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똘똘한 한 채' 투자하러 서울로… 외지인 매수 한 해 '3.4만건'
![]() |
11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거주지별 주택매매거래량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주택 매매거래량은 총 12만6834건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서울에 거주하지 않는 외지인들이 매입한 거래량은 3만4373건(27.1%)으로 나타나 관련 통계가 시작된 2006년 이후 역대 가장 높은 수치다.
외지인 매입 비중은 지난 2017년 19.3%, 2018년 21.3%, 2019년 24.0%, 2020년 25.7%, 2021년 27.1% 등 5년째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서울 25개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외지인 주택 매입 비율이 가장 높은 구는 강서구로 나타났다.
지난해 강서구 주택 매매 거래량은 9583건 중 3214건이 타 지역 거주자가 매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외지인 매입비율은 33.5%에 달했다. 강서구에 이어 ▲도봉구(32.8%) ▲양천구(32.4%) ▲구로구(32.1%) ▲용산구(31.8%) ▲관악구(31.0%) 순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서울에 거주하지 않는 외지인들이 서울 주택을 매입하는 비중이 갈수록 높아지는 현상은 서울 주택 공급 부족에 따른 희소가치와 함께 오세훈 서울시장의 정비사업이 활성화되면서 관심이 쏠린 것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서울 주택 가격이 다른 지역보다 크게 오르는 점과 침체기에도 타 지역에 비해 가격 하락이 적다는 부동산 시장의 학습효과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KB부동산의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월 서울 주택 평균매매가격은 7억9741만원에서 1년이 지난 올해 1월 9억979만원으로 1년 동안 1억1238만원이 상승했다.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상위 20% 아파트의 평균 매매 가격은 지난달 15억9832만원에 달했다. 반면 광역시를 제외한 기타 지방의 상위 20%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4억8819만원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똘똘한 한 채를 사겠다는 인식이 자리잡으면서 지방에서 서울로, 서울에서 강남으로 수요가 집중되고 있다”며 “최근 집값이 꺾이는 분위기지만 외지인들의 서울 주택 매입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출처:네이버부동산
원문: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bss_ymd=20220211&prsco_id=417&arti_id=0000784101
댓글 없음:
댓글 쓰기