다. 1기 신도시 평균 용적률이 170~226% 수준이라 재건축으로는 사업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유연한 안전진단 기준과 초과이익환수제 미적용, 5~7년의 짧은 사업기간으로 대안으로 주목받았다.
한국리모델링협회 조사 결과 지난해 12월 기준 조합 설립을 마친 리모델링 추진 단지는 전국 94곳(6만9085가구)다. 그중 1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경기권에선 40곳(3만8254가구)가 사업을 추진 중이다. 추진 위원회 단계까지 포함하면 규모는 더욱 커진다.
최근 경기 고양시 일산신도시와 중동신도시에서 연이어 리모델링 조합 설립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일산서구 문촌마을16단지 뉴삼익아파트는 지난달 일산 최초로 리모델링 조합창립총회를 마치고 설립인가를 기다리고 있다. 강선15단지 두산아파트도 이달 조합창립총회를 연다. 부천 상동 한아름현대1차 아파트의 리모델링 조합 설립이 임박했다.
이미 조합이 설립된 신도시에서도 열의가 높다. 군포 산본신도시에서는 지난 14일 산본 내 조합·추진위 18개 단지가 모여 리모델링연합회를 꾸렸다. 평촌신도시도 지난해 21개 단지로 구성된 연합회가 조성된 바 있다.
성남 분당에서는 1기 신도시 중 처음으로 리모델링 공사에 착수하는 단지가 탄생할 예정이다. 정자동 한솔마을5단지 리모델링 조합은 이달 총회를 통해 세대별 공사 분담금을 확정, 하반기 착공 예정이다. 무지개마을 4단지도 5월 전 분담금 확정을 위한 총회를 진행할 계획이다.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전담 부서를 꾸리는 등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해 팔을 걷어붙이고, 유력 대선 후보들까지 1기 신도시 재구조화를 위한 규제 완화를 공약으로 내걸며 기대감도 높은 상황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후보 모두 1기 신도시를 재정비하기 위한 특별법을 내세웠다. 이재명 후보는 안전성 검토기준 완화와 수직증축 확대를, 윤석열 후보는 1기 신도시 정비사업 활성화로 10만가구 공급을 약속했다.
다만 부동산 시장이 하향 안정세로 접어들어 사업성이 떨어지면 일부는 사업 진행이 멈출 가능성도 존재하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1기 신도시의 주요 약점이었던 용적률을 대폭 완화하겠단 공약도 나오면서 향후 추진 단지 내부에서 재건축이냐 리모델링이냐를 두고 이견이 나올 수도 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만큼 장기적인 관점에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209&prsco_id=421&arti_id=0005891768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